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한 국내 간호?보건분야 연구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로 향후 연구방향 및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63313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97-212(16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한 국내 간호?보건분야 연구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로 향후 연구방향 및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개...
본 연구는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한 국내 간호?보건분야 연구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문헌분석 연구로 향후 연구방향 및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0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문헌 중 ‘고혈압’ 또는 ‘고혈압환자’와 ‘중재’, ‘교육’, ‘운동’, ‘식이’, ‘스트레스’, ‘생활습관’, ‘약물’과 ‘자가관리’를 검색어로 사용하여 간호?보건 관련 검색사이트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최종 42편의 논문이 선정되었고 중재유형, 중재적용방법, 효과변수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적용한 중재프로그램의 유형은 총 6가지였으며, 이중 ‘보완대체요법’을 가장 빈번히 적용하였다. 중재프로그램의 빈도, 적용시간, 적용기간은 다양하였다. 효과변수는 총 62가지가 사용되었고 신체생리적 변수 중 ‘심혈관계 기능’ 변수를 가장 빈번하게 측정하였다. 사회심리적 변수는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로 적용되었지만 효과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신체생 리적 변수 중 ‘혈압’은 효과가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위험요인’ 변수와 ‘신체계측’ 변수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았다. 향후 고혈 압 중재프로그램의 구성 시 ‘위험요인’과 ‘신체계측 ’변수에 효과적인 중재내용과 사회심리적 변수를 포함한 효과변수를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구성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nursing and healthcare articles or thesis that has applied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for hypertensiv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i...
This research was a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nursing and healthcare articles or thesis that has applied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for hypertensive patie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future research and effective intervention. The literature from January in 2000 until December in 2013 were searched and the data basis included nursing and healthcare web sites. and Words for the search were 'hypertension' or 'intervention', 'education', 'diet', 'stress', 'lifestyle', 'drugs' and 'self management'. 42 studies were analysed focusing on type, application method, dependant variables and effect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ix intervention type and sixty-two dependant variables were used. The application method of intervention were diverse. The most frequently used application method wa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dependant variable was cardiovascular function. Psychosocial variables are applied at a relatively low frequency but more effective than physiological variables. Blood pressure was effective in many cases but in particular, Risk factor and Anthropometric value were ineffective in many case. Forward, Hypertension intervention must be made of systematical construction and especially consideration of psychosocial dependant variable, Risk factor and Anthropometric value.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윤정, "포괄적 교육프로그램이 고혈압환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행위 이행정도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2 이은남, "태극권운동 프로그램이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 총 콜레스테롤 및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4 (34): 829-837, 2004
3 김남선, "추마요법이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하강과 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0
4 이종경,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의 약물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267-275, 2013
5 이옥주, "종합병원 외래 고혈압 환자를 위한 자가관리프로그램의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6 서혜욱, "저항성 근력운동이 고혈압 노인의 활동 중 혈압반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5
7 이명희, "재가 노인 고혈압환자를 위한 사례관리 효과성 연구"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9
8 유수정, "자기효능증진 교육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 13 (13): 108-122, 2001
9 이홍자, "자기효능 증진 운동프로그램이 본태성 고혈압 여성의 생리적 기능, 자기효능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유정옥, "인터넷 커뮤니티가 고혈압 근로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5 (35): 1258-1267, 2005
1 장윤정, "포괄적 교육프로그램이 고혈압환자의 자기효능감, 건강행위 이행정도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2 이은남, "태극권운동 프로그램이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 총 콜레스테롤 및 코티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4 (34): 829-837, 2004
3 김남선, "추마요법이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하강과 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0
4 이종경, "지역사회 고혈압 노인의 약물 자기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267-275, 2013
5 이옥주, "종합병원 외래 고혈압 환자를 위한 자가관리프로그램의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6 서혜욱, "저항성 근력운동이 고혈압 노인의 활동 중 혈압반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5
7 이명희, "재가 노인 고혈압환자를 위한 사례관리 효과성 연구"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9
8 유수정, "자기효능증진 교육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및 혈압에 미치는 효과" 13 (13): 108-122, 2001
9 이홍자, "자기효능 증진 운동프로그램이 본태성 고혈압 여성의 생리적 기능, 자기효능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0 유정옥, "인터넷 커뮤니티가 고혈압 근로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5 (35): 1258-1267, 2005
11 전은영, "유산소운동이 본태성 고혈압 대상자의 건강상태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간호학회 6 (6): 173-182, 2003
