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나타난 시각 문화의 상징성과 사회적 기억의 확산 = The Symbolism of Visual Culture and the Spread of Social Memory through the Statue of Pe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8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cusing on how the contemporary society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events involving enforced sexual slavery for the Japanese military in the past and the phenomena happening through the visual culture of the Statue of Peace, which is the symbol in the resistance movement process of victims forced to be sexual slavery and civic groups, the investigator discussed the following research: 1) The human act of ‘remembering’ is a mental act in the personal domain. Personal memory is, however, created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within the social framework and can be called social acts in the end. ‘Remembering at the social level" is an important social act to have second-hand experiences with events in the past and form and figure out the identity of the concerned group based on ‘social memory’ produced by collective communication beyond personal thinking; 2) The study examined the popularization and democratization process of visual art, which used to hold values only for some people with a privilege, according to changes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following social changes and through various cultural media includ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3) The investigator focused on the ‘Statue of Peace’ as an object of ‘social memory’ based on the two discussions above. The Statue of Peace is a pivot that has conveyed the intangible memory of victims forced to be sexual slavery that had been excluded and distorted to the public and expanded the cohesiveness and bond of sympathy of resistance. At the base of the phenomenon are various symbols contained in the statu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memory of the past was reorganized by social interest and needs in the constantly changing society, tried to understand and interpret visual culture with much influence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memory, and further proposed the meanings of communication with its public values for its methodological roles.
      번역하기

      Focusing on how the contemporary society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events involving enforced sexual slavery for the Japanese military in the past and the phenomena happening through the visual culture of the Statue of Peace, which is the symbol i...

      Focusing on how the contemporary society understood and interpreted the events involving enforced sexual slavery for the Japanese military in the past and the phenomena happening through the visual culture of the Statue of Peace, which is the symbol in the resistance movement process of victims forced to be sexual slavery and civic groups, the investigator discussed the following research: 1) The human act of ‘remembering’ is a mental act in the personal domain. Personal memory is, however, created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within the social framework and can be called social acts in the end. ‘Remembering at the social level" is an important social act to have second-hand experiences with events in the past and form and figure out the identity of the concerned group based on ‘social memory’ produced by collective communication beyond personal thinking; 2) The study examined the popularization and democratization process of visual art, which used to hold values only for some people with a privilege, according to changes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following social changes and through various cultural media including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3) The investigator focused on the ‘Statue of Peace’ as an object of ‘social memory’ based on the two discussions above. The Statue of Peace is a pivot that has conveyed the intangible memory of victims forced to be sexual slavery that had been excluded and distorted to the public and expanded the cohesiveness and bond of sympathy of resistance. At the base of the phenomenon are various symbols contained in the statue.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memory of the past was reorganized by social interest and needs in the constantly changing society, tried to understand and interpret visual culture with much influence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memory, and further proposed the meanings of communication with its public values for its methodological ro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과거 일본군 ‘위안부’라는 사건을 현재 사회가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가, 그리고 위안부 피해자들과 시민단체의 저항운동 과정에서 생겨난 상징물인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를 개진했다. 1) 인간이 ‘기억을 한다’라는 것은 정신적인 행위이며 개인적 영역이다. 그러나 개인의 기억은 결국 사회가 만든 틀 안에서의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결국 사회적 행위라 할 수 있다. 또한‘사회적으로 기억’한다는 것은 개인의 사고를 넘어 집단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생산되는 결과로, 과거의 사건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해당 집단의 태도와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행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과거 일부 특권층의 전유물이었던 시각예술이 사회적 변화에 따라 문화적, 예술적 가치관, 기술의 발달과 같은 다양한 변화를 통해 문화적 매개체로서 예술의 대중화, 민주화를 실현하게 된 과정, 그리고 현재 시각 문화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했다. 3) 앞의 두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주목한 ‘사회적 기억’의 대상은 ‘평화의 소녀상’이다. 소녀상은 그동안 배제, 은폐, 왜곡되었던 위안부 피해자들의 무형의 기억을 대중에게 전달하고저항의 응집력과 공감대를 확산시킨 구심점이었다. 그리고 그 현상의 기저에는 소녀상에 담긴 여러 상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과거의 기억들은 사회의 관심과 요구를바탕으로 재구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했고, 사회적 기억의 매개체로서 시각 문화의 영향력을 이해하게했다. 그 결과로 연구자는 공적 가치를 지닌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론으로서 시각예술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제시하고자 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과거 일본군 ‘위안부’라는 사건을 현재 사회가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가, 그리고 위안부 피해자들과 시민단체의 저항운동 과정에서 생겨난 상징물인 평화의 소녀상을 ...

