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변혁적 리더십이 육군 전투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투부대 유형 및 규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enhancing combat sapabilities in the army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combat unit’s style and siz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912632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영남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행정학전공 , 2018.8

      • 발행연도

        201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050 판사항(6)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iii, 263 p. : 삽화,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영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이환범

      • UCI식별코드

        I804:47017-20000011592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전투력 발휘의 핵심부대장인 육군 대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전투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는 군 리더십 관련 기관들의 조직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전투력 발휘의 핵심부대장인 육군 대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전투력 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는 군 리더십 관련 기관들의 조직효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과정에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구성요소가 전투력의 하위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방사단의 대대급 장병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표적집단 면접(FGI)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혁적 러더십과 전투력 간의 관계에서 부대유형과 부대규모가 어떠한 조절효과를 갖는지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실증적 검증의 결과 전투력에는 카리스마와 지적자극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전투력의 하위요소인 통솔력에는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가, 사기에는 개별적 배려와 카리스마가, 전투기술에는 지적자극과 카리스마가 우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대유형과 부대규모는 두 변수 사이에서 조절작용을 하고 특히 개별적 배려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표적집단 면접조사(FGI)에서는 전투력 증진에 가장 효과적인 부대유형이 전투부대, 전투지원부대, 전투근무지원부대 순이었으며, 부대규모는 대대급, 중대급, 소대급, 분대급 순이었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제약요인으로는 군 지휘 및 조직체계의 한계, 안정과 현상위주의 조직관리, 리더십의 역량개발과 프로그램의 미비, 과거 답습위주의 전투기술을 지도하는 등이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자율과 책임에 의한 지휘체계의 정착, 인간존중 및 변화지향의 조직관리, 군 리더십 전문기관의 확충과 프로그램의 내실화, 실전 지향적인 전투기술의 대응성이 요구된다고 분석이 되었다.
      설문분석의 결과와 표적집단면접의 조사결과는 상호 깊은 연관성을 갖는데 카리스마는 자율과 책임에 의한 지휘체제를 정착시킴으로서 가능하고, 지적자극은 실전 지향적인 전투기술의 대응성을 제고함으로써 가능하다. 개별적 배려는 인간존중의 리더십을 발휘함으로써 가능하고, 영감적 동기부여는 변화지향의 조직관리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두 가지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자율과 책임을 정착하기 위해서는 지휘관의 자발적 주기적 소통기제를 적극 활용하고, 부하에게 권한위임을 통한 주도성과 도전성을 배양시키며, 법과 규정에 입각한 부대지휘와 지휘책임의 명확화 및 지원적 리더십을 강화해야 한다. 인간존중 및 변화지향의 조직관리를 위해서는 인간존중의 리더십을 발휘하고, 변화지향의 성과 및 목표를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리더십에 대한 전문기관을 확충하고 프로그램을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국방부 산하에 전문기관을 설치하고, 리더십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체계를 구축하며, 위기에 대비한 전장리더십의 지도를 강화하고, 지휘여건의 보장과 개별 리더십에 대한 평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실전 지향적인 전투기술의 대응성을 갖기 위해서는 전시 임무에 부합된 전투훈련 중심으로 부대를 운영하고, 다양한 입체적 창의적 상황훈련을 실시하며, 세미나 토론방식의 전술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전투력에 크게 영향을 주는 대대장들의 카리스마와 지적자극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평소 자신감과 결단력을 키우고 전장환경의 변화에 따른 유연한 사고와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많이 나오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전투력 증진에 있어서 부대유형과 부대규모별로 효과가 다르지만 우선 차이점을 인정하고 부하에 대한 관심과 배려, 삶의 질 향상 등으로 부대임무에 전념토록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앞서 제시된 변혁적 리더십의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부대별 여건에 맞게 잘 적용하여 싸워 이길 수 있는 강한 군대를 육성하는데 혼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rmy battalion commander, major leader in demonstrating combat power, enhances combat capability. The outcome of the research appears to give effective solutions in policy maki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how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rmy battalion commander, major leader in demonstrating combat power, enhances combat capability. The outcome of the research appears to give effective solutions in policy making procedure aimed at enhancing organizing ability in military leadership agency.
      The study conducted surveys and FGI targeting personnels from battalion level unit at front line to verify the effects of componen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upporting elements of combat power. Furthermore, It focuses on how relationship between combat power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an have moderating effect on Combat Unit's style and size.
