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르의 혼합을 통한 주체성과 다중적 자아에 관한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73351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 회화과 , 2015. 2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750.18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expressing the lost of self identity and the multiple identity through interdisciplinary art -focused on the author's art work

      • 형태사항

        vii, 50 장.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설명적 각주 수록
        국·영문 초록 수록
        지도교수 : 김찬일
        서지적 각주 수록
        참고문헌(p. 46-47) 수록

      • DOI식별코드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 the 21th century, the effects of modernism and industrialism had become common in everyday life. As the mass media and new technology became widespread, modern technology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Indeed, people’s experiences are reduced in space and time by speed; and people and their communities can be distributed and transformed through time and space by technology. Consequently, self identity and being do not stay at one place but divided into several selves and be distributed to places and times, that is self being is no longer singular but several partials of oneself that floats from time to time and from place to place.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s to explain how she has gained her cultural conflicts and broken identity caused by the crush of two cultures, and how she expresses her thoughts and feelings in her works.
      For the last few years, the author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such as video and photography, and conventional mediums, such as painting and drawing, through making interdisciplinary artworks that engage their mediums as conceptual elements. Each medium has a specific nature, which the author tries to use intelligently: photography’s core communicative power is its ambiguous relationship to moments in time, while film ties such moments together with movement and sound. Painting, on the other hand, is an extended experience, beginning and ending depending upon the subjective decisions of the painter.
      Video and photography can represent the act of speaking, giving voice to a very personal set of my desires: for identity, recognition, and permanence. Because of my evolving awareness of the specific natures of these mediums, I take images of a person, place, or thing, and begin to configure the photographic images with painting. Intuitive and conceptual processes of placement allow me to investigate further the potential meanings of any such juxtapositions.
      In this study, I have introduce three series of my works: the Mask Series, Fat Model series, Ideal Man series. The Mask series is about cultural alienation and the desperation of any variety of attempts people make to fit into American society. The series has taken many shapes, including installation, sculpture, video, and still photographs. In the video, two masks are worn in the same everyday space. In the still photographs, the masks find their way into and onto a variety of banal sites, waiting to be picked up and put on. If the Korean in the video is disguised, like a spy, her disguise is deficient: her actions and speech will always make it impossible for her to pass as native. With collusion and conflicts caused by crush of two identities, she divided to against herself, and ends up denying herself. As a result, she suppresses her thoughts, emotions, opinions, and deepest self.
      In “The Ideal Man”, I attempt to disempower the power that white men have had in capitalistic society. By being posed to expose the lower half of the man’s body, standing to be measured for ‘evaluation’ and ‘estimation’ how he is close to the Ideal Male, the White male is dehumanized and disempowered. Such dehumanization represents that ideal man merely generates stereotype and false standard, and therefore only exists in picture (false reality or fantasy). I try to destroy the ironic reference and symbol of a white man as “perfect,” and transform the “perfection” into “imperfection.” Further I satirize the anxiety that society seems to express toward male nude. Also, this piece questions about ironic and problematic nature of female nude. Female nude historically are referred to as ‘beauty’ and most importantly and frequently seen as sexual object. By deleting body part and remaining genital area, I try to demonstrate that only important part of male body is phallic in satirical way.
      Through Fat Model series I attempted to demonstrate society’s eyes toward obesity and their own perception toward themselves. By putting fat women’s picture in an open public space where people usually see skinny models, I tried to break social norms and patterns.
      I keep the narratives of my work open, but the content does repeat, focusing on conceptions of transcendence and on moments of realization of the double cultures I identify with. I fuse visual, verbal, and auditory senses to rhyme formally with the fusion of cultural experience that is my reality. As Theresa Cha Hak Kyoung, artist of the post-Korean-War period, writes in her book, “Dictee,” “Our destination is fixed on the perpetual motion of search. Fixed in its perpetual exile.” In the author’s work, I hope represents this search, as much as it represents any one particular subject.
      번역하기

      By the 21th century, the effects of modernism and industrialism had become common in everyday life. As the mass media and new technology became widespread, modern technology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Indeed, people’s experiences ...

