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중문화의 새로운 복음화 : 가톨릭 대중매체의 활용을 중심으로 = New Evangelization In Mass-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251146

      • 저자
      • 발행사항

        연기군 :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0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235.5 판사항(4)

      • DDC

        254.3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충청남도

      • 형태사항

        x, 116p.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13-116

      • 소장기관
        • 나사렛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전가톨릭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장공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일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beginning of 21th century, many people, designating the coming period Age of Culture, expect that culture will be the major subject in 21th century. As this century begins, in fact,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dominantly led the world and come upfront to our society. Especially for the development of mass-communication, Mass-Culture as a feature of modern culture has been changing our life by making our daily lives stay inside of cultural boundary. Reading news papers, turning on the TV, we repeatedly start a day, experience new challenge through movie and books, get information, and fill the extra time everyday. And which makes our routine life to be transformed into the one with mass-media. It took a long time in the past for people to hold the benefit one another by means of exchanging their language, writings and drawing in effort to form a new type of culture, however, culture itself forms and changes incomparably fast in current well-developed communication age.
      In the meantime,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what the Mass-Culture with an advance of mass-communication would mean to us. Its very easy to grab any newspapers, magazines around us but they usually appear rather in negative aspect such as violence, sex, injustice, immorality, and commercialization of people. Church shouldnt be an exception for these bad effects of mass-culture either. Modern christian churchs are suffering from peoples indifference to religion, atheism, indignity so far, and Christian faiths are even forced to be in crisis by declined number of pre-faiths.
      At this point, Catholic churches are supposed to find the best solution to deliver the gospels armed with freshened spirit and enthusiastic social activities.
      New Evangelization should be resulted from positive endeavors to advance our lives by newly uniting the words of gospel and ordinary peoples lives. For those effects, moreover, its the role of the church to actively get involved in current historical situations with clear insight, and to newly experience the actual existence of God in every historical moments.
      Especially, New Evangelization at Mass-Culture age of 21C ultimately intends to the Culture-Evangelization in which gospel goes in harmony with mass-culture and finally get united with it. Evangelization of culture is subject to the conversation between gospel and mass-culture since it is the process of the initiative conversation between them. This conversation should be like that we sh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each other and accept what they are, and be absorbed into them in the end. As a result, the effort of church to evangelize the mass-culture shall be the endeavor to find the mutual channel for both of gospel and mass-culture in great hopes of absorbing the words of gospel into that.
      This mutual channel, enabling the conversation between gospel and mass-culture, has been called and described by church Gods present and New language so far, and modern church has emphasized it as a tool of spreading the words of gospel to the world, and has focused on churchs role in participating mass-media and mass-culture.
      New Evangelization makes new atmosphere in everyones life so as to unify the words of gospel into them, rather than preaching the gospel to the people in traditional way, which makes it possible for everyone to hold the voice of gospel by themselves and eventually accept the words of gospel as they are. At this stage, mass-culture reflecting the voice of gospel should be able to eliminate all the negative components of culture and to purify all the fallacies and evils so that it itself not only contains the full of clarified voice of gospel, but finally establish the newly born culture of gospel.
      It is sure that active evangelization of culture through utilizing Catholic mass-media should be the very best implements for Catholic churches in 21C, and should be a significant mission to us.
      번역하기

      With the beginning of 21th century, many people, designating the coming period Age of Culture, expect that culture will be the major subject in 21th century. As this century begins, in fact,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dominantly led the world and c...