      Corroborating evidence has proven that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were most effective in enhancing combat power. As for supporting elements, ability to command was affected the most by charisma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morale by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charisma and combat technique by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charisma.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Combat unit's style and size works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especially the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was analyzed to be the prime factor.
      As a result of FGI, the most effective type of unit in enhancing combat capablitity was in the order of combat unit, combat support unit, combat service support unit. As for the unit size, the bigger ones were found to be more effective ranging from battalion to company, platoon, squad. Furthermore, limiting factors included restrictions in military command and organization system, organization management that pursues stability and status quo imperfection in leadership programs and cultivation, instructing combat techniques based on old tradition. Solutions included establishing command system run by self regulation and responsibility, respect for human dignity and change oriented organization management, secure military leadership professional agency and utilization of its programs, and real warfare oriented combat techniques.
      In conclusion, in order to enhance charisma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prime factors in affecting combat power of the battalion commanders, more original idea and flexible reasoning that accords th changed field environment need to be included and training self confidence and determination are necessary. In addition, respecting there are differences in enhancement of combat power by types and size of unit, interest and consideration towards subordinate, improves quality of life needs to be achieved in order to make them absorbed in unit mission. As mentioned previously, reformation according t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needs to be applied in order to train strong army capable of defeating enem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4
      • 제2절 연구범위 및 구성 8
      • 제1장 서 론 1
      •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
      • 1. 연구배경 1
      • 2. 연구목적 4
      • 제2절 연구범위 및 구성 8
      • 1. 연구범위 8
      • 2. 연구구성 9
      • 제2장 군 조직의 특성 및 지휘체계 11
      • 제1절 군 조직의 특성 11
      • 1. 군의 임무 및 역할, 과업 11
      • 2. 군 조직의 문화 13
      • 3. 군 조직의 특성 16
      • 제2절 군 지휘체계 23
      • 1. 군 지휘구조 23
      • 2. 군 지휘 및 통제체계 25
      • 3. 군 위기시 대응체계 31
      • 제3절 군 부대구조 및 지휘․지원관계 39
      • 1. 군 부대구조 39
      • 2. 군 지휘관계 43
      • 3. 군 지원관계 45
      • 제3장 지휘관의 리더십과 전투력 증진 46
      • 제1절 리더십의 변천 46
      • 1. 군 리더십의 개념 및 이론의 발전 46
      • 2. 지시적 리더십 이론(1970년대) 67
      • 3. 거래적 리더십 이론(1980년대) 71
      • 4. 변혁적 리더십 이론(1990년대 이후) 76
      • 제2절 군 전투력에 관한 고찰 89
      • 1. 전투력의 개념 89
      • 2. 전투력의 구성요소 91
      • 3. 무형전투력의 행동화 의미와 중요성 95
      • 4. 전투력의 특성 및 측정 108
      • 제3절 전투력 증진과 지휘관의 역할 113
      • 1. 지휘관의 책임과 권한 113
      • 2. 지휘관의 역할 114
      • 3. 전투력 증진에서의 역할 116
      • 4. 군 조직에서의 변혁적 리더십 선행연구 고찰 118
      • 5. 전투력 증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 133
      • 제4장 조사설계 및 분석결과 137
      •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의 설정 137
      • 1. 연구모형 137
      • 2. 가설의 설정 139
      • 제2절 조사설계 143
      •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143
      • 2. 설문지 구성 152
      •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153
      • 4. 표본특성 155
      • 제3절 측정항목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157
      • 1. 타당성 검증 157
      • 2. 신뢰성 검증 158
      • 제4절 분석결과 160
      • 1. 인식분석 160
      • 2.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차이 분석 168
      • 3. 상관성 분석 174
      • 4. 가설의 검증 175
      • 제5절 표적집단면접 조사결과 182
      • 1. 부대규모 및 유형 183
      • 2. 변혁적 리더십 활성화 제약요인 및 해결방안 186
      • 제5장 전투력 증진을 위한 변혁적 리더십 제고방안 189
      • 제1절 전투력 증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문제점 189
      • 1. 군 지휘 및 조직체계의 한계 189
      • 2. 안정과 현상위주의 조직관리 194
      • 3. 리더십 역량증가 및 개발 프로그램 미비 196
      • 4. 과거 답습위주의 전투기술 지도 203
      • 제2절 전투력 증진을 위한 변혁적 리더십 개선방안 207
      • 1. 자율과 책임에 의한 지휘체계 정착 208
      • 2. 인간존중 및 변화지향의 조직관리 213
      • 3. 군 리더십 전문기관 확충 및 프로그램 내실화 215
      • 4. 실전 지향적 전투기술 대응성 제고 223
      • 제6장 결 론 228
      • 제1절 연구요약 228
      • 제2절 정책제언 231
      • 참고문헌 236
      • 부 록 248
      • Abstract 26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계엄법, "null", (법률 제12960호), 2015

