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문헌정보학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연구 I - 설계 모형 적용과 성찰일지 분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BL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 Course Developing and Analysis of Self-Reflective Journ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09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teaching model applying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benefits that students felt. This study initiated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rom an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Through the consultation of experts, the scenario was modified. The problem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design stage activity (problem analysis, PBL class suitability judgment, contents analysis, learner analysis, environment analysis, PBL operating environment decision, PBL class) and Strategic Design (problem situation design, learning resource design, Facilitation design, operational strategy design, evaluation design, PBL operating environment design). Based on the initial scenario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oblem - based learning through learners’ reflective diaries.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ere improved in the first PBL problem situation, and the method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as utilized. The results on analyzing the effects of education about the first problem-based learning and students' opinions about modification will be used for the second revision and supplement of the course design.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PBL course development and expects further application and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teaching model applying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benefits that students felt. This study initiated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rom an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Thr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teaching model applying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benefits that students felt. This study initiated a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rom an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Through the consultation of experts, the scenario was modified. The problem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design stage activity (problem analysis, PBL class suitability judgment, contents analysis, learner analysis, environment analysis, PBL operating environment decision, PBL class) and Strategic Design (problem situation design, learning resource design, Facilitation design, operational strategy design, evaluation design, PBL operating environment design). Based on the initial scenario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oblem - based learning through learners’ reflective diaries. The researcher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were improved in the first PBL problem situation, and the method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as utilized. The results on analyzing the effects of education about the first problem-based learning and students' opinions about modification will be used for the second revision and supplement of the course design.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of PBL course development and expects further application and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실제 강의실 현장에서 적용한 뒤 학생들이 느끼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문제해결 방안 초안을 작성하였다.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시나리오 수정하는 단계를 거쳤다. 문제는 분석단계활동(요구분석, PBL 수업적합성 판단, 내용분석, 학습자분석, 환경분석, PBL 운영환경 결정, PBL 수업형태 결정)과 설계단계활동(문제상황설계, 학습자원설계, 문제해결과정촉진설계, 운영전략설계, 평가설계, PBL 운영환경설계)을 통해 도출되었다. 초기 설정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1차 문제상황 수업을 진행한 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문제중심학습의 결과를 일차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의 성찰일지를 통해 연구자는 첫번째 PBL 문제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력과 창의력이 증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력의 방법이 고안/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문제 상황 수업 후 교육 효과를 분석하고 수정사항을 수렴한 연구 결과는 교과설계의 2차 수정 및 보완에 활용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PBL 모델 개발 사례를 소개하여 향후 후속 수업적용과 연구를 기대하게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미화, "회계학 교육에서의 PBL(Problem-Based Learning) 방식 적용사례" 한국회계정보학회 17 (17): 47-78, 2017

      2 박은경, "의학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역할에 관한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3 김현정,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95-116, 2017

      4 한승희,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2 (42): 81-101, 2008

      5 이정미,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103-124, 2013

      6 조연순, "문제중심학습(PBL)의 이론적 기초 : 지식관과 교육적 가치" 한국교육학회 41 (41): 571-600, 2003

      7 박선옥,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대학 글쓰기 수업 설계 연구" 중앙어문학회 65 : 187-214, 2016

      8 노영희, "도서관 및 유관기관 취업 사서의 고용실태 조사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8 (48): 43-75, 2017

      9 나지연, "대학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설계모형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11-140, 2012

      10 김종백,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중심학습의 실천적 과제와 대안의 모색"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59-74, 2004

      1 최미화, "회계학 교육에서의 PBL(Problem-Based Learning) 방식 적용사례" 한국회계정보학회 17 (17): 47-78, 2017

      2 박은경, "의학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에서 튜터의 역할에 관한 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3 김현정,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기반학습이 협력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1 (51): 95-116, 2017

      4 한승희,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2 (42): 81-101, 2008

      5 이정미,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문제기반학습법 적용이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인지적·동기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103-124, 2013

      6 조연순, "문제중심학습(PBL)의 이론적 기초 : 지식관과 교육적 가치" 한국교육학회 41 (41): 571-600, 2003

      7 박선옥,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대학 글쓰기 수업 설계 연구" 중앙어문학회 65 : 187-214, 2016

      8 노영희, "도서관 및 유관기관 취업 사서의 고용실태 조사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8 (48): 43-75, 2017

      9 나지연, "대학수업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설계모형 개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111-140, 2012

      10 김종백, "구성주의에 근거한 문제중심학습의 실천적 과제와 대안의 모색"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59-74, 2004

      11 Hazrati, H., "Which levels of education in medical sciences utilize most the Problem Based Learning? - A citation analysis study" 1-16, 2016

      12 Carvalho, A., "The impact of PBL on transferable skills development in management education" 53 (53): 35-47, 2016

      13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Learning, "The 4Cs Research Series"

      14 Walther, J. H., "Teaching ethical dilemmas in LIS coursework" 29 (29): 180-190, 2016

      15 Roberts, L., "Research in the Real World: Improving Adult Learners Web Search and Evaluation Skills through Motivational Design and Problem-Based Learning" 78 (78): 527-551, 2017

      16 Pietikäinen, V., "Public librarians as partners in problem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a case study in Finland" 22 (22): 1-19, 2017

      17 최정임, "PBL로 수업하기 (2판)" 학지사 2015

      18 장정아, "PBL 문제 개발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65-92, 2006

      19 Hmelo-Silver, C.E., "Goals and strategies of a problem-based learning facilitator" 1 (1): 4-, 2006

      20 Savin-Baden, M., "Foundations of problem-based learning" Graw-Hill Education 2004

      21 Hines, E. a, "Faculty and Librarian Collaboration on Problem-Based Learning" 3 (3): 18-32, 2012

      22 Weiss, R. E., "Designing problems to promote higher-order thinking" 2003 (2003): 25-31, 2003

      23 Cunningham, D., "Constructivism: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delivery of instruction" 51 : 170-198, 1996

      24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age publications 2013

      25 Angell, K., "Adapting the Amazing Library Race: Using problem-based learning in library orientations" 23 : 44-55, 2016

      26 Barrows, HS, "A taxonomy of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20 : 481-486, 1986

      27 김진형,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21-29,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0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블리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2 0.91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