      By the 21th century, the effects of modernism and industrialism had become common in everyday life. As the mass media and new technology became widespread, modern technology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space and time. Indeed, people’s experiences are reduced in space and time by speed; and people and their communities can be distributed and transformed through time and space by technology. Consequently, self identity and being do not stay at one place but divided into several selves and be distributed to places and times, that is self being is no longer singular but several partials of oneself that floats from time to time and from place to place. In this study, the author tries to explain how she has gained her cultural conflicts and broken identity caused by the crush of two cultures, and how she expresses her thoughts and feelings in her works.
      For the last few years, the author h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media, such as video and photography, and conventional mediums, such as painting and drawing, through making interdisciplinary artworks that engage their mediums as conceptual elements. Each medium has a specific nature, which the author tries to use intelligently: photography’s core communicative power is its ambiguous relationship to moments in time, while film ties such moments together with movement and sound. Painting, on the other hand, is an extended experience, beginning and ending depending upon the subjective decisions of the painter.
      Video and photography can represent the act of speaking, giving voice to a very personal set of my desires: for identity, recognition, and permanence. Because of my evolving awareness of the specific natures of these mediums, I take images of a person, place, or thing, and begin to configure the photographic images with painting. Intuitive and conceptual processes of placement allow me to investigate further the potential meanings of any such juxtapositions.
      In this study, I have introduce three series of my works: the Mask Series, Fat Model series, Ideal Man series. The Mask series is about cultural alienation and the desperation of any variety of attempts people make to fit into American society. The series has taken many shapes, including installation, sculpture, video, and still photographs. In the video, two masks are worn in the same everyday space. In the still photographs, the masks find their way into and onto a variety of banal sites, waiting to be picked up and put on. If the Korean in the video is disguised, like a spy, her disguise is deficient: her actions and speech will always make it impossible for her to pass as native. With collusion and conflicts caused by crush of two identities, she divided to against herself, and ends up denying herself. As a result, she suppresses her thoughts, emotions, opinions, and deepest self.
      In “The Ideal Man”, I attempt to disempower the power that white men have had in capitalistic society. By being posed to expose the lower half of the man’s body, standing to be measured for ‘evaluation’ and ‘estimation’ how he is close to the Ideal Male, the White male is dehumanized and disempowered. Such dehumanization represents that ideal man merely generates stereotype and false standard, and therefore only exists in picture (false reality or fantasy). I try to destroy the ironic reference and symbol of a white man as “perfect,” and transform the “perfection” into “imperfection.” Further I satirize the anxiety that society seems to express toward male nude. Also, this piece questions about ironic and problematic nature of female nude. Female nude historically are referred to as ‘beauty’ and most importantly and frequently seen as sexual object. By deleting body part and remaining genital area, I try to demonstrate that only important part of male body is phallic in satirical way.
      Through Fat Model series I attempted to demonstrate society’s eyes toward obesity and their own perception toward themselves. By putting fat women’s picture in an open public space where people usually see skinny models, I tried to break social norms and patterns.
      I keep the narratives of my work open, but the content does repeat, focusing on conceptions of transcendence and on moments of realization of the double cultures I identify with. I fuse visual, verbal, and auditory senses to rhyme formally with the fusion of cultural experience that is my reality. As Theresa Cha Hak Kyoung, artist of the post-Korean-War period, writes in her book, “Dictee,” “Our destination is fixed on the perpetual motion of search. Fixed in its perpetual exile.” In the author’s work, I hope represents this search, as much as it represents any one particular subj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자전적 경험에서 시작되어 인간의 심리적인 요소인,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대립과, 그에 따른‘주체성의 붕괴’와‘다중적 자아’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즉, 미국 유학 생활에서 경험한 한국인의 자아와 미국인의 자아의 대립을 시작으로, ‘다중적 자아’와‘타인의 시선’이 작품의 모티브가 된 창작 배경과 작품 형성 과정, 본질적인 목적에 관한 조명이었다.
      ‘다중적 자아’의 표현 연구라는 본 논문은 이론적으로 심리학자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페르소나(persona)’를 근거로 해, ‘외적 인격’, ‘집단의식’,‘페르소나의 팽창’ 등으로 논리를 전개하였다. 여기서 가면(페르소나)은 보편적 집단 속에서 개인이 타인에게 보여주는‘외적 인격’을 의미하며, 때로는 생존과 집단과의 원활한 관계 형성,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에 토대한다.
      본고에서는 여러 장르를 소개해 혼합 장르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예술 매체가 지닌 특성을 뒷받침하여 본인 작업을 분석하였다. 아서 단토의 주장을 근거로 삼고, 앤디 워홀의 <브릴로>를 예로 들어 21세기 예술계에서 혼합장르가 새로운 예술 또는 장르의 벽을 깨는 예술로서 가능성을 가진다는 논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사진과 영상을 이용한 작품을 분석하며 현대인의‘주체성의 회복’을 논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의 특징이 작품의 프로젝트적인 특성과 재결합, 재구성이라는 창작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본인의 작품 안에서 장르 경계를 자연스럽게 허물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제인 ‘다중적 자아’의 표현 방법으로는 가면과 얼굴이라는 소재를 선택하였다. 본인 작품에서 가면은 사라진 주체성, 타자성을 의미한다. ‘타인의 시선’에 연계되어 나온 <Fat Model 시리즈>는 사회의 미적 규범, 여성 신체의 미적 현상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말의 고통’에 대하여 언급하였고, 텍스트가 상대방이 부재하여도‘소통’할 수 있는 또 다른 언어이며, 동시에 조형미가 있는 예술적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회화는 본인에게 가장 주관적이고 자율적인 해석과 표현력을 주는 장점이 있기에,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심리적 공간의 재현을 위해 적합한 표현 방법이라는 판단에 이르렀다.
      본 연구를 통해 본인은 주체성의 상실과 다중적 자아에 대해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본인 스스로 보다, 이 논문을 읽게 되는 사람들과 나아가 사회 전반에 치유와 도움이 되길 바라며, 관객들과 소통의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또한 본 논문의 연구를 이어가 앞으로도 본인이 관심 있어 하는 우리들의 모습, 우리 사회의 모습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더 많은 표현 방법과 작품을 모색할 것이다. 향후 예술 작품의 영역과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에 본인의 분석 결과들이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자전적 경험에서 시작되어 인간의 심리적인 요소인,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대립과, 그에 따른‘주체성의 붕괴’와‘다중적 자아’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을 ...

