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 놀이 지원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hild play support -focusing on domestic dissertations and journ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6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cultivat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s by analyzing trends in domestic play support and guidance-related research over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of analyzing a total of 67 academic journals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cultivat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s by analyzing trends in domestic play support and guidance-related research over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of analyzing a total of 67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2012 to 2022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on play support, studies were conducted to explore various ways to support play led by children. Second,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the predominant research methodology utiliz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methods. However,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also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finding the perception and reality through questionnaires. Third, since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play support capabi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emerging, continuous research on the play support capability is needed. As a result, in order to cultivate the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y, education on play support ways for infants should be provided i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raining process. In addition, education on the meaning and practical method of 'play support' based on the actual play experiences of infants and children should be provided.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on various factors that can strengthen teachers' play support competences should be provided for inservice teac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진희 ; 손원경,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한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영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1-29, 2021

      2 최은지 ; 권미량,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실의 변화와 놀이지원방안에 대한 요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 (20): 189-218, 2021

      3 성영실, "코로나 시대 놀이중심 유아교육 운영 및 실천 사례-유아주도의놀이와 교사의 놀이지원을 중심으로-" 209-225, 2020

      4 윤선영, "진짜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영유아교육과정-미래사회를 예측한 발도르프유아교육을 중심으로-" 163-166, 2018

      5 조경선 ; 김경윤 ; 김세라,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놀이실행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79-595, 2021

      6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020

      7 김영신,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8 오채선,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415-443, 2018

      9 류시은,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10 서혜정 ; 김은영,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 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63-188, 2012

      1 박진희 ; 손원경,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한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영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1-29, 2021

      2 최은지 ; 권미량, "코로나19 상황에서 유아교실의 변화와 놀이지원방안에 대한 요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 (20): 189-218, 2021

      3 성영실, "코로나 시대 놀이중심 유아교육 운영 및 실천 사례-유아주도의놀이와 교사의 놀이지원을 중심으로-" 209-225, 2020

      4 윤선영, "진짜 자유놀이를 지원하는 영유아교육과정-미래사회를 예측한 발도르프유아교육을 중심으로-" 163-166, 2018

      5 조경선 ; 김경윤 ; 김세라,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따른 보육교직원의 놀이실행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79-595, 2021

      6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020

      7 김영신, "제 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놀이중심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8 오채선, "자율성으로 본 유아교육과정 재설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415-443, 2018

      9 류시은,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지원에 대한 유아와 교사의 생각 들여다보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10 서혜정 ; 김은영,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 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63-188, 2012

      11 윤향미 ; 장영희, "자유선택활동 운영에서의 유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267-289, 2013

      12 김지영 ; 윤진주, "자유놀이에서 유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은유적 탐구" 인문사회 21 12 (12): 113-126, 2021

      13 최혜진, "자유놀이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놀이지원에 대한 실행연구" 333-338, 2020

      14 최윤정 ; 안소영 ; 윤문홍, "유치원의 유아 ‧ 놀이중심 교육과정 운영 컨설팅에서 나타난 교수‧학습의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42 (42): 27-61, 2022

      15 김희영 ; 엄정애, "유치원 만 5세 산들반 놀이 중심 교육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119-152, 2020

      16 신은수 ; 박은혜 ; 조운주 ; 이경민 ; 유영의 ; 이진화 ; 이병호, "유치원 교원 핵심역량 구성 방향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203-226, 2011

      17 김순환 ; 오현주, "유아의 놀이를 통한 교육과정 운영방안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14 (14): 55-83, 2019

      18 이효정 ; 노희연 ; 김성숙, "유아수학교육 연구동향 분석 - 1996년~2006년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0) : 205-227, 2007

      19 한유진, "유아반 놀이 중심 교육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1

      20 김태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놀이지원자’ 역할 실행에 대한 유아반 보육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21 이승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99-106, 2016

      22 이승숙 ; 배지희 ; 송나리,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생각과 갈등" 한국육아지원학회 12 (12): 215-240, 2017

      23 임진숙,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창의적 리더십, 교사의 교수창의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의 구조적 관계 : 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양대학교 대학원 2021

      24 박향원, "유아교육과정의 심미화를 위한 실행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5 김미자,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놀이지도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26 조예나 ; 박형신, "유아교사의 유아놀이권리 인식과 놀이지원 실제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놀이지원 실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42 (42): 91-114, 2022

      27 김수정, "유아교사의 민감성과 공감능력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28 조운주,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내용개발" 한국육아지원학회 15 (15): 83-102, 2020

      29 김화록,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안양대학교 대학원 2021

      30 박민정, "유아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9

      31 정지혜, "유아교사의 놀이성 및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에 대한 담론-놀이성 상위집단을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32 김은희 ; 유준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실외놀이의 어려움과 활성화 방안"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7-52, 2012

      33 임명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놀이지원자로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변화" 한국보육학회 21 (21): 43-68, 2021

      34 조형숙 ; 김설한, "유아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5 (15): 419-445, 2011

      35 김보선,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0

      36 김세로, "유아 실내자유놀이 연구의 질적 메타분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37 윤성운 ; 성은영, "유아 놀이 관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 지원에 대한 관점 변화"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6 (6): 43-70, 2021

      38 이혜경 ; 김지영 ; 이옥임,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239-263, 2021

      39 김숙령 ; 여인우, "영유아 주도적 놀이를 지원하며 경험하는 보육교사의 갈등과 변화"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 (20): 247-266, 2019

      40 서동미 ; 고선아, "영아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교사 지원 방안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81-103, 2021

      41 정미숙, "영아의 기질을 고려한 교사의 놀이지원에 관한 실행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2 임승렬 ; 김연미 ; 이민지, "영아교사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31-250, 2021

