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The Effect of Taekwondo Exerci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 Meta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87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RODUCTION]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ekwondo exercis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what is overall effect size of Taekwondo exerci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by categorical variables such as grade level, publication status, outcome characteristics? Third, what is the effect size by continuous variables such as sample size and publication year? [METHOD] A comprehensive search of the complet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and Korean National Library from January 2000 to March 2012 was conducted. 22 egligible studies compared students exercising Taekwondo to non-exercising students. [RESULT] Results from data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79, which was very high. Second, unpublished articles showed lower effect size than published ones. Third, the effect size of body composition was W/H ratio, BMI, body fat, and lean body mass in order. Fourth, the effect size of physical fitness was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ular power, muscular endurance, agility, flexibility, balance, and muscular strength in order. Fifth, this meta-analysis showed as the number of Taekwondo trainees decreased, the effect size increased.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Taekwondo exercise was effective for body composition and strength in elementary studen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analysis result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INTRODUCTION]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ekwondo exercis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what is overall effect size of Taekwondo exerci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INTRODUCTION] This meta-analysi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ekwondo exercis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First, what is overall effect size of Taekwondo exerci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by categorical variables such as grade level, publication status, outcome characteristics? Third, what is the effect size by continuous variables such as sample size and publication year? [METHOD] A comprehensive search of the complet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and Korean National Library from January 2000 to March 2012 was conducted. 22 egligible studies compared students exercising Taekwondo to non-exercising students. [RESULT] Results from data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for all stud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79, which was very high. Second, unpublished articles showed lower effect size than published ones. Third, the effect size of body composition was W/H ratio, BMI, body fat, and lean body mass in order. Fourth, the effect size of physical fitness was cardiorespiratory endurance, muscular power, muscular endurance, agility, flexibility, balance, and muscular strength in order. Fifth, this meta-analysis showed as the number of Taekwondo trainees decreased, the effect size increased.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Taekwondo exercise was effective for body composition and strength in elementary studen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analysis results,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론]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한 태권도 수련의 전체 효과크기(effect size)는 얼마인가? 둘째, 범주형 변인(학술지 게재 여부, 학년, 성별, 신체조성, 체력, 수련여부, 수련기간)에 따른 태권도 수련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셋째, 연속형 변인(표본의 수, 출판연도)에 따른 태권도 수련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태권도 수련에 관한 선행 연구들로서 출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의 검색엔진을 통해 학위논문 65편과 학술지논문 30편을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주제어는 ‘태권도’, ‘초등학생’, ‘신체조성’, ‘체력’을 사용하였으며, 선정기준을 거처 22편(학위논문 15편, 학술지 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효과크기의 계산을 위해서 태권도 수련생과 비수련생의 표준화된 평균차이(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전체 과크기는효 .734로 나타났으며,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가 크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태권도 수련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변수 중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의 효과크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의 연구물의 효과크기가 학술지 연구물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효과에 대한 성별의 차이는 없었다. 학년 급의 효과크기는 저학년(1, 2학년) 보다는 중학년(3, 4학년)이 중학년 보다는 고학년(5, 6학년)에서 수련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수련기간의 차이에서는 2년 이상부터 효과크기가 높아져 3년 이상 수련에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 신체조성의 효과크기는 BMI, 체지방량, 근육량, 복부지방율 등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력의 효과크기는 심폐지구력, 순발력, 근지구력, 민첩성, 유연성, 평형성, 근력 등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회귀분석 결과 실험진단의 수련자의 수가 작을수록 효과크기가 켰으며, 출판년도가 최근일수록 효과크기가 작게 나타났다. [결론] 메타분석은 연구결과의 종합을 통해 증거기반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를 실현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현행 개별연구결과의 실태(present status)를 정리하고 향후 개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태권도 수련은 성장기 아동들의 신체조성과 체력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서론]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서론]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에 대한 태권도 수련의 전체 효과크기(effect size)는 얼마인가? 둘째, 범주형 변인(학술지 게재 여부, 학년, 성별, 신체조성, 체력, 수련여부, 수련기간)에 따른 태권도 수련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셋째, 연속형 변인(표본의 수, 출판연도)에 따른 태권도 수련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태권도 수련에 관한 선행 연구들로서 출처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의 검색엔진을 통해 학위논문 65편과 학술지논문 30편을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주제어는 ‘태권도’, ‘초등학생’, ‘신체조성’, ‘체력’을 사용하였으며, 선정기준을 거처 22편(학위논문 15편, 학술지 7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효과크기의 계산을 위해서 태권도 수련생과 비수련생의 표준화된 평균차이(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전체 과크기는효 .734로 나타났으며,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가 크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태권도 수련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탐구하기 위해 변수 중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의 효과크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위논문의 연구물의 효과크기가 학술지 연구물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련효과에 대한 성별의 차이는 없었다. 학년 급의 효과크기는 저학년(1, 2학년) 보다는 중학년(3, 4학년)이 중학년 보다는 고학년(5, 6학년)에서 수련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수련기간의 차이에서는 2년 이상부터 효과크기가 높아져 3년 이상 수련에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났다. 둘째, 종속변인 신체조성의 효과크기는 BMI, 체지방량, 근육량, 복부지방율 등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력의 효과크기는 심폐지구력, 순발력, 근지구력, 민첩성, 유연성, 평형성, 근력 등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회귀분석 결과 실험진단의 수련자의 수가 작을수록 효과크기가 켰으며, 출판년도가 최근일수록 효과크기가 작게 나타났다. [결론] 메타분석은 연구결과의 종합을 통해 증거기반의 실제(evidence based practice)를 실현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현행 개별연구결과의 실태(present status)를 정리하고 향후 개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태권도 수련은 성장기 아동들의 신체조성과 체력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흔, "태권도수련이 초등학생의 체력과 신체조성 및 골량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7