      2 편집부(편집자), "조직이론", 고시연구사(월보), 서울: 박영사, 1994

      3 최병순, "군 리더십", 서울: 북코리아, 2011

      4 이동수, "행정학 사전",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9

      5 이창원, 최창현, "「새조직론」", 서울: 대영문화사, 2011

      6 김기정, "「전력평가」", 국방대학교 합동참모대학 교재, 2004

      7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5

      8 임창희, "「조직행동」", 민영사, 서울: 학현사, 1997

      9 오세열, "경영과 리더십", 삼영사,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4

      10 최병운, "군 리더십 이해", 국방대학교 국방정신전력·리더십개발원, 서울: 국방대학교 정신전력 개발원, 2009

      1 계엄법, "null", (법률 제12960호), 2015

      2 편집부(편집자), "조직이론", 고시연구사(월보), 서울: 박영사, 1994

      3 최병순, "군 리더십", 서울: 북코리아, 2011

      4 이동수, "행정학 사전", 대영문화사, 서울: 대영문화사, 2009

      5 이창원, 최창현, "「새조직론」", 서울: 대영문화사, 2011

      6 김기정, "「전력평가」", 국방대학교 합동참모대학 교재, 2004

      7 오석홍, "「조직이론」", 박영사, 서울: 박영사, 2005

      8 임창희, "「조직행동」", 민영사, 서울: 학현사, 1997

      9 오세열, "경영과 리더십", 삼영사, 서울: 도서출판 청람, 2014

      10 최병운, "군 리더십 이해", 국방대학교 국방정신전력·리더십개발원, 서울: 국방대학교 정신전력 개발원, 2009

      11 김인수, "「거시조직론」", 서울: 무역경영사, 1997

      12 이동훈, "「국가안보론」", 육군사관학교, 2006

      13 백기복, "「슈퍼리더십」", 서울: 창민사, 2011

      14 민경호, "『조직행동론』", 무역경영사, 서울: 형설출판사, 2005

      15 조영갑, "국가위기관리론", 선학사, 서울: 대왕사, 2006

      16 노병천, "「도해세계전사」", 서울: 한원, 1990

      17 오점록, "『한국군 리더십』", 박영사, 서울: 박영사, 1999

      18 채경석, "「위기관리정책론」", 대왕사, 서울: 대왕사, 2004

      19 김남현, "리더십: 이론과 실제", 경문사, 서울: 경문사, 2013

      20 김대건, 유홍림, 김호섭, 김판석, "「행정과 조직행태」", 서울: 대영문 화사, 2012

      21 권경택, "「창의력 개발 연구」", 전통적 리더십과 현대 리더십의 비교, 2007

      22 이동희, "군대문화에 대한 연구", 「성곡논총」. 3(3): 498-542, 1992

      23 홍두승, "21세기 한국의 조직문화", 「국방리더십연구」, 1(1): 5-32, 2008

      24 홍두승, "「한국군대의 사회학」", 나남, 서울: 나남신서, 1993

      25 조영갑, "「전환기 국가위기 정책」", 제20회 비상대비 세미나자료집, 2003

      26 이용필, "「위기관리: 사례와 평가」", 서울: 인간사랑, 1992

      27 김현기, "「한국군사학회 군사논단」", 위기관리 개념과 한반도 위기관리, 2002

      28 조승옥, "「21세기를 대비한 군대문화」", 서울: 문화사, 1997

      29 송곡창, "군 사기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7

      30 김세영, "군 리더에게 요구되는 감성지능", 「정신전력연구」. 26(1): 3-28, 2000

      31 윤정석, "한국군의 창설과 일본 군사문화", 「한국군사문화연구」. 2(1): 3-27, 2009

      32 민진 ( Jin Min ), "“군대조직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국방연구」. 51(3): 61-94, 2008

      33 박상래, "군사적인 힘을 표현하는 용어 고찰", 「해양전략」. 162(9): 270-289, 2014

      34 김선홍, "「한국의 군사위기 관리체계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08

      35 소이원, "효과적인 군 리더십에 관한 실증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대학교 군사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6 민진(Min Jin), "“군대조직문화 특성의 도출과 분석”", 한국조직학회, 「한국조직학회보」. 8(3): 91-121, 2011

      37 이재은, "「한국의 위기관리정책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0

      38 김순현, "「국가발전과 민군관계의 이론과 실제」", 서울: 을지서적, 1990

      39 장옥상, "「군대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40 김재홍,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에 과한 연구」", 전남대학교 경영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41 허병기, "교육조직의 문화적 리더십이 갖는 예술성",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 구」. 26(4): 489-507, 2008

      42 권혁철, "한국군의 조직문화 차이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사회와 행정 연구」. 23(4): 219-241, 2013