      이 연구에서는 과거 일본군 ‘위안부’라는 사건을 현재 사회가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가, 그리고 위안부 피해자들과 시민단체의 저항운동 과정에서 생겨난 상징물인 평화의 소녀상을 통해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를 개진했다. 1) 인간이 ‘기억을 한다’라는 것은 정신적인 행위이며 개인적 영역이다. 그러나 개인의 기억은 결국 사회가 만든 틀 안에서의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결국 사회적 행위라 할 수 있다. 또한‘사회적으로 기억’한다는 것은 개인의 사고를 넘어 집단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생산되는 결과로, 과거의 사건을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해당 집단의 태도와 정체성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사회적 행위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과거 일부 특권층의 전유물이었던 시각예술이 사회적 변화에 따라 문화적, 예술적 가치관, 기술의 발달과 같은 다양한 변화를 통해 문화적 매개체로서 예술의 대중화, 민주화를 실현하게 된 과정, 그리고 현재 시각 문화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했다. 3) 앞의 두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주목한 ‘사회적 기억’의 대상은 ‘평화의 소녀상’이다. 소녀상은 그동안 배제, 은폐, 왜곡되었던 위안부 피해자들의 무형의 기억을 대중에게 전달하고저항의 응집력과 공감대를 확산시킨 구심점이었다. 그리고 그 현상의 기저에는 소녀상에 담긴 여러 상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처럼 끊임없이 변화하는 사회에서 과거의 기억들은 사회의 관심과 요구를바탕으로 재구성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했고, 사회적 기억의 매개체로서 시각 문화의 영향력을 이해하게했다. 그 결과로 연구자는 공적 가치를 지닌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론으로서 시각예술의 역할에 대한 의미를제시하고자 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2 "한국세시풍속사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정의기억연대"

      5 박명규, "역사적 사건의 상징화와 집합적 정체성-기념비, 조형물의 문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3 (23): 2001

      6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7 김민솔,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의 감상과 비평 방법 연구 : 팝아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김정선, "시각 문화의 개념 정의를 통한 미술과 내용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10 : 2003

      9 유영옥, "상징과 기호의 정치 행정론" 학문사 1997

      10 김서경, "빈 의자에 새긴 약속-평화의 소녀상 작가 노트" 도서출판 말 2016

      1 안연희, "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2 "한국세시풍속사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4 "정의기억연대"

      5 박명규, "역사적 사건의 상징화와 집합적 정체성-기념비, 조형물의 문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3 (23): 2001

      6 전진성,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휴머니스트 2005

      7 김민솔,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의 감상과 비평 방법 연구 : 팝아트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 김정선, "시각 문화의 개념 정의를 통한 미술과 내용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10 : 2003

      9 유영옥, "상징과 기호의 정치 행정론" 학문사 1997

      10 김서경, "빈 의자에 새긴 약속-평화의 소녀상 작가 노트" 도서출판 말 2016

      11 김성숙,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003

      12 김진엽, "대학 예술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Ⅱ) - 미래적 모형의 제시 - ll. 예술교육의 미래적 포형들 - 2. 대중매체 시대의 시각문화 (1) 시각문화의 미학" 서울대학교 예술문화연구소 11 :

      13 이영선, "나비의 상징적 표현에 관한 조형 연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5

      14 제프리 올릭, "기억의 지도" 옥당 2011

      15 태지호, "기억문화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16 "朴 정부‘위안부 이면합의’숨겼다…“합의 비공개부분 존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