      2 백문종, "태권도교육이 초등학생의 체력요인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3 최 원, "태권도 학습이 비만아동의 체력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 최춘길, "태권도 수련정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체격 및 건강관련체력에 관한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852-860, 2004

      5 김용강,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체형 및 체력 형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소혜진,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체격,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임순길,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및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14 (14): 239-250, 2004

      8 박종화, "태권도 수련이 청소년의 신체 형태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 신현무, "태권도 수련이 중학생의 기초체력, 심폐기능 및 성장호로몬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0

      10 신규호, "태권도 수련이 아동들의 체력발달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9

      1 전영흔, "태권도수련이 초등학생의 체력과 신체조성 및 골량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2007

      2 백문종, "태권도교육이 초등학생의 체력요인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5

      3 최 원, "태권도 학습이 비만아동의 체력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4 최춘길, "태권도 수련정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체격 및 건강관련체력에 관한 비교" 한국스포츠리서치 15 (15): 852-860, 2004

      5 김용강,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체형 및 체력 형성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6 소혜진,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체격, 체력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임순길, "태권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및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무도연구소 14 (14): 239-250, 2004

      8 박종화, "태권도 수련이 청소년의 신체 형태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9 신현무, "태권도 수련이 중학생의 기초체력, 심폐기능 및 성장호로몬에 미치는 영향" 상지대학교 대학원 2010

      10 신규호, "태권도 수련이 아동들의 체력발달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9

      11 장완성, "태권도 수련이 아동기 체력수준에 미치는 영향" 29 : 293-246, 2001

      12 배숙진, "태권도 수련이 성장기 초등학생의 심장 자율신경계 Balance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4

      13 백승현, "태권도 수련이 비만아동의 신체조성과 체력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7

      14 안시욱, "태권도 수련이 비만 청소년의 체력과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4

      15 고경환, "태권도 수련생들의 시합 참여에 따른 사회성 발달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0

      16 장완성, "태권도 수련기간과 수련연령에 따른 체력, 체구성 및 체력요인의 변화에 대한 비교연구 : 초·중·고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慶熙大學校 體育科學大學院 1998

      17 김희찬, "태권도 수련 기간이 남자 초등학생의 신체구성, 체력, 혈액성분 및 복부지방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5

      18 조충경, "태권도 선수의 수준별 신체형태, 체력, 심폐기능 및 혈중지질 특성 비교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00

      19 임현순, "태권PAPS를 통한 초등학생의 건강체력, 운동기능체력, 태권도 전문체력의 차이"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김종원, "초등학생의 태권도장 수련생, 수영선수 및 일반학생의 신체구성과 체력비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오방균,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에 따른 체력차이 분석"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2

      22 정성국, "초등학생들의 태권도 수련에따른 체력 향상 효과" 10 (10): 571-580, 2001

      23 강형진, "초등학생 태권도 유단자와 유급자의 체력 및 골밀도 비교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선명수, "초등학생 태권도 수련에 따른 기초체력과 신체조성과의 관계연구"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5 김철우, "초등학교 태권도 수련생과 비수련생의 체력에 관한 비교분석"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5

      26 김나영, "초등학교 여자 태권도 수련생과 비수련생의 체력, 신체조성, 골밀도 및 인성의 비교"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9

      27 남재홍, "초등학교 아동의 태권도 수련기간에 따른 체력 비교"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05

      28 김영국, "성장기 아동들의 태권도 수련활동이체력요인에 미치는 영향." 4 : 71-80, 2005

      29 박은영, "발달장애 학생의 적응행동에 대한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1 (21): 59-78, 2011

      30 정제영, "미국 차터스쿨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7 (27): 101-122, 2009

      31 오성삼,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출판부 2002

      32 김희수, "남자 초등학생 태권도 수련생과 비수련생의 체격과 체력에 대한 비교분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4

      33 김희수, "남자 초등학생 태권도 수련생과 비수련생의 체격과 체력에 대한 비교분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5

      34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Erlbaum 1988

      35 Hedges, L. V.,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1985

      36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Prentice-Hall 1986

      37 Cooper, H. M.,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 by step approach (4th ed.)" Sage 2010

      38 Hunter, J. E., "Methods of meta-analysis: Correcting error and bias in research findings" Sage Publications 2004

      39 Borenstein, M., "Introduction to meta-anaylsis" Wiley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운동학 학술지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inesiology -> The Asian Journal of Kinesiolog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 The Journal of Kinesiolo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Kinesi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7 0.686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