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한전불사(漢傳佛寺)의 한화(漢化) 과정에 나타난 종교적 형상화와 세속화 = The Religious Imagery and Secularization from the Hanization Process of Chinese Buddhist Temples in Han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95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site layout of the Buddhist temple and its inside/outside environment from the Later Han to the Qing Dynasty, focusing on the process of Hanization of the religious style derived from India and the West. Budosa, the first spatial style of Chinese Buddhist temple, is thought to be similar to the layout of “Mingtang-Piyong,” with its simple style consisting of a zhonglou pavilion and four-sided corridor. Entering from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into Sui and Tang Dynasties, the status pagoda and sanctum was rever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nctum was placed as the main building of temple and the pagoda was gradually pushed to both sides or the periphery of temple and treated as an accessory structure. This period is said to have established the basic style of the Han Buddhist temple, with the appearance of temples that conformed to the palace’s construction method and Buddha statues following Emperor’s design. In Song Dynasty, one can re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ll Hanization from Shichidou Garan formed around temples of the Zen sect. For the temples from Yuan and Ming Dynasties, the emergence of Risshu style halls and Pure Land sect style temples is noted. By the time of the Qing Dynasty, the temples were transformed into colorful garden temples where the old rituals and archaism disappeared, filled with elements of private gardens with attractions and interests. Meanwhile, Buddhism in Qing Dynasty is characterized by strong popular colors with a mix of popular culture and folk belief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site layout of the Buddhist temple and its inside/outside environment from the Later Han to the Qing Dynasty, focusing on the process of Hanization of the religious style derived from India and the West. Budosa,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site layout of the Buddhist temple and its inside/outside environment from the Later Han to the Qing Dynasty, focusing on the process of Hanization of the religious style derived from India and the West. Budosa, the first spatial style of Chinese Buddhist temple, is thought to be similar to the layout of “Mingtang-Piyong,” with its simple style consisting of a zhonglou pavilion and four-sided corridor. Entering from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into Sui and Tang Dynasties, the status pagoda and sanctum was rever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nctum was placed as the main building of temple and the pagoda was gradually pushed to both sides or the periphery of temple and treated as an accessory structure. This period is said to have established the basic style of the Han Buddhist temple, with the appearance of temples that conformed to the palace’s construction method and Buddha statues following Emperor’s design. In Song Dynasty, one can re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ll Hanization from Shichidou Garan formed around temples of the Zen sect. For the temples from Yuan and Ming Dynasties, the emergence of Risshu style halls and Pure Land sect style temples is noted. By the time of the Qing Dynasty, the temples were transformed into colorful garden temples where the old rituals and archaism disappeared, filled with elements of private gardens with attractions and interests. Meanwhile, Buddhism in Qing Dynasty is characterized by strong popular colors with a mix of popular culture and folk belief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한전불교 사찰을 대상으로 후한 때부터 청대까지의 역사적 가람배치와 사원 내외의 환경을 구명한 것으로 인도·서역에서 비롯된 종교형식이 중국 고유의 형제로 한화(漢化)되는 과정에 주안점을 두고 고찰되었다. 중국 불사의 최초 공간형식인 부도사(浮圖祠)는 중루와 사면 회랑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중국 고대 예제건축인 ‘명당·벽옹식’의 배치평면과 유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남북조시대에서 수당대에 접어들면 탑과 불전의 그 위상이 역전되어, 불전이 사원의 중심건물로 배치되고 탑이 점차 불전 마당의 양 측면이나 주변부로 밀려나 부속시설로 취급된 점이 확인된다. 이 시기는 황제의 복식을 따른 불상이 제조되고 궁궐의 조영법식을 준용한 사원이 나타나는 등 한전불사의 기본적인 형식이 구축된 것으로 평가된다. 송대에는 선종사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가람칠당식 배치에서 완전히 한화된 형질을 읽을 수 있다. 원명대 사묘에서는 율종 형식의 계당(戒堂)이나 정토종 개념의 불당들의 출현이 특기된다. 청대에 이르러 불사는 이전의 법식과 고풍이 사라진 화려한 원림식 사묘로 개조되어 볼거리와 흥미를 구비한 민간 원림 요소들로 채워졌다. 이는 대중문화와 민간신앙적 요소가 한데 섞여 강한 통속적인 색채를 갖는 청대 불교의 특징으로 지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 한전불교 사찰을 대상으로 후한 때부터 청대까지의 역사적 가람배치와 사원 내외의 환경을 구명한 것으로 인도·서역에서 비롯된 종교형식이 중국 고유의 형제로 한화(漢化)...

