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5~7세기 신라 횡혈식 석실묘 축조기법 검토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Silla's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n the 5th and 7th Centur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2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lla's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stage. Stone walls, drainage channels, and stone chamber floor facilities are typical.
      The stone chamber tomb was confirmed to have features that were not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that is, spatiality.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placing the corpse and the direction of putting the corpse, the following things vary. It is the shape of the stone chamber, the shape of the wall and ceiling, and how to make the wall.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s is that the burial mound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stacked.
      In the first stage, the lower part of the stone chamber and tomb passage are built. At this time, a stone row that reinforces the wall stone is made together.
      Step 2 is to make the upper part of the stone chamber, then cover it and seal it. At the same time, building a inner-mound by stacking soil outside the stone chamber. Inner circular burial protection stone is at the end of the mound.
      Step 3 is to build an outer-mound by stacking soil. At the end of the an outer-mound, an outer circular burial protection stone was made.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burial mound of this Silla stone chamber tomb is similar to that of the Silla wooden chamber tomb coverd by stone and earthen mound of the previous stage.
      번역하기

      Silla's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stage. Stone walls, drainage channels, and stone chamber floor facilities are typical. The stone chamber tomb was confirmed to have features that were not revealed in previo...

      Silla's stone chamber tomb with corridor is characterized by the construction stage. Stone walls, drainage channels, and stone chamber floor facilities are typical.
      The stone chamber tomb was confirmed to have features that were not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that is, spatiality.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ion of placing the corpse and the direction of putting the corpse, the following things vary. It is the shape of the stone chamber, the shape of the wall and ceiling, and how to make the wall.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s is that the burial mound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and stacked.
      In the first stage, the lower part of the stone chamber and tomb passage are built. At this time, a stone row that reinforces the wall stone is made together.
      Step 2 is to make the upper part of the stone chamber, then cover it and seal it. At the same time, building a inner-mound by stacking soil outside the stone chamber. Inner circular burial protection stone is at the end of the mound.
      Step 3 is to build an outer-mound by stacking soil. At the end of the an outer-mound, an outer circular burial protection stone was made.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burial mound of this Silla stone chamber tomb is similar to that of the Silla wooden chamber tomb coverd by stone and earthen mound of the previous st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삼강문화재연구원, "함안 남문외고분군 -6 ․ 7 ․ 15호분 및 2구역 시 ․ 발굴조사 보고서-" 2021

      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하구암리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2011

      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누암리고분군 다-11호분 학술조사자료(2022) 자료집" 2022

      4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누암리 고분군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보고서" 2009

      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녕 송현동고분군Ⅱ -15~17호분 발굴조사보고-" 2012

      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녕 송현동고분군Ⅰ -6 ․ 7호분 발굴조사보고-" 2011

      7 우리문화재연구원,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제1군 7호분 및 주변 고분-" 2014

      8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녕 교동 39호분 및 주변 고분Ⅰ -52호분 및 주변 유적-" 2021

      9 영남대학교박물관, "임당 지역 고분군XII -조영 Ell-1-" 2015

      10 동양대학교박물관, "영주내죽리바느레고분" 2009

      1 삼강문화재연구원, "함안 남문외고분군 -6 ․ 7 ․ 15호분 및 2구역 시 ․ 발굴조사 보고서-" 2021

      2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하구암리고분군 발굴조사보고서" 2011

      3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누암리고분군 다-11호분 학술조사자료(2022) 자료집" 2022

      4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충주 누암리 고분군 지표조사 및 발굴조사보고서" 2009

      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녕 송현동고분군Ⅱ -15~17호분 발굴조사보고-" 2012

      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녕 송현동고분군Ⅰ -6 ․ 7호분 발굴조사보고-" 2011

      7 우리문화재연구원,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제1군 7호분 및 주변 고분-" 2014

      8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창녕 교동 39호분 및 주변 고분Ⅰ -52호분 및 주변 유적-" 2021

      9 영남대학교박물관, "임당 지역 고분군XII -조영 Ell-1-" 2015

      10 동양대학교박물관, "영주내죽리바느레고분" 2009

      11 중부고고학연구소, "양평 대평리 고분군" 2015

      12 중부고고학연구소, "양평 대평리 2호분" 2015

      13 홍보식, "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 춘추각 2003

      14 황종현, "신라 횡혈식석실묘의 수용과 전개" 계명대학교 2020

      15 최병현, "신라 6부의 고분 연구" 사회평론 2021

      16 홍보식, "소가야지역의 횡혈식석실 수용과 특징 -내산리고분군의 횡혈식석실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56 : 5-52, 2021

      17 한국문화재보호재단, "상주 청리유적 Ⅱ" 1998

      18 홍보식, "백제와 주변세계" 진인진 2012

      1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긴급발굴조사보고Ⅳ)" 2009

      20 김무중, "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서경문화사 2011

      21 한빛문화재연구원, "달성 쌍계리 유적 1권" 2012

      22 영남문화재연구원, "달성 설화리고분군 II" 2014

      23 국립경주박물관, "냉수리고분" 1995

      24 박진혜, "경주지역 횡혈식석실묘 연구" 부산고고학회 (15) : 71-105, 2014

      25 이혜정, "경주지역 횡혈식 석실의 등장과 전개" 영남고고학회 (67) : 90-117, 2013

      26 최병현, "경주지역 신라 횡혈식석실분의 계층성과 고분 구조의 변천" 한국고고학회 (83) : 80-129, 2012

      27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용강동고분 발굴조사보고서" 1990

      28 강현숙, "경주에서 횡혈식석실분의 등장에 대하여" 한국고고학회 1996

      2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 황성동 석실분-906-5번지-" 2005

      30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황성동 석실분 발굴조사보고서" 1993

      31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황성동 590번지 유적 V" 2017

      3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경주 황성동 590번지 유적 IV" 2015

      33 한빛문화재연구원, "경주 조전리~율동유적I -방내리고분군-(사진)" 2018

      34 한빛문화재연구원, "경주 조전리~율동유적I -방내리고분군-(본문)" 2018

      35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 "경주 용강동 고분군Ⅱ" 2010

      36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 "경주 용강동 고분군Ⅰ" 2010

      37 신라문화유산연구원, "경주 용강동 고분군 -경주기 용강동 229 ․ 225 ․ 224번지 유적-" 2008

      38 영남대학교박물관, "경산 임당지역 고분군 VII -임당5 ․ 6호분-" 2003

      39 김준식, "가야 세장방형 횡혈식석실의 출현배경과 발전양상" 한국고고학회 (102) : 92-125, 2017

      40 정인태, "가야 동부지역의 중심과 주변"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22

      41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21년 가야사 관련 전문가 학술포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가야 할 길을 찾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묘제 특성 검토" 2021

      42 한국문화재재단, "2016 소규모 발굴조사보고서Ⅻ -경북3-"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