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전문성 지원환경이 유아교사의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n Early Childhood Teachers'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effect of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nalyz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844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 rights,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play rights and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was pro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support environment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as a mediator to increase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ncreas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번역하기

      Objectives The effect of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nalyz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844 teachers working at daycare ...

      Objectives The effect of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on the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analyz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844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SPSS 23.0 and AMOS 23.0 were used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 rights,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recogniz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play rights and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was pro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ism support environment and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as a mediator to increase digital play support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a large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ncreas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digital play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지원, "확장 World-Wide-Web 컨텍스트를위한 TAM" 38 (38): 217-230, 2001

      2 최재봉, "코로나사피엔스 문명의 대전환, 대한민국 대표 석학 6인이 신인류의 미래를 말한다" 인플루엔셜 68-97, 2020

      3 주효정,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손희정, "전자그림책 읽기와 종이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반응 비교 : 스마트폰 전자그림책<구름빵>과 종이그림책<구름빵>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반응 내용 및 언어반응 유형비교" 2012 (2012): 983-985, 2012

      5 시,도교육감협의회, "전국 시도교육감, 어린이 놀이헌장 선포"

      6 김선진, "재미의 본질" 경성학교 출판부 2013

      7 송주영 ; 김낙흥, "은유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225-255, 2019

      8 고영미 ; 이금란, "유치원의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35 (35): 21-37, 2004

      9 윤진주,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전문성지원환경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73-91, 2015

      10 임명희 ; 김성현, "유아의 스마트폰·태블릿 PC 이용실태와 부모인식과 유아의 중독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4 (14): 237-260, 2014

      1 문지원, "확장 World-Wide-Web 컨텍스트를위한 TAM" 38 (38): 217-230, 2001

      2 최재봉, "코로나사피엔스 문명의 대전환, 대한민국 대표 석학 6인이 신인류의 미래를 말한다" 인플루엔셜 68-97, 2020

      3 주효정, "전자미디어 및 전자미디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4 손희정, "전자그림책 읽기와 종이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반응 비교 : 스마트폰 전자그림책<구름빵>과 종이그림책<구름빵>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언어반응 내용 및 언어반응 유형비교" 2012 (2012): 983-985, 2012

      5 시,도교육감협의회, "전국 시도교육감, 어린이 놀이헌장 선포"

      6 김선진, "재미의 본질" 경성학교 출판부 2013

      7 송주영 ; 김낙흥, "은유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 26 (26): 225-255, 2019

      8 고영미 ; 이금란, "유치원의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35 (35): 21-37, 2004

      9 윤진주, "유치원 교사의 수업전문성과 전문성지원환경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73-91, 2015

      10 임명희 ; 김성현, "유아의 스마트폰·태블릿 PC 이용실태와 부모인식과 유아의 중독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 14 (14): 237-260, 2014

      11 변혜원 ; 오한나 ; 정미라,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와 부모의 놀이성"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7 (17): 277-297, 2018

      12 강유나 ; 이영신, "유아의 디지털매체 이용 지도지침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지침에 대한 교사 요구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9 (19): 143-167, 2020

      13 장유진, "유아의 디지털 카메라 놀이에 대한 질적연구: 유아 예술교육 도구로서의 디지털 카메라" 한국조형교육학회 (54) : 209-239, 2015

      14 서은정, "유아의 동영상 콘텐츠 이용과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행정복지대학원 2020

      15 김영중, "유아의 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2000 (2000): 87-117, 2000

      16 원계선 ; 현은선,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3 (13): 143-166, 2017

      17 김준권, "유아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멀티미디어 활용에 대한 고찰" 21 (21): 103-131, 2007

      18 정지용, "유아용 뉴미디어 콘텐츠의 재미 요소" 한국콘텐츠학회 18 (18): 40-52, 2018

      19 동풀잎, "유아들의 유튜브 문화와 다문식성(Multiliteracies) 이해하기: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 유튜브비디오 중심으로" 2019 (2019): 227-229, 2019