      본 연구는 중국 한전불교 사찰을 대상으로 후한 때부터 청대까지의 역사적 가람배치와 사원 내외의 환경을 구명한 것으로 인도·서역에서 비롯된 종교형식이 중국 고유의 형제로 한화(漢化)되는 과정에 주안점을 두고 고찰되었다. 중국 불사의 최초 공간형식인 부도사(浮圖祠)는 중루와 사면 회랑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형식으로 이루어져, 중국 고대 예제건축인 ‘명당·벽옹식’의 배치평면과 유사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남북조시대에서 수당대에 접어들면 탑과 불전의 그 위상이 역전되어, 불전이 사원의 중심건물로 배치되고 탑이 점차 불전 마당의 양 측면이나 주변부로 밀려나 부속시설로 취급된 점이 확인된다. 이 시기는 황제의 복식을 따른 불상이 제조되고 궁궐의 조영법식을 준용한 사원이 나타나는 등 한전불사의 기본적인 형식이 구축된 것으로 평가된다. 송대에는 선종사원을 중심으로 형성된 가람칠당식 배치에서 완전히 한화된 형질을 읽을 수 있다. 원명대 사묘에서는 율종 형식의 계당(戒堂)이나 정토종 개념의 불당들의 출현이 특기된다. 청대에 이르러 불사는 이전의 법식과 고풍이 사라진 화려한 원림식 사묘로 개조되어 볼거리와 흥미를 구비한 민간 원림 요소들로 채워졌다. 이는 대중문화와 민간신앙적 요소가 한데 섞여 강한 통속적인 색채를 갖는 청대 불교의 특징으로 지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동석, "洛陽伽藍記" 동서문화사 2009

      2 장정태, "한국불교와 민간신앙의 혼합현상" 한국사상문화학회 (96) : 87-121, 2019

      3 장정태, "한국불교와 민간신앙의 습합현상" 한국불교학회 (75) : 253-285, 2015

      4 강우방, "한국 불교조각의 흐름" 대원사 1999

      5 尙晉, "칠당가람 소고" 21 (21): 205-207, 2012

      6 鎌田茂雄, "중국불교사" 경서원 1985

      7 미찌하다 료오슈, "중국불교사" 우리출판사 1996

      8 현승욱, "중국 초기 불교사원 배치에 관한 연구 - 후한(後漢)부터 남북조(南北朝)까지의 문헌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2 (22): 29-40, 2013

      9 김성우,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마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05-112, 2003

      10 장파, "중국 미학사:상고 시대부터 명청 시대까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9

      1 임동석, "洛陽伽藍記" 동서문화사 2009

      2 장정태, "한국불교와 민간신앙의 혼합현상" 한국사상문화학회 (96) : 87-121, 2019

      3 장정태, "한국불교와 민간신앙의 습합현상" 한국불교학회 (75) : 253-285, 2015

      4 강우방, "한국 불교조각의 흐름" 대원사 1999

      5 尙晉, "칠당가람 소고" 21 (21): 205-207, 2012

      6 鎌田茂雄, "중국불교사" 경서원 1985

      7 미찌하다 료오슈, "중국불교사" 우리출판사 1996

      8 현승욱, "중국 초기 불교사원 배치에 관한 연구 - 후한(後漢)부터 남북조(南北朝)까지의 문헌을 중심으로 -" 한국건축역사학회 22 (22): 29-40, 2013

      9 김성우, "중국 연변 조선족 전통마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 (19): 105-112, 2003

      10 장파, "중국 미학사:상고 시대부터 명청 시대까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9

      11 정우진, "중국 묘학 반수(泮水)의 변천과 전개양상"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182-197, 2011

      12 한지만, "중국 당대 선종사원 성립에 관한 문헌 연구" 대한건축학회 31 (31): 143-152, 2015

      13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종교의 본질에 대하여" 한길사 2008

      14 이은상, "이미지로 읽는 양쯔강의 르네상스" 한국학술정보 2012

      15 서아리, "송대 선찰의 건축 공간 : 『선원청규』와 『오산십찰도』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4