      With the beginning of 21th century, many people, designating the coming period Age of Culture, expect that culture will be the major subject in 21th century. As this century begins, in fact,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dominantly led the world and come upfront to our society. Especially for the development of mass-communication, Mass-Culture as a feature of modern culture has been changing our life by making our daily lives stay inside of cultural boundary. Reading news papers, turning on the TV, we repeatedly start a day, experience new challenge through movie and books, get information, and fill the extra time everyday. And which makes our routine life to be transformed into the one with mass-media. It took a long time in the past for people to hold the benefit one another by means of exchanging their language, writings and drawing in effort to form a new type of culture, however, culture itself forms and changes incomparably fast in current well-developed communication age.
      In the meantime, we should carefully consider what the Mass-Culture with an advance of mass-communication would mean to us. Its very easy to grab any newspapers, magazines around us but they usually appear rather in negative aspect such as violence, sex, injustice, immorality, and commercialization of people. Church shouldnt be an exception for these bad effects of mass-culture either. Modern christian churchs are suffering from peoples indifference to religion, atheism, indignity so far, and Christian faiths are even forced to be in crisis by declined number of pre-faiths.
      At this point, Catholic churches are supposed to find the best solution to deliver the gospels armed with freshened spirit and enthusiastic social activities.
      New Evangelization should be resulted from positive endeavors to advance our lives by newly uniting the words of gospel and ordinary peoples lives. For those effects, moreover, its the role of the church to actively get involved in current historical situations with clear insight, and to newly experience the actual existence of God in every historical moments.
      Especially, New Evangelization at Mass-Culture age of 21C ultimately intends to the Culture-Evangelization in which gospel goes in harmony with mass-culture and finally get united with it. Evangelization of culture is subject to the conversation between gospel and mass-culture since it is the process of the initiative conversation between them. This conversation should be like that we share the most important things each other and accept what they are, and be absorbed into them in the end. As a result, the effort of church to evangelize the mass-culture shall be the endeavor to find the mutual channel for both of gospel and mass-culture in great hopes of absorbing the words of gospel into that.
      This mutual channel, enabling the conversation between gospel and mass-culture, has been called and described by church Gods present and New language so far, and modern church has emphasized it as a tool of spreading the words of gospel to the world, and has focused on churchs role in participating mass-media and mass-culture.
      New Evangelization makes new atmosphere in everyones life so as to unify the words of gospel into them, rather than preaching the gospel to the people in traditional way, which makes it possible for everyone to hold the voice of gospel by themselves and eventually accept the words of gospel as they are. At this stage, mass-culture reflecting the voice of gospel should be able to eliminate all the negative components of culture and to purify all the fallacies and evils so that it itself not only contains the full of clarified voice of gospel, but finally establish the newly born culture of gospel.
      It is sure that active evangelization of culture through utilizing Catholic mass-media should be the very best implements for Catholic churches in 21C, and should be a significant mission to 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의 문턱에서 많은 사람들은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를 '문화의 시대'라고 일컬으면서 문화가 21세기의 화두가 될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실제로 21세기가 시작되면서 현대 세계 안에서 문화는 세계를 주도하며 우리 사회의 전면에 부상하고 있다. 특별히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말미암아 현대의 문화를 특징짓게 된 대중문화는 과거와는 달리 전 세계를 그 문화권으로 두고 우리의 삶을 이끌어가고 있다. 신문을 보면서, TV를 켜면서 하루를 시작하고 영화나 책을 통해 세상을 경험하며, 정보를 얻고 여가를 즐기기도 한다. 이로써 매일의 삶이 대중매체와 함께 하는 일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 말이나 글, 또는 그림으로써 서로의 것을 공유하고 그것이 가치관의 변화와 생활 방식의 변화, 곧 문화를 형성하기 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고도로 발달된 커뮤니케이션의 시대에는 과거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빠르게 형성되고,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인하여 형성된 오늘의 대중문화가 어떠한 모습으로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우리의 일상에서 쉽게 접하게 되는 대중매체인 영화, 신문, TV, 인터넷, 잡지 등에 의해 보여지는 대중문화의 모습은 긍정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폭력과 섹스, 부정, 윤리의식의 부재, 상품화된 인간의 모습들로 인하여 부정적으로 보이고 있다.
      교회 역시 이러한 대중문화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이로 말미암아 현대의 교회는 종교무관심주의와, 세속주의, 무신론, 인간 존엄성의 침해 등으로 그리스도교 신앙이 위기에 처해 전 세계적으로 예비자가 감소하고 있으며 냉담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데 있어서 우선 교회부터 보다 새로운 의식을 지니고 새로운 방법과, 새로운 열의를 통하여 복음을 새롭게 전하기 위해 전교회 차원에서 새로운 복음화를 요청하게 된 것이다.
      새로운 복음화는 교회가 새로운 의식을 지니고 오늘의 구체적인 역사상황 속에 들어가 시대의 징표들안에 현존하시는 하느님을 새롭게 체험하면서 동시대인들로 하여금 복음과 일상생활 사이에 새로운 통합을 이루어 그들의 삶을 역전시키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히 21세기의 대중문화 시대에 새로운 복음화는 복음이 대중문화 속으로 들어가 대중문화와의 새로운 통합을 이루는 문화복음화를 지향하고 있다.
      문화의 복음화는 문화와 복음의 창조적인 대화의 과정이기에 복음과 대중문화와의 대화를 전제로 한다. 이 대화는 서로의 것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지닌 소중한 재화들을 나누는 것으로 서로에 대한 받아들임을 필요로 하며 결국에는 서로에게 스며드는 것이다. 따라서 대중문화를 복음화 하고자 하는 교회의 노력은 대중문화 안에 복음이 스며들 수 있도록 대중문화와의 공통의 채널을 찾아야만 한다.
      이 공통의 채널은 대중문화와 복음간의 창조적 대화를 가능케 하는 것으로, 이미 교회는 현대의 대중문화를 형성하는 대중매체를 '하느님의 선물'과 '새 언어' 등으로 표현하면서 복음전파를 위한 훌륭한 도구임을 강조하여왔고 점차로 대중매체문화 속에 교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복음화는 세상의 사람들에게 일방적으로 복음을 선포했던 재래의 선교방식을 지양하고, 모든 이들의 삶의 자리에서 복음이 통합될 수 있도록 새로운 문화를 조성하여, 그들의 언어로 복음의 목소리를 담아 그들 스스로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이때 복음의 목소리를 담는 대중문화는 긍정적인 요소들만을 선별하여 복음의 목소리를 담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문화의 요소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오류와 악을 제거하고 정화하여 그 안에 복음의 목소리를 담을 때, 진정으로 새로 나는 복음의 문화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다.
      가톨릭 대중매체의 활용을 통한 적극적인 문화 복음화야말로 21세기 교회에 부여된 복음화의 도구이며 사명일 것이다.
      번역하기

