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조선시기 남양홍씨 익산군파가 춘천으로 이거하여 정착한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남양홍씨 익산군파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와 고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익산군파는 홍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205353
춘천 :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학위논문(석사) --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일반대학원 , 사학과 , 2008. 2
2008
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The Research on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of Sha Class(士族) in Joseon(朝鮮) Period : Focused on the Migration to the Chuncheon(春川) region of Nam-yang Hong Family(南陽洪氏) of Ik-san gun Clan(益山君派)
56 p.p. 26cm
지도교수:유재춘
참고문헌 : p.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기 남양홍씨 익산군파가 춘천으로 이거하여 정착한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남양홍씨 익산군파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와 고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익산군파는 홍진...
본 연구는 조선시기 남양홍씨 익산군파가 춘천으로 이거하여 정착한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남양홍씨 익산군파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와 고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익산군파는 홍진호가 춘천의 유력한 재지사족인 김첨명의 사위가 되면서, 춘천에 조성된 토지를 기반으로 이거하여 정착하였다. 그 시기는 대략 1600년대 후반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은 춘천으로 이거하여 춘천에 정착하기까지 80여년이 소요되었다.
이 집안의 가족구성과 가족수는 시기별로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지만 평균 인구수인 4~5명보다 많은 가족수를 유지하였고 많게는 20명까지 동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홍진호의 재산상속은 홍진호가 사망한 바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20년 후에 장자인 홍훤이 죽고 나서야 재산의 분재가 이루어진다. 그 원인은 춘천으로 이거한 뒤 불안정한 상황에서, 재산을 상속받아야 할 아들들이 일찍 사망하여 재산을 상속받아야 자손들이 어려서 홍훤의 戶에 동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분가하여 하나의 호를 이루기 전까지 재산분쟁을 막기 위해 특이한 형태의 준호구를 발급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재지사족이 세거하던 지역을 떠나 새로운 곳에 정착하는 구체적인 과정과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dealt with classic articles and monographs collected by Nam-Yang Hong Family of Ik-san gun Clan to analyze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in Chuncheon region of Nam-Yang Hong Family of Ik-san Gun Clan. Socially as Ik-san Gun Cla...
This research dealt with classic articles and monographs collected by Nam-Yang Hong Family of Ik-san gun Clan to analyze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in Chuncheon region of Nam-Yang Hong Family of Ik-san Gun Clan. Socially as Ik-san Gun Clan’s Hong-Jinho became the son-in-law for the influential regional family of Kim-Cheommyoung in Chuncheon, the family itself economically migrated into Chuncheon region based on the lands allocated and settled in this place. This period can be assumed as around the late 1600, and this family took 80 or more years to migrate and settle in Chuncheon. The family structure and it’s number of member are diverse from period to period, but almost of all families migrated in the form of an extended family, maintaining larger number than 4∼5 which is average population of family in Joseon, as well showing 20 members’ cohabitation in the case of largest family. Also the inheritance of Hong-Jinho’s estate was not done immediately after his death, but after 20 years when the eldest son Hong-huin died the inheritance was then processed. This was because after the migration in Chuncheon, in yet unstable situation, the sons who needed to inherit the estate all died at an early age, and descendents cohabitated in Hong-huin’s house(戶) for their young ages. In other words, before they set up separate families and structure independent house(戶), to prevent the struggle around inheritance, they seemed like were issued with special form of semi-house and family certificates(準-戶口). By this kind of case study on regional Sha-class family,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s of members in regional society of Chuncheon as well as to demonstrate the diverse features of regional Sha-class family during Joseon perio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