      16 한지만, "송대 선종사원의 승당과 고원 배치 전통" 한국건축역사학회 25 (25): 45-56, 2016

      17 멀치아 엘리아데, "성과 속" 학민사 2009

      18 이부키 아츠시, "새롭게 다시 쓰는중국 禪의 역사" 도서출판 씨아이알 2011

      19 바이화원, "불교미술 입문을 위한 중국사원 문화기행" 예경 2001

      20 한지만, "북송대 선종사원의 가람 구성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5 (25): 47-62, 2016

      21 조승미, "동아시아 불교 여신의 민간신앙화 ‒ 중국의 귀자모와 일본의 변재천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82) : 327-362, 2017

      22 손세관,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중국의 주거문화下" 열화당 2001

      23 김성우, "극동지역의 불탑형의 시원" 3 (3): 39-42, 1983

      24 차차석, "관음신앙의 중국적 變容과 그 문화적 특징" 한국정토학회 (18) : 133-165, 2012

      25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26 최래옥, "韓國民俗과 基督敎의 習合 樣相" 비교민속학회 24 : 115-150, 2003

      27 葛寅亮, "金陵梵刹志(上·下册)" 天津人民出版社 2007

      28 沖本正憲, "禅宗様伽藍配置と身体メタファー:身体投射の動機付け" 48 : 31-63, 2012

      29 "甘肅省博物館"

      30 강우방, "法空과 莊嚴: 韓國古代彫刻史의 原理[2]" 열화당 2000

      31 "河南博物院"

      32 严耀中, "江南佛教史" 上海人民出版社 2000

      33 白化文, "汉化佛教与佛寺" 北京出版集团公司, 北京出版社 2009

      34 周心慧, "古本小說版畵圖錄3" 學苑出版社 2000

      35 吴松弟, "南宋移民与临安文化" 2006 (2006): 35-50, 2006

      36 염중섭, "佛敎宇宙論과 寺院構造의 관계성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17 (17): 65-84, 2008

      37 염중섭, "伽藍配置의 來源과 중국적 전개양상 고찰" 한국건축역사학회 19 (19): 43-66, 2010

      38 張十慶, "五山十刹圖与南宋江南禪寺" 南京大學出版社 2000

      39 "九州国立博物館"

      40 王貴祥, "中國漢傳佛敎建筑史: 佛寺的建造, 分布與寺院格局, 建筑類型及其變遷(上, 中, 下)" 淸華大學出版社 2016

      41 張十慶, "中國江南禪宗寺院建築" 湖北敎育出版社 2002

      42 金學智, "中國園林美學"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5

      43 周维权, "中國古典園林史" 淸華大學校出版社 2008

      44 李玲, "中国汉传佛教山地寺庙的环境研究" 北京林业大学大學院 2012

      45 尹传香, "中国汉传佛寺园林的环境研究中国汉传佛寺园林的环境研究" 华中科技大学大學院 2007

      46 中国藝術硏究院中国建築藝術史編寫組, "中国建築藝術史上卷" 文物出版社 1999

      47 劉敦楨, "中国古代建築史" 中国建筑工业出版社 1984

      48 潘谷西, "中国古代建筑史第四卷: 元, 明建筑"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9

      49 孙大章, "中国古代建筑史第五卷: 清代建筑"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9

      50 傅熹年, "中国古代建筑史第二卷: 三国, 两晋, 南北朝, 隋唐, 五代建筑"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9

      51 郭黛姮, "中国古代建筑史第三卷: 宋, 辽, 金, 西夏建筑" 中国建筑工业出版社 2009

      52 張馭寰, "中国佛敎寺院建築講座" 當代出版社 2008

      53 전영섭, "『위서(魏書)』「석로지(釋老志)」譯註" 8 : 229-305, 2000

      54 최한용, "『서유기』의 신불형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55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56 "Freer Gallery of Art"

      57 Chang, C., "Crisis and Transformation in Seventeenth-Century China: Society, Culture, and Modernity in Li Yu’s Worl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2

      58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0.9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