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1960년대부터 단핵도심에서 탈피하고자 도시기본계획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다핵도심을 구상했다. 오늘날 서울은 사대문안, 영등포ㆍ여의도, 강남으로 이루어진 3핵이 두드러지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952588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23(19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서울시는 1960년대부터 단핵도심에서 탈피하고자 도시기본계획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다핵도심을 구상했다. 오늘날 서울은 사대문안, 영등포ㆍ여의도, 강남으로 이루어진 3핵이 두드러지게 ...
서울시는 1960년대부터 단핵도심에서 탈피하고자 도시기본계획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다핵도심을 구상했다. 오늘날 서울은 사대문안, 영등포ㆍ여의도, 강남으로 이루어진 3핵이 두드러지게 발전하여, 2014년 서울도시기본계획은 3도심 체제를 설정하고 있다. 이 연구는 다핵 중에서 3핵
이 어떻게 오늘과 같이 발전하였는지 역사적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도시기본계획이 장기적인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 형성에 기여해왔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계획 변화과정과 주요기능 시설배치 및 지하철 노선배치 측면에서의 도시공간구조 변화과정을 상호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기본계획은 장기적으로 도시공간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시기본계획의 다핵도심구상은 정치ㆍ행정, 업무, 상업기능의 시설이 3핵을 위주로 입지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하철 노선배치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1기 노선은 도시공간구조 형성을 고려하여 계획되었으며, 2,3기 노선은 도시구조가 3핵으로 이루어진 현실을 반영하여 계획되었다. 이같이 서울의 도시공간구조는 6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수립된 도시기본계획을 통하여 이루어 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ntinuously pursued the multi-centric city through City master plans since 1960s. Today, 3 major city centers consisting of Sadaemunan, YeouidoㆍYeongdeungpo, Gangnam were approved as major city centers in the 2014 ...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ntinuously pursued the multi-centric city through City master plans since 1960s. Today, 3 major city centers consisting of Sadaemunan, YeouidoㆍYeongdeungpo, Gangnam were approved as major city centers in the 2014 Seoul city master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process how the 3 major city centers were developed remarkably from the planned multi-centers and to prove that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the 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the long term. For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development of the multi-centric city concept in city master plans since 1960s. Results indicate that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the 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the long term. More specifically, the multi-centric city concept of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facilities and func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business and commercial functions to be located in 3 major city centers and subway lines. The first subway line were planned to consider urban spatial structure. The second and third subway lines were planned to reflect that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has already 3 major city centers. Thus,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was made with City master plans since 1960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건설백년사(중)" 한국철도시설공단 2005
2 김병도, "한국 백화점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이주형, "토지이용밀도 및 주거유형별 분포에 따른 서울시 중심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253-280, 2009
4 손육래, "육조거리와 정부청사 이야기" 건축세계 2010
5 정윤영, "유동인구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분석 연구- ‘2030 서울플랜’과 비교연구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39-158, 2014
6 서울특별시 한강건설사업소, "여의도 종합 개발 계획"
7 서울특별시 한강건설사업소, "여의도 및 한강연안개발계획"
8 서울특별시, "시정종합계획"
9 서울특별시, "시정10개년계획"
10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지하철건설삼십년사"
1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철도건설백년사(중)" 한국철도시설공단 2005
2 김병도, "한국 백화점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3 이주형, "토지이용밀도 및 주거유형별 분포에 따른 서울시 중심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1 (21): 253-280, 2009
4 손육래, "육조거리와 정부청사 이야기" 건축세계 2010
5 정윤영, "유동인구 자료를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분석 연구- ‘2030 서울플랜’과 비교연구 -" 한국지역개발학회 26 (26): 139-158, 2014
6 서울특별시 한강건설사업소, "여의도 종합 개발 계획"
7 서울특별시 한강건설사업소, "여의도 및 한강연안개발계획"
8 서울특별시, "시정종합계획"
9 서울특별시, "시정10개년계획"
10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지하철건설삼십년사"
11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 "서울지하철 9호선건설지"
12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 "서울지하철 2호선건설지"
13 안창모, "서울의 도시화 과정에서 여의도의 소외와 개발" 한국도시설계학회 11 (11): 53-68, 2010
14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육백년사" 1996
15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600년 서울을 담다"
16 여홍구, "서울시 오피스의 공간분포 및 입지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7 (37): 117-135, 2002
17 김혜나, "서울시 도시공간구조변화와 저명인사 주거분포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18 서울메트로, "서울메트로30년사 시민의 발 시민의 길" 서울메트로 2012
19 서울특별시, "서울도시기본구조연구" 1977
20 김문현, "서울도시기본계획의 검토와 보완과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3
21 서울특별시, "서울도시기본계획 조정수립"
22 서울특별시, "서울도시기본계획"
23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서울도시계획중심지에 대한 평가 및 위계 재정립방안 연구" 2009
24 손정목, "서울도시계획이야기: 서울 격동의 50년과 나의 증언, 1권" 도서출판한울 2003
25 정혜진, "서울대도시권 인구 및 고용밀도의 중심성 변화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6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20세기 공간변천사"
27 서울특별시시편찬위원회, "사대문 안 학교들 강남으로 가다" 2012
28 신동진, "도시기본계획의 정책내용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7-20, 2008
29 이기배, "도시기본계획의 논리구성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7-22, 2008
30 서울특별시, "도시구조개편을 위한 다핵도시 개발연구" 1984
31 고경곤, "균형발전촉진지구 사업이 서울시 중심지 체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32 문채, "국토계획법상 도시기본계획제도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39-52, 2004
33 서울특별시, "2030 서울도시기본계획(2030 서울플랜) 본보고서" 2014
34 서울특별시, "2020 서울도시기본계획"
35 서울특별시, "2011 서울도시기본계획"
36 서울특별시, "2000년대를 향한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37 서울특별시, "2000년대를 향한 서울도시기본계획"
신도시 아파트 단지 내 텃밭활동에 의한 이웃주민 간 사회적 유대감 형성 효과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 가든 활성화를 위한 공동주택단지 내 외부 공간 선호도 연구
사회연결망분석(SNA)을 활용한 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자의 이웃관계 변화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1 | 0.81 | 0.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 | 0.91 | 1.33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