      43 조정현, "군 장교집단의 사기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4 민진, "조직효과성 개념 정의의 분석 및 재 개념화", 「한국행정학보」. 37(2): 83-104, 2003

      45 박노윤, "조직문화와 전략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학회, 「경영학연구」. 26(2): 303-329, 1997

      46 김현섭, "「軍의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7 이영우, "「리더십 속성과 군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48 남기덕, "「병영생활의 자율성 함양을 위한 방안 연구」", 한국전략문제 연구소, 2006

      49 김용석, "“우리나라의 전통적 안보위기관리 발전방안,”",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Crisisonomy」. 1(2): 1-14, 2005

      50 송건섭, 이환범, 제갈돈,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변혁적 리더십의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 회보」. 4(2): 155-176, 2000

      51 김근세, 이경호, "책임운영기관의 조직문화와 효과성에 관한 연 구,", 한국행정학회, 「한 국행정학보」, 39(3): 179-203, 2005

      52 이덕건, "「군 조직에서 리더십 유형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 학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3 박호순, "「전술부대급의 리더행동이 전투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 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54 원문희(Weon, Mun Hee), 문재승(Moon, Jaeseung), "리더십 유형이 군 조직의 효과성 미치는 차별적 영향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5 정종철,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군 목부염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56 김호정, "조직문화, 리더십, 조직효과성 관계: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한국행정학보」. 37(4): 103-123, 2003

      57 이성순, "평시와 전시를 연계한 효율적인 국가위기관리체계 구축방안",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58 손성철, "「카리스마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59 배이현, "「한국군 군제발전에 관한 연구 : 상부지휘구조를 중심으로」", 대전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0 고시성, 이창원, "“한국 국방조직 구성신분별 효과적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 구”",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11-139, 2011

      61 고시성, "「한국 국방조직 구성신분별 효과적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 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62 한주희, 박석구, 황원일, "조직문화 인식 유형이 조직몰입 유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인사조직연구」. 5(2): 95-134, 1997

      63 이정진, "「군 교육소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 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4 김현철, "「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5 정동욱, "군 교육기관 지도자의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효과성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66 모종화,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이 조직성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67 홍성관, "“리더십유형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68 권혁철, "「경쟁가치 모형을 적용한 한국군 조직문화 차이에 관한 실증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9 김설환, "「전략적 리더십이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70 구형희,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가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1 송하동, "진성 및 변혁적 리더십이 소대성과와 병사의 전투사기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72 함원용, "군 지휘관의 리더십유형과 조직구조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73 최현묵, "군 리더의 감성지능이 부하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4 이신근,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에 있어서 상황요인이 미치는 조절효과」", 목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75 권이현, "「특수조직에 적합한 리더십 상황이론 모형의 개발을 위한 실 증적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76 김상기, "『특수전부대의 집단응집성에 관한 연구, 조직 문화적 요소를 중심으 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77 신성욱, "지휘관의 리더십 유형이 장병들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78 고성진, "훈육대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생도들의 학습동기와 생활만 족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9 金秉柱(Kim, Byoun-gjoo), 皇甫植(Hwan-gbo, Sik), "한국군내 상관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논총」. 48: 611-637, 2011

      80 이강국, "「육군 지휘관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효과 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밴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81 김근호, "「군 조직의 리더십 유형과 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유 머감각의 조절효과」",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2 김철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83 윤여표, "「전장리더십이 전투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KCTC 전투지휘훈련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84 이삼주, "현대적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육군 지 휘관의 리더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85 신성욱, 김석주, 정재한, "대대장의 리더십이 장병들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5(1): 235-256, 2016

      86 이은희 ( Eunhui Lee ), "병사의 소명이 군 복무 활력에 미치는 영향: 변혁적 리더십과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국방연구」. 58(4): 117-138, 2015

      87 정찬권, "국가위기관리체계 변화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냉전기와 탈 냉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군사논단」. 53: 38-58, 2008

      88 신봉수(Shin, Bong Soo), 이창원(Lee, Chang-Won), "서번트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이 군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89 김영교, "「디지털게임 경험을 통해 형성된 자기효능감이 군 무형전투 력에 미치는 효과분석 방법론」",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90 권일상,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매개변수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91 김국군, "「해군함정 중간간부의 변혁적 리더행동과 인재육성행동이 부 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92 김창규,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 및 개인특성의 조직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93 황보식, "「직무특성 및 부하특성을 매개로 한 상관의 변혁적 리더십이 부하 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2

      94 오상택, "「육군 조직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전투상황과 평시상황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2

      95 김영춘, "「군 고급제대 지휘관의 전략적 리더십이 조직몰입과 조직시 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개인특성의 조절효 과)」", 동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