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방 관련 언론보도가 소방공무원의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edia Reports about Firefighting on Job Stress among Firefigh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3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consider the effects of interest in contents, acceptance, and justice of media reports on job stress among firefighters in the Busan Fire Service Headquarters.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theoretical basic data for improving response to media reports, in order to relieve job stress of firefighters in the futur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in relation to cognition (interest, acceptance, and justice) of medial reports, justice of media reports had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among firefighters.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reduced, as firefighters recognized that media reports were fair. To put it concretely, first, the interest in reports about conflicts with other institutes and the interest in reports about good deeds/moving stories significantly affected job stress of firefighters. An increase of interest in reports about conflicts with other institutes was related to high job stress. But when the interest in reports about good deeds/moving stories increased, job stress de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acceptance of reports about good deeds/moving stor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tress of firefighters.. When firefighters highly accepted reports about good deeds/moving stories, job stress declined. Third, justice of reports about policies, reports about firefighting activities, and reports about corruptions/irregulari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In particular, when they recognized that reports about firefighting activities or corruptions/irregularities were just, job stress reduc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consider the effects of interest in contents, acceptance, and justice of media reports on job stress among firefighters in the Busan Fire Service Headquarters.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theoretical basic 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consider the effects of interest in contents, acceptance, and justice of media reports on job stress among firefighters in the Busan Fire Service Headquarters.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theoretical basic data for improving response to media reports, in order to relieve job stress of firefighters in the future. The analysis result showed that in relation to cognition (interest, acceptance, and justice) of medial reports, justice of media reports had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among firefighters. It was found that job stress reduced, as firefighters recognized that media reports were fair. To put it concretely, first, the interest in reports about conflicts with other institutes and the interest in reports about good deeds/moving stories significantly affected job stress of firefighters. An increase of interest in reports about conflicts with other institutes was related to high job stress. But when the interest in reports about good deeds/moving stories increased, job stress de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acceptance of reports about good deeds/moving stor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tress of firefighters.. When firefighters highly accepted reports about good deeds/moving stories, job stress declined. Third, justice of reports about policies, reports about firefighting activities, and reports about corruptions/irregulari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tress. In particular, when they recognized that reports about firefighting activities or corruptions/irregularities were just, job stress reduc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부산소방본부 소속 소방공무원들이 언론보도에 대한 내용별 관심도, 수용도, 공정도 인식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언론보도에 대한 대처를 개선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언론보도에 대한 인식(관심도, 수용도, 공정도)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언론보도에 대한 공정도가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들은 언론보도가 공정하다고 인식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언론보도에 대한 관심도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타기관과 갈등관련 보도 관심도와 선행/미담관련 보도 관심도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기관과의 갈등관련 보도의 경우 관심도가 증가할수록 직무스트레스도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선행/미담관련 보도의 경우에는 관심도가 증가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결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언론보도에 대한 수용도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선행/미담관련 보도 수용도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들의 경우, 선행/미담관련 보도 수용도가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언론보도에 대한 공정도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정책관련 보도 공정도, 소방활동관련 보도 공정도, 부패/비리관련 보도 공정도가 직무스트레스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활동관련 또는 부패/비리관련 보도가 공정하다고 인식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부산소방본부 소속 소방공무원들이 언론보도에 대한 내용별 관심도, 수용도, 공정도 인식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부산소방본부 소속 소방공무원들이 언론보도에 대한 내용별 관심도, 수용도, 공정도 인식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향후 소방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언론보도에 대한 대처를 개선시키기 위한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언론보도에 대한 인식(관심도, 수용도, 공정도)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언론보도에 대한 공정도가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들은 언론보도가 공정하다고 인식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언론보도에 대한 관심도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타기관과 갈등관련 보도 관심도와 선행/미담관련 보도 관심도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기관과의 갈등관련 보도의 경우 관심도가 증가할수록 직무스트레스도 올라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선행/미담관련 보도의 경우에는 관심도가 증가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결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언론보도에 대한 수용도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선행/미담관련 보도 수용도가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공무원들의 경우, 선행/미담관련 보도 수용도가 높아질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언론보도에 대한 공정도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정책관련 보도 공정도, 소방활동관련 보도 공정도, 부패/비리관련 보도 공정도가 직무스트레스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활동관련 또는 부패/비리관련 보도가 공정하다고 인식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한국콘텐츠학회 9 (9): 241-248, 2009