      43 나혜선 ; 진명희, "영아 놀이 지원을 위한 원내 컨설팅에 대한 교사의 경험과 변화" 이화어린이연구원 5 (5): 105-132, 2020

      44 박선경, "어린이집 유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놀이개입행동" 105-106, 2014

      45 서혜전 ; 공현희, "어린이집 교사의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의 의미 분석: 4차 표준보육과정 적용에 따른 교사 인식과 실천 변화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6 (6): 67-97, 2021

      46 이영주, "양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역량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47 김태영 ; 엄정애, "실내 자유놀이 시간에 나타나는 유치원 교사의 놀이 개입" 교육과학연구소 50 (50): 1-32, 2019

      48 김태희, "세 초록반 교사의 놀이 환경 지원을 통한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관한 실행연구" 192-198, 2021

      49 황지선 ; 박창현, "사립유치원 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적용의 어려움과 교육과정 실행 개선에 대한 이야기"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6 (6): 23-42, 2021

      50 장은정 ; 유영의, "사례기반학습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 (20): 133-167, 2021

      51 이미선, "보육현장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보육교사의 마음의 틀 깨기" 인문사회 21 11 (11): 561-576, 2020

      52 윤경욱, "보육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0

      53 서은총 ; 윤선영 ; 오윤정, "발도르프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지원과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질적탐구학회 6 (6): 395-428, 2020

      54 임승렬 ; 박소민, "멘토링을 통한 초임교사의 유아중심 자유놀이시간 운영 변화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611-626, 2022

      55 한수연, "만 5세 유아의 쌓기놀이 지원에 대한 교사의 자기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56 박선영 ; 이은영, "만 4세 슬기반 역할놀이 활성화를 위한 참여적 실행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3 (23): 209-238, 2019

      57 임예지 ; 엄정애, "만 3세 유아를 위한 유치원 실외놀이의 효과적인 운영에 대한 실행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6 (46): 105-132, 2015

      58 한금란, "만 1~2세 혼합연령 학급의 자유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59 오미희 ; 권귀염, "레지오 고경력 교사들의 놀이 의미 읽기를 통한 놀이 지원 경험" 유아교육연구소 23 (23): 50-76, 2021

      60 곽향림, "누리과정에 따른 단위유치원 교육과정설계: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333-359, 2019

      61 최소라, "놀이지원 역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요구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62 신지연, "놀이지도" 신정 2021

      63 박찬옥, "놀이지도" 양성원 2020

      64 정지윤, "놀이중심교육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변화 : ‘놀이관찰자’와 ‘공동놀이자’로서의 교사역할을 중심으로" 133-139, 2021

      65 신지연,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노력과 변화과정" 한국보육학회 21 (21): 17-33, 2021

      66 김성숙, "놀이중심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85-93, 2019

      67 김지성, "놀이 중심 교육과정 운영에서 교사들이 마주하는 어려움과 배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68 구가령 ; 임부연, "놀이 공간으로써 유아교실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6 (16): 111-133, 2020

      69 전혜진,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놀이지원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교사의경험양상" 동의대학교대학원 2020

      70 한민경 ; 김성애, "국내 유아통합교육 연구의 동향분석 및 향후 과제 고찰 :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2000-2011)"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325-344, 2013

      71 김영옥,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 변천과 개정 누리과정의 과제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5 (25): 75-103, 2020

      72 정선아 ; 김희연,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의 개정 방향 -유치원의 고유성과 초등학교와의 연계 강화를 위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89-307, 2011

      73 이지혜, "교육과정 전환기에 있는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자로서의 역할 실행 경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74 권혜진, "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긍정적 놀이신념의 매개역할" 한국아동학회 33 (33): 133-147, 2012

      75 유한나, "교사의 놀이 개입에 대한 유아의 생각과 기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76 진송미, "관찰 기록을 활용한 유아 놀이 지원을 위한 실행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77 이정아 ; 양연숙,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따른 만3세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및 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251-267, 2022

      78 이순복, "개념적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놀이지도에 대한 인식 및 교사의 역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495-515, 2021

      79 이경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9 (9): 5-33, 2019

      80 임부연 ; 손연주, "「2019 개정 누리과정」교육내용과 관련한 유아 교사의 역할 탐구: 국가와 유아 ‘사이 존재자’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127-148, 2020

      81 박현, "K 어린이집 소라반의 유아 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2021

      82 이원미 ; 권연희, "FGI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 역량 탐색" 한국보육지원학회 16 (16): 95-112, 2020

      83 심소영 ; 권연희, "5세 도담반의 실내놀이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7 (17): 29-47, 2021

      84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3

      85 보건복지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 2013

      86 김동례, "2019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운영지원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313-327, 2022

      87 이미연 ; 권정윤,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숲유치원 현장적용에서 나타난 유아의 놀이 흐름 및 교사의 놀이 지원" 한국유아교육학회 41 (41): 309-333, 2021

      88 박종명 ; 이연승,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실행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소 22 (22): 26-45, 2020

      89 김대욱,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의 공간 관련 교사의 어려움 및 공간 활용 방안에 대한 협력적 실행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6 (26): 279-307, 2021

      90 박지희,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이해와 놀이지원방안: 놀이지원자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55-82, 2021

      91 유승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75-100, 2020

      92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93 임명희, "2019 개정 누리과정 실행과정에서 어린이집 교사의 경험 탐색" 한국보육학회 20 (20): 1-23, 2020

      94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95 노희연, "1세 영아를 위한 발달지원놀이 프로그램 개발 연구" 13 (13): 35-53,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