12 김병로, "유산소 운동이 고혈압 환자의 혈류역학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사협회 10 (10): 19-25, 2008
13 현하진, "웃음요법이 본태성 고혈압 노인의 혈압,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4 장미영, "웃음요법 적용 타이치 운동프로그램이 고혈압노인의 혈압, 스트레스반응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15 최은미, "아로마 흡입이 본태성고혈압 환자의 혈압, 맥박, 수면, 스트레스, 불안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학회 14 (14): 41-48, 2012
16 김유정, "실버로빅 운동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의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 혈압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17 전점이, "슬관절 전치환술 환자에게 적용한 재활요법 연구논문 분석" 성인간호학회 24 (24): 253-265, 2012
18 김동수, "스트레스 호르몬인 타액 코티졸과 자기보고식 스트레스 척도 점수 사이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633-646, 2004
19 송은애, "새천년 건강 체조 프로그램이 고혈압 고령여성의 혈압, 심혈관반응 및 맥파전도속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0 차남현, "사업장 근로자의 고혈압관리를 위한자가발반사요법의 효과" 13 (13): 17-29, 2002
21 전은영, "사상체질식이 적용이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 비만도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유산소 운동과 저염식이 병용환자를 대상으로" 한국간호과학회 32 (32): 673-683, 2002
22 박형숙, "본태성 고혈압 환자에게 미치는 발반사마사지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4 (34): 739-750, 2004
23 이형민, "보건진료소 관할 농촌 지역사회 성인의 고혈압 관리 실태와 관련 요인" 대한예방의학회 44 (44): 74-83, 2011
24 이현정, "보건소 진료실을 이용한 개별보건교육이 고혈압환자의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효과" 18 (18): 80-89, 2004
25 김순옥, "범이론 모형을 적용한 고혈압 환자 약물순응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342-354, 2011
26 조규영, "발반사마사지가 본태성고혈압 환자의 혈압, 혈중지질농도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27 박상규, "명상호흡 수련이 고혈압 고령자의 관상동맥질환인자에 미치는 영향" 3 (3): 1-6, 2008
28 김명숙,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고혈압 사례관리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9
29 통계청, "만성질환 미.래예측 및 향후 정책방향"
30 張海蓮, "농촌지역 고혈압노인을 위한 동기강화 자가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가능성 평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31 김선호, "노인 대상의 고혈압 비약물 중재 프로그램에 관한 국내외 논문 분석 연구" 노인간호학회 10 (10): 152-163, 2008
32 김경한, "규칙적인 시니어 에어로빅 운동이 고혈압 고령여성의 안정시 혈압 및 안정시 심혈관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7 (27): 179-192, 2013
33 전종귀, "고혈압환자의 트레드밀 운동전ㆍ후의 혈압과 혈관탄성 반응" 19 (19): 82-90, 2001
34 김옥란, "고혈압환자에게 적용한 자가관리프로그램 중재 효과" 14 (14): 568-578, 2003
35 박형숙, "고혈압조절 교육프로그램이 혈압하강, 생리지수, 자가간호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효과" 4 (4): 38-48, 2002
36 정영순, "고혈압관리에서의 스마트케어 서비스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1213-1220, 2013
37 김순덕, "고혈압 환자들의 지식, 태도, 실행 변화에 미치는 고혈압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3 (33): 162-174, 2007
38 기미영, "고혈압 자조집단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고혈압 관련 지식, 자기효능감, 자가관리 이행도 및 생리적 지수에 미치는 효과"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1-9, 2012
39 임누리, "고혈압 자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2
40 오숙희, "고혈압 대상자의 방문간호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아주대학교대학원 2010
41 정정순, "고혈압 노인환자에게 실시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 일 보건소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9
42 김희진, "고혈압 노인의 효능자원을 이용한 복약순응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노인간호학회 15 (15): 131-142, 2013
43 김선호, "고혈압 노인을 위한 범이론모형(Transtheoretical Model) 기반의 운동행위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서울대학교대학원 2011
44 신유선, "고혈압 노인여성의 혈압, 혈중지질 및 생리적 지수에 대한 수지요법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2 (22): 100-110, 2011
45 유수정, "고혈압 노인에서 복식호흡이완훈련이 혈압 및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영향" 31 (31): 998-1011, 2001
46 이인숙, "고혈압 관리 프로그램의 간호중재 효과 문헌 분석"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47 소은선, "고혈압 간호중재의 혈압하강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동서간호학연구소 16 (16): 11-18, 2010
48 Bakris. G. L.,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11 : 1-86, 2004
49 Page. M. R., "The JNC 8 hypertension guidelines: an in-depth guide" 20 (20): 2014
50 변복자, "SUKI 대체의학 기법이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2
51 Black J. M., "Medicalsurgical nursing. Clinical Management for positive outcomes" Mosby company 2001
52 Chandler. M. P., "Daily exercise attenuates the sympathetic component of the arterial baroreflex control of heart rate" 275 (275): 1627-1634, 1998
53 조규영, "6주간의 발반사마사지가노인 고혈압환자의 혈압과 피로에 미치는효과" 11 (11): 138-147, 2004
54 Paul A. James, "2014 Evidence-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MA) 311 (311): 507-, 2014
55 보건복지부, "2012 국민건강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3차년도" 2013
56 김혜정, "12주간의 유산소 운동이 고혈압관리에 미치는 영향" 가천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9
57 김이순, "12주간 태극권 운동이 고령여성의 신체적 특성 및 혈압, 콜레스테롤, 기능적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7 (7): 119-128, 2012
58 임춘한,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고혈압 노인여성의 혈관탄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103-114, 2010
59 신원태,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고혈압 노인여성의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179-190, 2010
60 임민영, "10주간 유산소 운동이 항고혈압제를 복용하는 고혈압 중년 여성의 혈압, 혈관탄성 및 심근산소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8 (18): 901-909, 2009
등속성 근기능이 G-tolerance(+6G/30s)에 미치는 영향
비만아동을 위한 보건소 운동프로그램의 실효성: 파일럿 스터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77 | 0.7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