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공공조직의 입직다양성과 조직복합성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 대구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iversity and Organizational Complexity in Public Organizations: Daegu City C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9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조직에서 다양한 입직경로로 채용된 조직구성원의 채용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입직경로가 서로 다른 구성원들로 구성된 공공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입직과 조직복합성이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조직구성원 채용을 입직유형별로 분류한 다음, 동일 입직유형 내에서 다시 입직그룹별로 분류한 연구대상 공공조직의 조직복합성을 입직경로와 조직복합성의 연관성 정도(업무범위, 정책업무, 기술·전문성)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관성 분석 결과, 업무의 정책적 기능은 대구광역시가 가장 높으며,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2개 지방공사 조직이 중간 정도이며, 2개 지방공단 조직이 비교적 낮다고 볼 수 있다. 업무의 전문성 측면은 2개 공사조직과 대구환경공단이 비교적 높으며, 나머지 조직이 비교적 전문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성 정도는 대구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개 조직을 제외하고는 모두 관련 정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공공조직의 조직복합성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조직에서 다양한 입직경로로 채용된 조직구성원의 채용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입직경로가 서로 다른 구성원들로 구성된 공공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입직과 조직복합...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조직에서 다양한 입직경로로 채용된 조직구성원의 채용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입직경로가 서로 다른 구성원들로 구성된 공공조직에서 조직구성원의 입직과 조직복합성이 얼마나 연관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조직구성원 채용을 입직유형별로 분류한 다음, 동일 입직유형 내에서 다시 입직그룹별로 분류한 연구대상 공공조직의 조직복합성을 입직경로와 조직복합성의 연관성 정도(업무범위, 정책업무, 기술·전문성)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관성 분석 결과, 업무의 정책적 기능은 대구광역시가 가장 높으며,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2개 지방공사 조직이 중간 정도이며, 2개 지방공단 조직이 비교적 낮다고 볼 수 있다. 업무의 전문성 측면은 2개 공사조직과 대구환경공단이 비교적 높으며, 나머지 조직이 비교적 전문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성 정도는 대구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개 조직을 제외하고는 모두 관련 정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공공조직의 조직복합성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dmission path is related to the recruitment and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with the research organization composed of different members, based on the recruitment type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employed in various employment paths in public organizations. I want to figure out. To this end,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employment path and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the organization of the public organizations under study classified by hiring members and then reclassified by employment groups within the same employment type (business scope, policy work, technology and expertise).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type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the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public organizations, Daegu Metropolitan City has the highest policy function, and the Daegu-Gyeongbuk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and the two local corporations are in the middle. The two adipose complexes are relatively low. In terms of professionalism, the two construction organizations and Daegu Environment Corporation were relatively high, while the remaining organizations were relatively low in expertise. The highest degree of association was found in Daegu, with the excep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public organizations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organizational efficienc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dmission path is related to the recruitment and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with the research organization composed of different members, based on the recruitment type of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dmission path is related to the recruitment and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with the research organization composed of different members, based on the recruitment type of the organizational members employed in various employment paths in public organizations. I want to figure out. To this end, the degree of association between the employment path and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the organization of the public organizations under study classified by hiring members and then reclassified by employment groups within the same employment type (business scope, policy work, technology and expertise).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association type of organizational members on the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public organizations, Daegu Metropolitan City has the highest policy function, and the Daegu-Gyeongbuk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and the two local corporations are in the middle. The two adipose complexes are relatively low. In terms of professionalism, the two construction organizations and Daegu Environment Corporation were relatively high, while the remaining organizations were relatively low in expertise. The highest degree of association was found in Daegu, with the excep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organizational complexity of public organizations so that the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organizational efficien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이론적 검토 3. 공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의 입직유형별 현황분석 4. 조직복합성의 연관성 분석기준 및 특성 비교 5. 조직구성원의 입직다양성과 조직복합성의 연관성 분석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 1. 서론 2. 이론적 검토 3. 공공조직의 조직구성원의 입직유형별 현황분석 4. 조직복합성의 연관성 분석기준 및 특성 비교 5. 조직구성원의 입직다양성과 조직복합성의 연관성 분석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현교, "호텔직원의 리더십유형이 임파워먼트와 집단응집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시내 특1급 호텔직원들을 대상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317-334, 2012

      2 김문주, "팀 다양성과 팀 공유멘탈모형의 상호작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28, 2009

      3 김문주, "팀 다양성 수렴 메커니즘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경영학회 40 (40): 97-137, 2011

      4 김상기, "특수전 부대의 집단응집성에 관한 연구 : 조직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5 임대환, "특수전 부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신뢰와 집단응집성의 매개효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4

      6 이호욱, "최고경영진의 직무관련 다양성과 기업성과:환경불확실성과 인접 근무의 조절효과" 한국경영학회 34 (34): 375-400, 2005

      7 崔鐘仁, "집단창의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8 박나라, "지방정부 인력구성의 다양성이 업무과정에 미치는 효과 - 혁신, 투명성, 책임성 수준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79-101, 2010

      9 권기성, "조직응집력과 생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24 : 75-87, 1995

      10 "옥스퍼드영어사전"

      1 양현교, "호텔직원의 리더십유형이 임파워먼트와 집단응집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서울 시내 특1급 호텔직원들을 대상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317-334, 2012

      2 김문주, "팀 다양성과 팀 공유멘탈모형의 상호작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28, 2009

      3 김문주, "팀 다양성 수렴 메커니즘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경영학회 40 (40): 97-137, 2011