      21세기의 문턱에서 많은 사람들은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를 '문화의 시대'라고 일컬으면서 문화가 21세기의 화두가 될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실제로 21세기가 시작되면서 현대 세계 안에서 문...

      21세기의 문턱에서 많은 사람들은 다가오는 새로운 시대를 '문화의 시대'라고 일컬으면서 문화가 21세기의 화두가 될 것이라고 예견하였다. 실제로 21세기가 시작되면서 현대 세계 안에서 문화는 세계를 주도하며 우리 사회의 전면에 부상하고 있다. 특별히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말미암아 현대의 문화를 특징짓게 된 대중문화는 과거와는 달리 전 세계를 그 문화권으로 두고 우리의 삶을 이끌어가고 있다. 신문을 보면서, TV를 켜면서 하루를 시작하고 영화나 책을 통해 세상을 경험하며, 정보를 얻고 여가를 즐기기도 한다. 이로써 매일의 삶이 대중매체와 함께 하는 일상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 말이나 글, 또는 그림으로써 서로의 것을 공유하고 그것이 가치관의 변화와 생활 방식의 변화, 곧 문화를 형성하기 까지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고도로 발달된 커뮤니케이션의 시대에는 과거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빠르게 형성되고,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인하여 형성된 오늘의 대중문화가 어떠한 모습으로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우리의 일상에서 쉽게 접하게 되는 대중매체인 영화, 신문, TV, 인터넷, 잡지 등에 의해 보여지는 대중문화의 모습은 긍정적이기 보다는 오히려 폭력과 섹스, 부정, 윤리의식의 부재, 상품화된 인간의 모습들로 인하여 부정적으로 보이고 있다.
      교회 역시 이러한 대중문화의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이로 말미암아 현대의 교회는 종교무관심주의와, 세속주의, 무신론, 인간 존엄성의 침해 등으로 그리스도교 신앙이 위기에 처해 전 세계적으로 예비자가 감소하고 있으며 냉담자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데 있어서 우선 교회부터 보다 새로운 의식을 지니고 새로운 방법과, 새로운 열의를 통하여 복음을 새롭게 전하기 위해 전교회 차원에서 새로운 복음화를 요청하게 된 것이다.
      새로운 복음화는 교회가 새로운 의식을 지니고 오늘의 구체적인 역사상황 속에 들어가 시대의 징표들안에 현존하시는 하느님을 새롭게 체험하면서 동시대인들로 하여금 복음과 일상생활 사이에 새로운 통합을 이루어 그들의 삶을 역전시키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특별히 21세기의 대중문화 시대에 새로운 복음화는 복음이 대중문화 속으로 들어가 대중문화와의 새로운 통합을 이루는 문화복음화를 지향하고 있다.
      문화의 복음화는 문화와 복음의 창조적인 대화의 과정이기에 복음과 대중문화와의 대화를 전제로 한다. 이 대화는 서로의 것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지닌 소중한 재화들을 나누는 것으로 서로에 대한 받아들임을 필요로 하며 결국에는 서로에게 스며드는 것이다. 따라서 대중문화를 복음화 하고자 하는 교회의 노력은 대중문화 안에 복음이 스며들 수 있도록 대중문화와의 공통의 채널을 찾아야만 한다.
      이 공통의 채널은 대중문화와 복음간의 창조적 대화를 가능케 하는 것으로, 이미 교회는 현대의 대중문화를 형성하는 대중매체를 '하느님의 선물'과 '새 언어' 등으로 표현하면서 복음전파를 위한 훌륭한 도구임을 강조하여왔고 점차로 대중매체문화 속에 교회가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복음화는 세상의 사람들에게 일방적으로 복음을 선포했던 재래의 선교방식을 지양하고, 모든 이들의 삶의 자리에서 복음이 통합될 수 있도록 새로운 문화를 조성하여, 그들의 언어로 복음의 목소리를 담아 그들 스스로가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이때 복음의 목소리를 담는 대중문화는 긍정적인 요소들만을 선별하여 복음의 목소리를 담는 것이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문화의 요소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오류와 악을 제거하고 정화하여 그 안에 복음의 목소리를 담을 때, 진정으로 새로 나는 복음의 문화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다.