      20 유구종 ; 정상녀 ; 김민경 ; 양애숙, "유아교육용 인터넷 콘텐츠 평가 및 콘텐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43-268, 2008

      21 권숙진, "유아교육에서 텐저블 미디어를 활용한 디지털 놀이 개념 탐색 연구: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19 (19): 1-15, 2021

      22 유정은, "유아교육에서 스마트기기 활용 교육에 대한교사의 인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23 김경희 ; 안소영 ; 한지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경험에 대한 아동의 인식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7 (17): 175-204, 2013

      24 안우리 ; 전홍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유아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8 (18): 81-108, 2019

      25 정다원,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 매체 활용실태와교사의 인식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26 유구종, "유아교육기관 스마트폰, 태블릿 PC 활용 프로그램 개발 및 유아의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85-110, 2012

      27 채유정, "유아교사의 스마트매체 활용 현황 및 인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8 허경아,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도구 개발 및 타당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29 조운주,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 내용개발" 한국육아지원학회 15 (15): 83-102, 2020

      30 박민정, "유아교사의 놀이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탐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9

      31 변길진, "유아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에 따른 놀이지도 양상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32 차화연, "유아 멀티미디어 활용교육 실태와 유아교사의 인식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33 신은수 ; 유영의 ; 박현경,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49-69, 2004

      34 심미영 ; 이문옥, "유아 교사의 교수효능감, 행복감, 유아의 기관 및 교사 선호, 또래 놀이 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과학교육연구소 57 (57): 469-480, 2018

      35 허윤희, "웹캠을 활용한 놀이에서 나타난 만 5세 유아들의 교육적 경험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36 정애경 ; 변선주, "예비유아교사의 로봇활용교육 수용의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8 (18): 227-235, 2018

      37 이혜경 ; 김지영 ; 이옥임,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239-263, 2021

      38 김성원 ; 이지영, "영유아교사의 테크노 스트레스, 동료 관계, 전문성 인식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247-269, 2017

      39 이재진 ; 최나야,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놀이교수효능감,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한국보육학회 13 (13): 183-203, 2013

      40 김성자, "영어를 위한 디지털미디어 실태와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1 이경례 ; 문혁준, "영아보육교사의 발달지식,교사효능감, 전문성 지원환경이전문성 발달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3 (13): 163-182, 2013

      42 김지은 ; 안선희,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197-216, 2009

      43 천희영,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자질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4 (14): 227-248, 2018

      44 김명순, "아동의 놀이할 권리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259 : 57-75, 2018

      45 이다정, "아동의 놀권리에 대한 교사의 경험적 인식연구 : 유아교육, 보육현장 교사인식을 중심으로" 2019 (2019): 266-266, 2019

      46 김정래, "아동의 놀 권리 : 그 교육적 필요성의 철학적 정당화 논의" 한국아동권리학회 6 (6): 31-46, 2002

      47 김영록 ; 정미현 ; 김재현,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이용 실태 및 활용 방안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4 (14): 47-55, 2013

      48 류광모 ; 임정훈, "스마트교육 기반 플립러닝 실천을 위한 초등교사 역량모델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3 (23): 433-463, 2017

      49 강은진, "새로운 교육의 비전과 미디어 중심의 문화리터러시 교육" 18 (18): 3-13, 2018

      50 정영선 ; 김현영 ; 강선우, "사이버 대학교 성인학습자의 학습전략, 동기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연구" 교육종합연구원 8 (8): 23-41, 2010

      51 임부연 ; 오정희 ; 최남정,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85-209, 2008

      52 박형신 ; 김정주, "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환경 인식과 조직헌신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87-102, 2010

      53 최예원 ; 조규판, "보육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11-125, 2019

      54 고유미 ; 김민정, "미디어 콘텐츠와 아동의 놀이: ‘캐리와 장난감 친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53-65, 2017

      55 이정은, "모바일 상황학습 설계 연구 : 형성적 중재에 근거하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56 유구종 ; 김민경 ; 이정순 ; 한명옥, "디지털기기, 스마트기기, 스마트 전자책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현황"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3-70, 2013