      4 김상기, "특수전 부대의 집단응집성에 관한 연구 : 조직문화적 요소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5 임대환, "특수전 부대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신뢰와 집단응집성의 매개효과"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4

      6 이호욱, "최고경영진의 직무관련 다양성과 기업성과:환경불확실성과 인접 근무의 조절효과" 한국경영학회 34 (34): 375-400, 2005

      7 崔鐘仁, "집단창의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6

      8 박나라, "지방정부 인력구성의 다양성이 업무과정에 미치는 효과 - 혁신, 투명성, 책임성 수준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2 (22): 79-101, 2010

      9 권기성, "조직응집력과 생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24 : 75-87, 1995

      10 "옥스퍼드영어사전"

      11 이준호, "연구개발(R&D) 집단의 다양성과 응집성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규범과 리더십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2 "대한민국통계"

      13 "대구환경공단"

      14 "대구시설관리공단"

      15 "대구시도시철도공사"

      16 "대구도시공사"

      17 "대구광역시청"

      18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19 권석균, "다양성이 팀 프로세스 활성화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조직학회 20 (20): 1-46, 2012

      20 최도림, "다양성에 대한 이론 및 연구 동향과 한국에의 적용 가능성" 한국인사행정학회 11 (11): 111-129, 2012

      21 임희정, "다양성관리의 실태 및 다양성관리가 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성학회 24 (24): 181-217, 2010

      22 이상호, "다양성관리(Diversity Management)의 이념과 가치에 관한 논의 - 인력활용의 관점에서 -" 한국정부학회 14 (14): 625-644, 2002

      23 "국립국어원 표준대사전"

      24 김문주, "교육적 배경 다양성이 의사결정의 효율성과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위다양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인사조직학회 20 (20): 129-176, 2012

      25 이지우, "고용형태에 따른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의 관계" 한국인사조직학회 10 (10): 1-26, 2002

      26 오규철, "경찰공무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집단응집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27 "경제활동인구연보"

      28 O’Reilly, C. A., "Work Group Demography, Social Integration, and Turnover" 34 (34): 21-37, 1989

      29 Jehn, K. A., "Why Difference Make a Difference : A Field Study of Diversity, Conflict, and Performance in Workgroups" 44 (44): 741-763, 1999

      30 Smith, K. G., "Top Management Team Demography and Process : The Role of Social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39 (39): 412-438, 1994

      31 Wiersema, M. F., "Top Management Team Demography and Corporate Strategic Change" 35 : 91-121, 1992

      32 Cartwright, D., "The Nature of Group Cohesiveness in Group Dynamics" 1968

      33 Smith, J. Brock,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Differences and Trust on the Effectiveness of Selling Partner Relationships" 61 : 3-21, 1997

      34 Jackson, S. E., "Team Effectiveness and Decision Making in Organizations" Jossey Bass 1995

      35 Morrison, E. W., "Role Definition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The Importance of an Employee’s Perspective" 37 : 1543-1567, 1994

      36 Munchinsky, P. M., "Psychology Applied to Work" Hypergraphic Press Presents 2011

      37 Zenger, T. R., "Organizational Demography : The Differential Effects of Age and Tenure Distribution on Technical Communications" 32 (32): 353-376, 1989

      38 Smith, C. A.,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Its Antecedents" 68 (68): 653-663, 1983

      39 Glick, W. H., "Organizational Change and Redesign: Ideas for Insights for Improving Performan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40 Gardenswartz, L., "Managing Diversity: A Complete Desk Reference &Planning Guide"

      41 White, R. E., "Managing Diverse Organization : The Imperative for a New Multicultural Paradigm" 4 (4): 469-493, 1999

      42 Pettigrew, T. G., "Intergroup Contact Theory" 49 : 65-85, 1998

      43 Festinger, L. M., "Information Social Communication" 57 (57): 271-282, 1954

      44 Blau, P., "Inequality and heterogeneity" Free Press 1977

      45 Forsyth, D. L., "Group Dynamics" Wadsworth 2006

      46 Deluca, J. M., "Diversity in the Workplace: Human Resource Initiative" The Guilford Press 227-247, 1992

      47 Tolbert, P. S., "Diversity in Work Teams: Research Paradigms for a Changing Workpla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31-159, 1995

      48 De Dreu, C. K. W., "Diversity and the Creative Capacity of Organizations and Teams" 2007

      49 Williams, K. Y., "Demography and Diversity in Organizations: A Review of 40 Years of Research" 20 : 77-140, 1998

      50 Pelled, L. H., "Demographic Diversity, Conflict and Work Group Outcomes : An Intervening Process Theory" 7 (7): 615-631, 1996

      51 Cox, T., "Cultural Diversity in Organization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Berrett-Koehler 1993

      52 Sethi, R., "Cross-Functional Product Development Teams, Creativity, and the Innovativeness of New Consumer Products" 38 : 73-85, 2001

      53 Harrison, D. A., "Beyond Relational Demography : Time and Effects of Surface-and Deep-level Diversity on Work Group Cohesion" 41 (41): 96-107, 1998

      54 Mor-Barak, M. E., "Beyond Affirmative Action" 23 (23): 47-68, 1999

      55 Mischel, L. J., "Advances in Group Processes, 14" JAI Press 177-197, 1997

      56 Festinger, L. M.,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Comparison 1950

      57 Janice M, Boyer,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Size and Various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plexity" 24 : 48-49,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