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의 조기 진단에서 일상생활기능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치매의 조기 진단과 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치매의 전 단계에서 일상생활기능의 경미한 저하를 탐지하는 것이 매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840835
춘천 :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3
학위논문(박사) -- 한림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심리학전공 , 2023.8
2023
한국어
153.4 판사항(22)
강원특별자치도
viii, 156 p. : 삽화 ; 30 cm.
참고문헌: p. 123-147.
I804:42014-20000069426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치매의 조기 진단에서 일상생활기능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치매의 조기 진단과 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치매의 전 단계에서 일상생활기능의 경미한 저하를 탐지하는 것이 매우...
치매의 조기 진단에서 일상생활기능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치매의 조기 진단과 개입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치매의 전 단계에서 일상생활기능의 경미한 저하를 탐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복잡한 일상생활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된 척도가 필요하며, 치매의 이전 단계에서부터 치매 단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단계를 포괄할 수 있는 척도가 필요하다. Everyday Cognition(ECog)은 일상생활에서의 기능 변화를 인지기능별로 세분화하여 평가하기 위해서 개발된 척도이다. 또한, ECog는 치매로 진단받기 이전에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수준에서의 경미한 일상생활기능의 저하를 평가하는데 민감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ECog는 일상생활기능을 평가하는 39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6개의 하위 인지영역별로 세분화되어 있다. ECog는 보호자 보고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자기 보고용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단축형도 개발되었는데, ECog의 단축형(ECog-12)은 ECog의 6가지 하위 인지 영역들에서 각각 2개 문항씩을 선별하여 총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한국판 ECog(K-ECog)와 단축형(K-ECog-12)을 표준화하고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1은 K-ECog의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연구 2에서는 K-ECog가 지역사회 노인들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지 저하(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를 선별하는 척도로서 활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3은 K-ECog-12의 타당도를 확인하고 심리측정적 특성을 K-ECog와 비교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1에는 정상 노인 268명, 기억성 경도인지장애(amnestic MCI, aMCI) 환자 151명, 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환자 77명과 이들의 보호자들이 참여하였다. K-ECog의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수렴 타당도, 구성 타당도 및 집단 간 변별도가 입증되었고, 각 집단을 변별하기 위한 절단 점수를 제시하였다.
연구 2에는 지역사회에서 모집된 주관적 인지 저하(SCD)에 해당하는 노인 84명과 인지 저하를 호소하지 않는 정상 노인(non-SCD) 93명이 연구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K-ECog의 총점과 하위 인지영역 점수 중 기억 영역과 언어 영역 및 집행기능: 계획 영역 점수가 SCD 집단이 non-SCD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ROC curve 분석 결과, K-ECog 전체 점수는 SCD와 non-SCD를 양호한 수준(Area Under the Curve, AUC = 0.73)으로 변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SCD를 변별하기 위한 절단 점수를 제시하였다.
연구 3에는 정상 노인 267명, MCI 환자 183명, 치매 환자 89명과 보호자들이 참여하였다. ECog-12의 시공간 기능 영역에 포함된 문항들 중 한국 노인들에게 적절하지 않은 1개 문항을 다른 문항으로 대체하여 K-ECog-12를 재구성하였다. K-ECog-12의 내적일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수렴 타당도 및 집단 간 변별도가 입증되었고, 각 집단을 변별하기 위한 절단 점수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K-ECog와 K-ECog-12의 신뢰도와 타당도 및 변별도가 입증되었고, 두 척도가 모두 기존에 일상생활기능척도가 감별하지 못하는 매우 초기 수준의 일상생활기능의 손상을 감별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임이 확인되었다. K-ECog는 SCD부터 MCI와 치매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단계에서 일상생활기능의 저하를 탐지하고 변화를 추적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축형인 K-ECog-12는 K-ECog에 버금가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입증되었으므로 신속한 평가가 필요한 지역사회와 임상 장면에서 K-ECog 대신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early diagnosis of dementia, an important factor is the evalu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Everyday Cognition (ECog)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ADL changes that are the everyday correlates of specific neuropsychological cog...
In the early diagnosis of dementia, an important factor is the evaluati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The Everyday Cognition (ECog)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ADL changes that are the everyday correlates of specific neuropsychological cognitive functions. The ECog has been found to be sensitive in assessing mild ADL decline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stages before progression to dementia. The ECog is consists of 39 items divided into six cognitively relevant domains. The ECog is an informant-rated measure, but has also been used as a self-report measure, and an abbreviated version has been also developed. A short form of the ECog (ECog-12) was consisting of 12 items, two from each of the six cognitive domains of the ECo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Korean version of ECog (K-ECog) and the shortened version (K-ECog-12) and to verify their usefulness.
Study 1 aim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K-ECog. Study 2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using ECog as a screening measure for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Study 3 aimed to standardize of the K-ECog-12 and to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e study 1, the participants were 268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NA), 151 amnestic MCI (aMCI), 77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and their informants.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discriminability of K-ECog were demonstrated. The optimal cut-off scores to differentiate aMCI and DAT from NA were proposed.
Study 2 included 84 older adults with and 93 without SCD living in the community. The scores of SC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on-SCD group for K-ECog memory, language, and executive function: planning domains, as well as K-ECog global score. ROC curve analysis revealed that the K-ECog global score was effective in moderately discriminating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SCD, and the optimal cut-off scores to differentiate SCD and non-SCD was proposed.
Study 3 included 267 NA, 183 MCI, 89 dementia patients, and their informants. The K-ECog-12 was newly constructed by replacing one item for the visuospatial function in the original ECog-12 with another item. Th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bility of K-ECog-12 were demonstrated. The optimal cut-off scores to differentiate MCI and dementia from NA were proposed.
These results indicated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discriminability of the K-ECog and K-ECog-12, suggesting that they are useful for distinguishing very early stages of impaired ADL. K-ECog can be used to assess and follow functional deficits and changes, across the full spectrum ranging from SCD to MCI and dementia. The K-ECog-12 is as reliable and valid as the K-ECog,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K-ECog-12 will be widely used as an alternative to the K-ECog in clinical and community settings requiring rapid assessment in Korea.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