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광주 트라우마센터의 심리적 및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Survivors of May 18 Democratic Uprising : Focused on psychological and social trauma healing program of Gwangju Trauma Cen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5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5.18 survivors through psychological and social trauma healing programs conducted by Gwangju Trauma Center in the absence of academic research on posttraumatic growth.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trauma healing programs conducted by the Gwangju Trauma Center for 5.18 people in 2013 and 2014.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trauma healing project of the Public Trauma Healing Center to recover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5‧18 survivor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5.18 survivors through psychological and social trauma healing programs conducted by Gwangju Trauma Center in the absence of academic research on posttraumatic growth. We analyzed 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posttraumatic growth of 5.18 survivors through psychological and social trauma healing programs conducted by Gwangju Trauma Center in the absence of academic research on posttraumatic growth.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trauma healing programs conducted by the Gwangju Trauma Center for 5.18 people in 2013 and 2014.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trauma healing project of the Public Trauma Healing Center to recover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5‧18 survivor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전무한 현실에서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실시한 심리적,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5‧18 외상의 외상 후 성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2013년과 2014년에 5‧18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적,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향후 5‧18 생존자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으로 나가기 위한 공적 외상치유센터의 외상치유사업의 중요성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전무한 현실에서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실시한 심리적,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5‧18 외상의 외상 후 성장을 ...

      이 글의 목적은 5‧18 생존자의 외상 후 성장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전무한 현실에서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실시한 심리적,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5‧18 외상의 외상 후 성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2013년과 2014년에 5‧18 관련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적, 사회적 외상치유 프로그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를 토대로 향후 5‧18 생존자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외상 후 성장으로 나가기 위한 공적 외상치유센터의 외상치유사업의 중요성과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보라,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147-167, 2010

      2 정혜신,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위하여" 창비 2015

      3 한경아,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예측모형" 한양대학교 2016

      4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23, 2008

      5 김영애,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현실치료기반 상담 모형 구축" 계명대학교 2016

      6 유희정,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7 Calhoun, L. G., "외상 후 성장 상담 및 심리치료에의적용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학지사 2015

      8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지윤, "예술치유활동을 통한 탄력성 변화와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연구 : 5 18 광주민주화운동 생존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6

      10 Seligman, M, "긍정심리학" 물푸레 2009

      1 남보라,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147-167, 2010

      2 정혜신, "천사들은 우리 옆집에 산다 :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를위하여" 창비 2015

      3 한경아,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 예측모형" 한양대학교 2016

      4 이양자,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1-23, 2008

      5 김영애,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현실치료기반 상담 모형 구축" 계명대학교 2016

      6 유희정,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7 Calhoun, L. G., "외상 후 성장 상담 및 심리치료에의적용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ractice]" 학지사 2015

      8 최승미,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9 박지윤, "예술치유활동을 통한 탄력성 변화와 외상 후 성장 경험에 관한연구 : 5 18 광주민주화운동 생존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6

      10 Seligman, M, "긍정심리학" 물푸레 2009

      11 최정기, "국가폭력과 트라우마의 발생 기제 : 광주 ‘5‧18’ 피해자를 대상으로" 비판사회학회 (77) : 58-78, 2008

      12 오수성, "광주 5월 민중항쟁" 풀빛 1990

      13 허먼, 주디스,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폭력까지" 열린책들 2012

      14 Tedeschi, R. G, "Violence transformed: Posttraumatic growth in survivors and their societies" 4 (4): 319-341, 1999

      15 Scurfield, R. M, "Trauma and Its Wake, vol.1" Brunner/ Mazel 219-256, 1985

      16 Ruth, L, "Trauma : A Genealog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40, 2000

      17 Foa, E. B., "The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9 : 445-451, 1997

      18 Derogatis, L. R, "The SCL-90 : An outpatient psychiatric rating scale-preliminary report" 9 : 13-27, 1978

      19 Tedeschi, R. 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9 (9): 455-471, 1996

      20 Maercker, A.,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 Toward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15 : 41-48, 2004

      21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Erlbaum 1998

      22 Tedeschi, R. G.,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15 (15): 1-18, 2004

      23 Taylor, S. E., "Positive illusion and coping with adversity" 64 : 873-898, 1996

      24 Schaefer, J. A., "Personal cop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Praeger 1992

      25 Taku, K., "Intrusive versus deliberate rumination in posttraumatic growth across US and Japanese samples" 22 (22): 129-136, 2009

      26 Tedeschi, R. G.,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91-310, 2006

      27 DeRoma, V., "College students’ PTSD symptoms, coping and perceived benefits following media exposure to 9/11" 18 : 49-64, 2003

      28 Yalom, I., "Bereavement and heightened existential awareness" 5 (5): 334-345, 1991

      29 Cann, A., "Assessing posttraumatic cognitive processes: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24 (24): 137-156, 2011

      30 Taylor, S. E, "Adjustment to threatening events : A theory of cognitive adaptation" 38 : 1161-1173, 1983

      31 오수성, "5·18 피해자들의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스트레스, 심리건강 간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595-611, 2008

      32 박지윤, "5·18 생존자의 예술치유경험을 통한 탄력적재통합 연구: 광주 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18 (18): 111-146, 2016

      33 오수성, "518 피해자들의 만성 외상 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 25 (25): 59-75, 2006

      34 오수성, "5 18민주유공자 생활실태 후유증 실태조사 및 치료프로그램 개발 연구" 5 18기념재단 2007

      35 5 18기념재단, "5 18민주유공자 생활실태 후유증 실태조사" 2006

      36 5 18기념재단, "5 18민주유공자 생활실태 후유증 실태조사" 2002

      37 광주트라우마센터, "5 18관련자 등 국가폭력생존자 재활성과 보고서" 2013

      38 광주트라우마센터, "5 18관련자 등 국가폭력생존자 재활성과 보고서" 2014

      39 최정기, "5 18 트라우마티즘 실태파악을 위한 기초조사" 5 18기념재단 2001

      40 오수성, "5 18 민주유공자 생활실태 및 후유증실태 조사연구 보고서" 5 18 기념재단 2006

      41 박영주, "1960∼80년대 민주화운동 참여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광주광역시 거주자들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4 (14): 73-10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1 1.25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