      본 논문은 자전적 경험에서 시작되어 인간의 심리적인 요소인,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대립과, 그에 따른‘주체성의 붕괴’와‘다중적 자아’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즉, 미국 유학 생활에서 경험한 한국인의 자아와 미국인의 자아의 대립을 시작으로, ‘다중적 자아’와‘타인의 시선’이 작품의 모티브가 된 창작 배경과 작품 형성 과정, 본질적인 목적에 관한 조명이었다.
      ‘다중적 자아’의 표현 연구라는 본 논문은 이론적으로 심리학자 칼 구스타브 융(Carl Gustav Jung, 1875~1961)의 ‘페르소나(persona)’를 근거로 해, ‘외적 인격’, ‘집단의식’,‘페르소나의 팽창’ 등으로 논리를 전개하였다. 여기서 가면(페르소나)은 보편적 집단 속에서 개인이 타인에게 보여주는‘외적 인격’을 의미하며, 때로는 생존과 집단과의 원활한 관계 형성,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는 인식에 토대한다.
      본고에서는 여러 장르를 소개해 혼합 장르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예술 매체가 지닌 특성을 뒷받침하여 본인 작업을 분석하였다. 아서 단토의 주장을 근거로 삼고, 앤디 워홀의 <브릴로>를 예로 들어 21세기 예술계에서 혼합장르가 새로운 예술 또는 장르의 벽을 깨는 예술로서 가능성을 가진다는 논리를 전개하였다. 그리고 사진과 영상을 이용한 작품을 분석하며 현대인의‘주체성의 회복’을 논하였다. 특히 본 연구자의 특징이 작품의 프로젝트적인 특성과 재결합, 재구성이라는 창작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본인의 작품 안에서 장르 경계를 자연스럽게 허물게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제인 ‘다중적 자아’의 표현 방법으로는 가면과 얼굴이라는 소재를 선택하였다. 본인 작품에서 가면은 사라진 주체성, 타자성을 의미한다. ‘타인의 시선’에 연계되어 나온 <Fat Model 시리즈>는 사회의 미적 규범, 여성 신체의 미적 현상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말의 고통’에 대하여 언급하였고, 텍스트가 상대방이 부재하여도‘소통’할 수 있는 또 다른 언어이며, 동시에 조형미가 있는 예술적 매체가 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회화는 본인에게 가장 주관적이고 자율적인 해석과 표현력을 주는 장점이 있기에,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심리적 공간의 재현을 위해 적합한 표현 방법이라는 판단에 이르렀다.
      본 연구를 통해 본인은 주체성의 상실과 다중적 자아에 대해 깊게 이해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본인 스스로 보다, 이 논문을 읽게 되는 사람들과 나아가 사회 전반에 치유와 도움이 되길 바라며, 관객들과 소통의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또한 본 논문의 연구를 이어가 앞으로도 본인이 관심 있어 하는 우리들의 모습, 우리 사회의 모습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더 많은 표현 방법과 작품을 모색할 것이다. 향후 예술 작품의 영역과 가능성을 확장하는 데에 본인의 분석 결과들이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 론 1
      • Ⅰ. 작품의 형성배경 3
      • 1. 새로운 문화, 다중적 자아 3
      • 2. 타인의 시선 7
      • Ⅱ. 작품의 전개방식 13
      • 서 론 1
      • Ⅰ. 작품의 형성배경 3
      • 1. 새로운 문화, 다중적 자아 3
      • 2. 타인의 시선 7
      • Ⅱ. 작품의 전개방식 13
      • 1. 사진과 영상을 통한 ‘주체성의 회복' 13
      • 2. 텍스트를 통한 내적 자아의 표현 23
      • 3. 심리적 공간의 재현을 위한 회화 26
      • Ⅲ. 작품의 분석 29
      • 1. 가면 시리즈 30
      • 1) 초기- <Disguise시리즈>(변장 시리즈) 30
      • 2) 후기- <가면 시리즈> 32
      • 2. Ideal Man 시리즈 35
      • 3. Fat Model 시리즈 38
      • 결 론 43
      • 참 고 문 헌 46
      • Abstract 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