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출여자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을 위한 진로설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Development and Effect of Career Planning Programs for the Female Runway Teenag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64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planning programs intended for runaway female high school teenagers with adjustment difficultie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eek educational meanings for career planning and career choice by verifying its effect.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onstruction of the career planning programs for the school maladjusted-runaway female teenagers?
      Second, how does practicing the career planning programs work for runaway female teenagers to attain career maturity?
      The object of the study is composed of twenty maladjusted runaway female teenagers living in protective facilities.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by inspecting career maturity through statistics and analysis and by showing the benefits of joining the program through the degree of the subject's w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verified that the results of before-after comparison for career planning program showed us valid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Second, there are valid increases in the inclination of the decision, independence and positive and in the inspection of ability, competence of career and decision of care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planning programs intended for runaway female high school teenagers with adjustment difficultie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eek educational meanings for career planning and career choice by verifying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planning programs intended for runaway female high school teenagers with adjustment difficulties. Furthermore, this study will seek educational meanings for career planning and career choice by verifying its effect.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onstruction of the career planning programs for the school maladjusted-runaway female teenagers?
      Second, how does practicing the career planning programs work for runaway female teenagers to attain career maturity?
      The object of the study is composed of twenty maladjusted runaway female teenagers living in protective facilities. The method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by inspecting career maturity through statistics and analysis and by showing the benefits of joining the program through the degree of the subject's w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verified that the results of before-after comparison for career planning program showed us valid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Second, there are valid increases in the inclination of the decision, independence and positive and in the inspection of ability, competence of career and decision of care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의 한 양상으로 고등학교시기에 가출한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설계 및 진로선택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을 위한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실시가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으로 현재 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고등학생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진로성숙도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프로그램 만족도 검사를 통해서 프로그램 참여가 자신에게 얼마나 유익한 경험이었는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비교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태도검사의 결정성, 독립성, 적극성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능력검사의 직업능력과 진로결정 부분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의 한 양상으로 고등학교시기에 가출한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설계 및 진로선...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부적응의 한 양상으로 고등학교시기에 가출한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진로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적용해 보고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설계 및 진로선택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찾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을 위한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실시가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학교부적응 가출여자 청소년으로 현재 보호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고등학생 20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진로성숙도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통계적인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프로그램 만족도 검사를 통해서 프로그램 참여가 자신에게 얼마나 유익한 경험이었는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설계 프로그램의 사전-사후 비교결과 실험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태도검사의 결정성, 독립성, 적극성에서 모두 유의한 증가가 있었고 능력검사의 직업능력과 진로결정 부분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만지, "청소년기 미혼모의 진로태도성숙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입에관한 연구" (12) : 134-159, 2001

      2 이민영, "청소년 진로발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1997

      3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 유해업소 위락지구 집중화 방안 추진을 위한 사례 조사연구"

      4 이해경, "집단 괴롭힘 피해자에 대한 편견감소에 있어서 조망확대의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999

      5 강지윤, "진로탐색 프로그램"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4 : 88-103, 2001

      6 김병숙,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유형 및 직업정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2004

      7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배영사 1986

      8 양미경, "진로 집단 상담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2001

      9 형사정책연구원, "여자청소년의 비행실태에 관한 연구"

      10 박영남, "여고생의 진로의식성숙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2000

      1 김만지, "청소년기 미혼모의 진로태도성숙 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입에관한 연구" (12) : 134-159, 2001

      2 이민영, "청소년 진로발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1997

      3 청소년보호위원회, "청소년 유해업소 위락지구 집중화 방안 추진을 위한 사례 조사연구"

      4 이해경, "집단 괴롭힘 피해자에 대한 편견감소에 있어서 조망확대의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999

      5 강지윤, "진로탐색 프로그램"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4 : 88-103, 2001

      6 김병숙, "진로상담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유형 및 직업정보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2004

      7 김충기,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배영사 1986

      8 양미경, "진로 집단 상담이 중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2001

      9 형사정책연구원, "여자청소년의 비행실태에 관한 연구"

      10 박영남, "여고생의 진로의식성숙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2000

      11 장윤정, "아동ㆍ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사회적 지지 및 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1997

      12 김지현, "소녀 가출의 원인 분석 연구" 서울대학교 1996

      13 형사정책연구원, "비행청소년 감별기준에 관한연구"

      14 Sharlin, S. A, "Runway girls in distress : motivation background and personality" 386-406, 1992

      15 Cohen, "Evaluation of the Teenage Parent Employ ability Demonstration Projects : Final Report" Urban Institute 1991

      16 Herr, E. L, "Carrer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the life span : Systematic approaches 95th ed)" Harper Collins. 1996

      17 super. D. E.,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Applying Contemporary theories to practice(2nd ed.)" Jossey-Bass 197-261,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