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 양국은 1992년 수교 이래 경제와 통상 면에서 활발한 협력과 교류가 있었는데 비하여 학술 교류, 특히 문헌정보학과의 상호 비교 연구는 다른 나라에 비해 미흡하고 거의 이루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036577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2013
한국어
020 판사항(22)
광주
(A) Comparative Stud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and China
viii, 99 p. : 삽도 ; 30 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장우권
참고문헌 : p.77-8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중국 양국은 1992년 수교 이래 경제와 통상 면에서 활발한 협력과 교류가 있었는데 비하여 학술 교류, 특히 문헌정보학과의 상호 비교 연구는 다른 나라에 비해 미흡하고 거의 이루어...
한국과 중국 양국은 1992년 수교 이래 경제와 통상 면에서 활발한 협력과 교류가 있었는데 비하여 학술 교류, 특히 문헌정보학과의 상호 비교 연구는 다른 나라에 비해 미흡하고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의 최근 교과과정을 조사한 후 두 국가의 교육적 특징을 밝힌 결과로써 양국 문헌정보학 교육의 실태와 상이점을 살펴보고 교과과정의 개발 및 연구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런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한국과 중국의 시대별, 학과별 문헌정보학 교육의 내력, 교육 경향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으로 살펴본 후, 한국과 중국에서 선정된 각 6개 4년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개요, 영역별로 구분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그리고 정보학 분야에 포함되어 있는 세분된 교육내용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문헌정보학 교육에 있어서 한국과 중국의 12개 조사대상 학교에서 교과목수는 유사한 수준으로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또한 한국의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전남대학교, 중국의 우한대학교, 남경대학교는 대학원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반면에 중국 북경대학교, 남개대학교, 절강대학교, 중산대학교의 문헌정보학 교육은 주로 학부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외에 한국의 부산대학교는 교과과정상에서 학부과정과 대학원과정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2) 영역별로 보면, 한국에서 정보학과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은 전체 과목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제일 높고 어학 분야는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편집출판학, 마르크스주의사상, 개론 등을 포함한 문헌정보학 일반, 정보학과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에 비중을 두고 교육하고 있으며 전공영어를 포함한 어학 영역에서 모두 하나 이상의 필수과목을 개설하고 있는 것은 한국과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한국과 비하면 정보조사제공학 관련 과목을 너무 적게 개설하고 있는 것도 가장 큰 특징이다.
3) 학교별로 보면, 한국의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는 정보학에 비중을 두고 교육하고 있고 부산대학교와 전남대학교는 정보학보다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우, 한국과 달리 남개대학교, 우한대학교, 남경대학교는 문헌정보학일반, 정보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에 비중을 둔 교육을 하고 있고 절강대학교와 중산대학교는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에 비중을 두고 교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정보학 영역의 세부영역은 비교해보면 한국의 대학교 정보학 분야는 정보 축적과 검색,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파일 구조/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도서관 자동화/사무 자동화, 정보 관리와 도서관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고 중국의 경우는 정보 관리와 도서관 관리, 정보 축적과 검색, 도서관 자동화/사무 자동화,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파일 구조/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