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대학교박물관, "龍馬山 第 2堡壘 發掘調査 報告書" 2009
2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漣川 瓠蘆古壘 Ⅲ(第 2次 發掘調査報告書)" 2007
3 高麗文化財硏究院, "漣川 江內里 遺蹟"
4 한백문화재연구원, "화성 청계리 유적"
5 여호규, "한성백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백제학연구소 2013
6 양시은, "한강유역 고구려토기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7 崔鍾澤, "한강유역 고구려 토기 연구" 서울대학교 1995
8 梁時恩, "한강 유역 출토 고구려 토기의 편년과 성격, 고구려와 충주" (사)예성문화연구회·(사)고구려발해학회 2013
9 안신원, "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 고구려발해학회 36 : 71-96, 2010
10 심광주, "청주 부모산성의 종합적 고찰" 충북대학교박물관 2013
1 서울대학교박물관, "龍馬山 第 2堡壘 發掘調査 報告書" 2009
2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漣川 瓠蘆古壘 Ⅲ(第 2次 發掘調査報告書)" 2007
3 高麗文化財硏究院, "漣川 江內里 遺蹟"
4 한백문화재연구원, "화성 청계리 유적"
5 여호규, "한성백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나" 한성백제박물관백제학연구소 2013
6 양시은, "한강유역 고구려토기의 제작기법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7 崔鍾澤, "한강유역 고구려 토기 연구" 서울대학교 1995
8 梁時恩, "한강 유역 출토 고구려 토기의 편년과 성격, 고구려와 충주" (사)예성문화연구회·(사)고구려발해학회 2013
9 안신원, "최근 한강 이남에서 발견된 고구려계 고분" 고구려발해학회 36 : 71-96, 2010
10 심광주, "청주 부모산성의 종합적 고찰" 충북대학교박물관 2013
11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연천신답리고분-발굴조사보고서" 2003
12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연천 은대리성 지표 및 시·발굴조사 보고서" 2004
13 서울대학교박물관, "연천 고구려성곽(3개소) 발굴 및 정밀지표조사 약보고" 2010
14 서울대학교박물관, "아차산 제 4보루-발굴조사 종합보고서-" 2000
15 서울대학교박물관, "아차산 시루봉 보루-발굴조사 종합보고서-" 2002
16 국립문화재연구소, "남한의 고구려유적-현황조사 및 보존정비 기본계획(안)-" 2006
17 양시은, "남한에서 확인되는 고구려의 시·공간적 정체성" 중부고고학회 10 (10): 101-131, 2011
18 양시은,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구조와 성격" 고구려발해학회 36 : 97-132, 2010
19 양시은, "고구려의 한강유역 지배방식에 대한 검토" 중부고고학회 9 (9): 31-64, 2010
20 崔鍾澤, "고구려 토기 연구" 서울대학교 1999
21 양시은, "고구려 성 연구" 서울대학교 2013
22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 901-3번지 신축부지내 문화재 발굴조사 간략보고서" 2007
23 사공정길, "高句麗 食生活 硏究" 고려대학교 2013
24 土田純子, "百濟土器 編年 硏究" 충남대학교 2013
25 충북대학교박물관, "淸原 南城谷 高句麗遺蹟"
26 中原文化財硏究院, "忠州 豆井里 遺蹟: 충주 클린에너지파크 조성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0
27 서울대학교박물관, "夢村土城-東南地區發掘調査報告" 1988
28 漢陽大學校 博物館, "坡州 舟月里 遺蹟" 京畿道博物館 1999
29 예맥문화재연구원, "原州 建登里遺蹟-원주 건등리 아파트신축부지 발굴조사보고서-" 2008
30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古墳의 構造特徵과 歷史的 意味" 한국고고학회 (81) : 139-176, 2011
31 최종택, "南韓地域 高句麗 土器의 編年 硏究" 한국고대학회 (24) : 283-299, 2006
32 김정인, "中原文化財硏究"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33 강원문화재연구원, "下花溪里.哲亭里.驛內里 遺蹟-國道 44號線(구성포~어론간)道路 擴.鋪裝工事區域 內 遺蹟發掘調査 報告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