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춘근, "한국출판문화사대요" 청림출판 1987
2 소재영, "한국의 딱지본" 범우사 1996
3 안춘근, "한국서지학원론" 범우사 1990
4 Courant, Maurice, "한국서지" 일조각 1994
5 유탁일, "한국문헌학연구" 아세아문화사 1989
6 사재동, "한국문학유통사의 연구Ⅱ" 중앙인문사 1999
7 손상익, "한국만화통사" 프레스빌 1996
8 유탁일, "한국고소설비평자료집성" 아세아문화사 1994
9 안춘근, "한국 세책업 변천고" 광문서관 1979
10 천혜봉, "한국 서지학" 민음사 1997
1 안춘근, "한국출판문화사대요" 청림출판 1987
2 소재영, "한국의 딱지본" 범우사 1996
3 안춘근, "한국서지학원론" 범우사 1990
4 Courant, Maurice, "한국서지" 일조각 1994
5 유탁일, "한국문헌학연구" 아세아문화사 1989
6 사재동, "한국문학유통사의 연구Ⅱ" 중앙인문사 1999
7 손상익, "한국만화통사" 프레스빌 1996
8 유탁일, "한국고소설비평자료집성" 아세아문화사 1994
9 안춘근, "한국 세책업 변천고" 광문서관 1979
10 천혜봉, "한국 서지학" 민음사 1997
11 박대헌, "한국 북디자인 100년" 21세기북스 2013
12 홍선웅, "한국 근대 판화사" 미술문화 2014
13 Escarpit, Robert, "출판문학의사회학" 일진사 1999
14 이민희, "조선의 베스트셀러-조선후기 세책업의 발달과 소설의 유행" 프로네시스 2007
15 조인규, "조선미술사" 학민사 1993
16 "일제치하 언론ㆍ출판의 실태" 영신아카데미 한국학연구소 1974
17 한명식, "예술을 읽는 9가지 시선" 청아출판사 2011
18 간호윤,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 김영사 2010
19 한원영, "신문연재소설연구" 일지사 2010
20 이윤석, "세책 고소설 연구" 헤안 2003
21 최혜실, "문학과 대중문화" 경희대학교출판국 2005
22 장문정, "딱지본의 출판디자인사적 의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23 와다토모미, "딱지본 표지에 나타난 인물상과 근대적 인물화의 간격" 한국현대문학회 2008
24 서유리, "딱지본 소설책의 표지 디자인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 : 52-75, 2009
25 강옥희, "딱지본 대중소설의 형성과 전개" 대중서사학회 (15) : 7-52, 2006
26 이영미, "딱지본 대중소설의 발견" 민속원 2009
27 남석순, "근대소설의 형성과 출판의 수용미학" 박이정 2008
28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원, "근대 출판문화 자료 해제" 민속원 2012
29 Jens, Thiele, "그림책의 새로운 서사 양식" 도서출판마루별 2010
30 간호윤, "그림과 소설이 만났을 때-한국 고소설도 특강" 새문사 2014
31 "국립중앙박물관, 한국한글박물관"
32 "구활자소설총서 1-11" 민족문화사 1983
33 이주영,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월인 1998
34 권순긍, "구활자본 고소설의 편폭과 지향" 보고사 2000
35 유춘동, "구활자본 고소설 세책본 소개" 대중서사학회 (15) : 361-372, 2006
36 현영이, "관재 이도영의 생애와 인쇄미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37 서성, "공간의 분할과 서사의 통합 ― 大滌餘人 序文 本 ≪水滸傳≫을 중심으로" 중국어문연구회 (52) : 153-177, 2012
38 간호윤, "고소설도 목록화와 문화접변 연구"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6) : 197-227, 2013
39 이중연, "고서점의 문화사" 혜안 2007
40 이창헌, "경판방각소설 판본 연구" 태학사 1998
41 서성, "≪水滸傳≫ 揷畵의 유형과 계보 연구" 중국학연구소 (35) : 79-100, 2012
42 서유경, "<몽금도전> 으로 본 20세기 초 <심청전> 개작의 한 양상" 판소리학회 (32) : 139-170, 2011
43 권철호, "1920년대 딱지본 신소설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현대문학 전공) 2012
44 문한별, "1910년대 활자본 고소설 연구 : 개작 및 창작 고소설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