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계층화분석(AHP)을 통한 전문대학교에서의 직업문식성교육 우선순위 분석 - 전문대의 공학계열 졸업생을 중심으로 = An AHP Analysis of the Priority of Vocational Literacy Education Needs - Focused on Engineering Workers Who Took Vocational High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805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priorities of the vocational literacy education of engineering workers who received vocational higher educat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to identify job literacy tasks that are shown in the actual job site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job literacy. This process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subjects who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tenure.
      As a result, the demand for literacy education in engineering field has shown complicated level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literacy education contents i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demand for multimodal literacy, writing based on multiple texts, and critical reading education were high. However, these are not included in the NCS.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ces in priority of job literacy education between groups especially in writing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priorities of the vocational literacy education of engineering workers who received vocational higher educat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to identify job literacy tasks that are shown in the actual j...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priorities of the vocational literacy education of engineering workers who received vocational higher educat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was used to identify job literacy tasks that are shown in the actual job site and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job literacy. This process was also used to analyze the subjects who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 tenure.
      As a result, the demand for literacy education in engineering field has shown complicated level compared with that of the existing literacy education contents i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The demand for multimodal literacy, writing based on multiple texts, and critical reading education were high. However, these are not included in the NCS.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ces in priority of job literacy education between groups especially in writing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의 공학계열 학과를 졸업한 후 관련 직군에서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 17명을 대상으로 전문대학교에서 필요한 직업문식성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는 직업 현장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문식성 과제를 확인하고, 직업문식성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계층화분석을 수행하여 직업문식성교육 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근속연수에 따른 우선순위 차이를 확인하였다.
      설문 결과 복합양식 문서의 작성, 다양한 문서를 종합한 쓰기, 비판적 읽기 등 기존 NCS 기초직업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에서 포함하고 있지 않고 있는 문식성교육 내용에 대한 높은 요구가 나타났다. 또한 근속연수에 따른 직업문식성교육의 우선순위 차이가 쓰기교육을 중심으로 드러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교 재학생들이 취업 후 겪을 수 있는 읽기․쓰기 과제 상황과 문식성 능력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문대학교에서 직업문식성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을 설정하는 데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의 공학계열 학과를 졸업한 후 관련 직군에서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 17명을 대상으로 전문대학교에서 필요한 직업문식성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는...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의 공학계열 학과를 졸업한 후 관련 직군에서 근무하고 있는 재직자 17명을 대상으로 전문대학교에서 필요한 직업문식성교육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이는 직업 현장에서 실제로 수행되는 문식성 과제를 확인하고, 직업문식성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계층화분석을 수행하여 직업문식성교육 내용에 대한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근속연수에 따른 우선순위 차이를 확인하였다.
      설문 결과 복합양식 문서의 작성, 다양한 문서를 종합한 쓰기, 비판적 읽기 등 기존 NCS 기초직업능력 중 의사소통능력에서 포함하고 있지 않고 있는 문식성교육 내용에 대한 높은 요구가 나타났다. 또한 근속연수에 따른 직업문식성교육의 우선순위 차이가 쓰기교육을 중심으로 드러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교 재학생들이 취업 후 겪을 수 있는 읽기․쓰기 과제 상황과 문식성 능력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문대학교에서 직업문식성 교육과정 및 교육내용을 설정하는 데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선경,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한국사고와표현학회 9 (9): 39-65, 2016

      2 노명완, "직업 문식성 연구- 9, 5급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13) : 61-99, 2005

      3 이형래, "직무독자에 대한 탐구" 한국독서학회 (16) : 195-245, 2006

      4 안정임, "지능정보사회 미디어교육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우선순위 인식 연구 : 계층분석과정(AHP)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2 (62): 7-40, 2018

      5 키노시타 에이조, "전략적 의사결정기법 AHP" 청람 2007

      6 이지영, "온라인 다문서를 활용한 글쓰기 과제에서 나타난 읽기 쓰기전략 연구" 고려대학교 2016

      7 최건아, "성인 필자의 고쳐쓰기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 및 문제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297-321, 2015

      8 박재현, "성인 문식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한국작문학회 (35) : 7-38, 2017

      9 김경화, "대학작문에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고찰" 한국 리터러시 학회 (18) : 45-76, 2016

      10 백혜선,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양상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101-126, 2018

      1 신선경,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한국사고와표현학회 9 (9): 39-65, 2016

      2 노명완, "직업 문식성 연구- 9, 5급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13) : 61-99, 2005

      3 이형래, "직무독자에 대한 탐구" 한국독서학회 (16) : 195-245, 2006

      4 안정임, "지능정보사회 미디어교육 정책에 대한 전문가의 우선순위 인식 연구 : 계층분석과정(AHP)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62 (62): 7-40, 2018

      5 키노시타 에이조, "전략적 의사결정기법 AHP" 청람 2007

      6 이지영, "온라인 다문서를 활용한 글쓰기 과제에서 나타난 읽기 쓰기전략 연구" 고려대학교 2016

      7 최건아, "성인 필자의 고쳐쓰기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 및 문제 분석"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297-321, 2015

      8 박재현, "성인 문식성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전문가 의견 조사" 한국작문학회 (35) : 7-38, 2017

      9 김경화, "대학작문에서 비판적 문식성 교육의 필요성과 방법 고찰" 한국 리터러시 학회 (18) : 45-76, 2016

      10 백혜선, "대학생의 쓰기 효능감 양상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9 (9): 101-126, 2018

      11 주민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복합양식적 쓰기의 수용 가능성" 한국국어교육학회 (86) : 379-412, 2010

      12 이명실, "대학 '읽기-쓰기' 강좌에 대한 학생 요구도 조사" 한국독서학회 (19) : 279-306, 2008

      13 "기초직업능력프로그램 교수자용 매뉴얼: 의사소통능력[웹사이트]"

      14 송명진,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 전문대학의 읽기·쓰기·듣기·말하기 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국어교육학회 (103) : 7-35, 2015

      15 Crossley, S. A, "Say more and be more coherent : How text elaboration and cohesion can increase writing quality" 7 (7): 351-370, 2016

      16 나은미, "NCS 직업기초능력으로서 의사소통능력의 검토와 대학에서 의사소통교육의 방향" 한국작문학회 (28) : 93-122, 2016

      17 김경언, "NCS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4년제 공학계열 대학생, 졸업생, 인사담당자의 인식 차이 및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20 (20): 12-20, 2017

      18 김동연, "NCS 기반 전문대학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평가 체계 및 평가 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34 (34): 1-16, 2018

      19 최숙기, "NCS 기반 의사소통 교육에 관한 국어 교육적 접근" 청람어문교육학회 (59) : 35-69, 2016

      20 강인주, "NCS 교육과정이 전문대학생의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계획의 매개효과"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9 (9): 87-106, 2018

      21 Saaty, T. L, "Models, Methods, Concepts &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Springer 2012

      22 박재현, "AHP를 활용한 국어 교과서 선정용평가척도 개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59-171, 2015

      23 김용수, "AHP 분석을 통한 상업계 특성화고 교육서비스 요소분석" 한국경영교육학회 33 (33): 71-97, 2018

      24 박채영, "AHP 기법을 적용한 피부미용 분야 NCS 기반 자격 L2수준의 교육 중요도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2 (12): 207-215, 2018

      25 Saaty, T. L, "(리더를 위한) 의사결정" 동현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