      57 이연승, "디지털 네이티브가태어나다.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 디딤돌시리즈 ;7" 양서원 2020

      58 박찬옥, "놀이지도" 양서원 2020

      59 신은수, "놀이와 유아"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2

      60 엄정애 ; 서지연,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1 (21): 45-66, 2004

      61 이종희 ; 조은진 ; 김송이, "놀 이" 한국아동학회 30 (30): 309-321, 2009

      62 김보현 ; 구광현 ; 김화록, "기술수용모형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코딩교육 실행 의도 영향 요인" 한국보육학회 21 (21): 1-16, 2021

      63 이승숙 ; 남기창, "권리로서의 유아 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담론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293-316, 2016

      64 황옥경 ; 한유미 ; 김정화 ; 양효현, "권리로서의 놀이와 여가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755-774, 2015

      65 김경현 ; 정미경,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분석 프로그램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10 (10): 371-384, 2006

      66 교육부, "개정누리과정해설서" 보건복지부 2019

      67 이연승, "개발을 위한 연구 기반 근거로봇 학습 교사 양성 프로그램" 32 (32): 167-190, 2012

      68 Mills, K. A., "iP ed: Pedagogy for Digital Text Production" 65 (65): 80-91, 2011

      69 이웅규 ; 이종규, "e-Learning에서의 학습환경과 학습자 자기효능감이 학습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정보학회 16 (16): 1-21, 2006

      70 Venkatesh, V.,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 Toward a unified view" 27 (27): 425-478, 2003

      71 정봄마지, "UCC 제작활동이 유아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정보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2 Smilansky, S., "The Effects of Sociodramatic Play on Disadvantaged Preschool Children" John W iley & Sons 1968

      73 이태은 ; 이창욱, "TUI(Tangible User Interface)기반의 어린이 체험전시 특성 분석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341-348, 2020

      74 김동춘 ; 이경옥 ; 방유선 ; 이영애 ; 이지영, "R-러닝 로봇의 활동성에 기초한 통합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활동 참여 및 신체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57-182, 2013

      75 Kendrick, M., "Playing house : A ‘sideways’ glance at literacy and identity in early childhood" 5 : 5-28, 2005

      76 Tovey, H., "Playing Outdoors: Spaces and Places, Risk and Challenge" McGrawHill: Open University Press 2007

      77 Van Hoorn, J. L., "Play at the center of the curriculum" Pearson 2014

      78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easy of use, and the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9-340, 1989

      79 Little, H., "Outdoor play: Does avoiding the risks reduce the benefits?" 33 (33): 33-40, 2008

      80 Bilton, H., "Outdoor Learning in the Early Years:Management and Innovation" Routledge 2010

      81 Kilbrink, N., "Learning specific content in technology education : Learning study as a collaborative method in Swedish preschool class using hands-on material" 24 (24): 241-259, 2014

      82 Schons, L. M., "Is the picturebook dead? The rise of the iPad as a turning point in children’s literature" 2 : 120-128, 2011

      83 신원석, "ICT 활용 수업 이후 교사의 역할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7 (27): 625-652, 2011

      84 Maynard, T., "Exploring Outdoor Play in the Early Years" Open University Press 56-70, 2014

      85 Trawick-Smith, J., "Drawing back the lens on play : A frame analysis of young children's play in Puerto Rico" 21 (21): 536-567, 2010

      86 유영의 ; 이미선 ; 송미정 ; 장은정, "Borich 공식을 통해 살펴 본 유아의 놀이권리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31-156, 2018

      87 Guernsey, L., "Are ebooks any good" 57 (57): 28-32, 2011

      88 Bourke, T. M., "A behavioral investigation of preference in a newly designed New Zealand playground" 6 (6): 370-391, 2014

      89 교육과학기술부, "5세 1-11권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교육과학기술부 2013

      90 김진형, "4차산업혁명, 인공지능 시대의 교육" 2016 (2016): 21-29,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