      2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3 백운기, "재난보도준칙 특성 및 규제에 대한 인식이 정책순응과 업무수행 행태에 미치는 영향 -재난주관방송사 언론 종사자를 중심으로" 2015

      4 송유라, "재난보도의 피해자 인격권 침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5 이상호, "일선 지역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경찰연구학회 16 (16): 281-310, 2017

      6 조경서, "유아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69-288, 2014

      7 최낙순,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481-501, 2011

      8 이상구,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9 이해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서 소진의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106-112, 2017

      10 정호철,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7

      1 박동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통해 본 재난보도의 문제점" 한국콘텐츠학회 9 (9): 241-248, 2009

      2 장세진,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97-317, 2005

      3 백운기, "재난보도준칙 특성 및 규제에 대한 인식이 정책순응과 업무수행 행태에 미치는 영향 -재난주관방송사 언론 종사자를 중심으로" 2015

      4 송유라, "재난보도의 피해자 인격권 침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5 이상호, "일선 지역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경찰연구학회 16 (16): 281-310, 2017

      6 조경서, "유아교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결정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검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69-288, 2014

      7 최낙순,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5 (25): 481-501, 2011

      8 이상구,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9 이해영,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서 소진의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31 (31): 106-112, 2017

      10 정호철,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7

      11 이재무,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5 (25): 61-89, 2016

      12 윤명숙,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스트레스대처의 다중매개 효과" 2014

      13 이현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심리적 요인 및 수면의 질이 피로수준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7

      14 이호진,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지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20 (20): 315-324, 2011

      15 이상구,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원인과 결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직무특성, 역할혼돈, 동료관계와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한국화재소방학회 21 (21): 74-86, 2007

      16 지성연,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복지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소방서 현장활동 소방관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8

      17 최미숙,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4917-4926, 2012

      18 김현, "소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 대처방식, 직무만족"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4 (24): 323-330, 2015

      19 이나윤,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 9 (9): 83-93, 2012

      20 박윤환,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건강심신캠프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대한지방자치학회 15 (15): 123-146, 2013

      21 민세홍, "소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와 잠재적 안전사고위험도 분석" 2012

      22 백선기, "보도준칙을 통해서 본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한국소통학회 (18) : 7-54, 2012

      23 최진봉, "방송 뉴스의 재난보도 콘텐츠에 대한 분석: 지상파 3사와 JTBC의 세월호 참사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6 (16): 539-550, 2016

      24 윤경희, "경찰의 직무스트레스 해소 및 치료를 위한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1 (11): 185-216, 2012

      25 이훈재, "경찰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경찰공무원의 인식과 사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26 문유석, "경찰관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영향요인" 한국지방정부학회 14 (14): 41-60, 2011

      27 김성환,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28 심형인, "경찰 공무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수평적 리더십과 절차 공정성의 조절 효과" 한국경찰연구학회 15 (15): 183-216, 2016

      29 이준영, "강원지역 소방공무원에서 직무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불안의학회 10 (10): 151-156, 2014

      30 Cullen, F., "The Social Dimensions of Correctional Officer Stress" 2 (2): 505-533, 1985

      31 Brown, J. M.,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 police" 4 (4): 305-318, 1990

      32 W. Schramm, "Men Women Message and Media" Harper & Row 27-31, 1982

      33 Griffin, M. L., "Job Involvement,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Commitmentand the Burnout of Correctional Staff" 37 (37): 239-255, 2010

      34 Severin, Werner J., "Communication Theories: Origins, Methods, Uses" Longman Publishers 19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