      가톨릭 대중매체의 활용을 통한 적극적인 문화 복음화야말로 21세기 교회에 부여된 복음화의 도구이며 사명일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들어가는 말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2
      • Ⅰ. 새로운 복음화 = 4
      • 목차 = ⅰ
      • 들어가는 말 = 1
      • 1. 문제제기 = 1
      •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2
      • Ⅰ. 새로운 복음화 = 4
      • 1. 새로운 복음화의 의미 = 4
      • (1) '새로운 복음화'라는 용어의 이해 = 4
      • (2) '복음화'와 '새로운 복음화'의 관계 = 5
      • (3) "새로운 복음화"라는 개념의 새로움 = 12
      • 2. 새로운 복음화의 대안 : "문화복음화" = 14
      • (1)「사목헌장」에 나타난 '문화복음화' = 14
      • (2)「푸에블라 문헌」에 나타난 '문화복음화' = 15
      • (3)「교황청 문화평의회 설립교서」에 나타난'문화복음화' = 16
      • 소결 = 17
      • Ⅱ. 대중문화 연구 = 19
      • 1. 문화에 대한 이해 = 19
      • (1) 문화의 개념 = 19
      • (2) 문화의 속성 = 22
      • (3) 문화에 대한 신학적 이해 = 23
      • 2. 대중문화의 이해 = 27
      • (1) 대중문화의 개념 = 27
      • (2) 대중문화의 형성 과정 = 32
      • (3) 대중문화에 대한 논쟁 = 34
      • (4) 대중문화의 형성 원인 = 37
      • (5) 가톨릭교회의 대중 문화관 = 41
      • 소결 = 43
      • Ⅲ. 대중매체 연구 = 45
      • 1. 대중매체의 본질 = 45
      • 2. 대중커뮤니케이션의 발전과 대중매체 = 47
      • 3. 대중 커뮤니케이션의 과정 = 51
      • (1) 정보원 = 51
      • (2) 메시지 = 52
      • (3) 채널 = 53
      • (4) 수신자 = 53
      • (5) 피드백 = 54
      • 4. 대중매체의 특성 = 55
      • (1) 신속성 = 55
      • (2) 간접성 = 56
      • (3) 비가시성 = 56
      • (4) 일방성 = 57
      • 5. 대중 매체의 기능 = 58
      • (1) 환경감시 기능 = 59
      • (2) 상관조정 = 60
      • (3) 사회적 유산 전수 = 61
      • (4) 오락적 활동 = 62
      • 6. 대중매체 수용 현황 = 64
      • (1) 신문 = 64
      • (2) 라디오 = 66
      • (3) 텔레비전 = 67
      • (4) 인터넷 = 68
      • 소결 = 70
      • Ⅳ. 대중매체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이해와 활용현황 = 72
      • 1. 가톨릭교회의 대중매체 이해 = 72
      • (1) 가톨릭 교회문헌에 나타난 대중매체 = 73
      • (2) 「세계 홍보주일」 담화문에 나타난 대중매체 = 78
      • 2. 가톨릭교회의 대중매체 활용현황 = 84
      • (1) 인쇄매체 = 85
      • (2) 전파매체 = 87
      • (3) 인터넷 = 90
      • (4) 미디어(매체) 교육 = 92
      • 소결 = 95
      • Ⅴ. 대중문화의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대중매체의 활용방안 = 97
      • 1. 상업문화를 인간중심의 문화로 = 97
      • (1) 심층적 내용의 전달과 수용자와의 친밀성 = 98
      • (2) 가톨릭 매체에 대한 모니터링의 확대 = 100
      • (3) 종교 매체에 대한 재정적 지원과 사회매체의 상업주의 요소 고발 = 101
      • 2. 부정적 가치관의 문화에서 사랑의 가치관의 문화로 = 103
      • (1)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전문적인 연구기관 설립 = 103
      • (2) 미디어 교육의 확대 = 104
      • (3) 사회 매체의 좋은 프로그램에 대한 선정과 홍보 = 105
      • 3. 윤리부재의 문화에서 건전한 윤리관의 문화로 = 106
      • (1) 인터넷 윤리 전담부서 마련과 프로그램 개발 = 107
      • (2) 교육용 영상물 제작 = 107
      • (3) 사회매체에 종사하는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교육 = 108
      • 나가는 말 = 110
      • 참고문헌 = 113
      • 국문초록 = ⅰ
      • ABSTRACT = ⅳ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