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제 도시의 상업지역에서 발생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상업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기존상인의 이탈현상에 대한 논...
최근들어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제 도시의 상업지역에서 발생되는 젠트리피케이션이 사회적 이슈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상업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기존상인의 이탈현상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이에 상업젠트리피케이션과 관련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기존의 연구들은 상업젠트리피케이션의 상인 이탈현상으로 나타난 업종구성의 변화, 상권특성의 변화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상업젠트리피케이션으로 가장 피해를 입는 주체는 상인임에도 상인의 영업과 생존의 관점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을 이해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인의 생존이라는 측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인 생존측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을 고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4가지의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인한 기존상인과 후기진입상인의 생존율 변화를 고찰한다. 둘째,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함에 따라 업종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기존상인과 후기진입상인의 영업 생존율을 고찰한다. 셋째, 영업구조(프랜차이즈점 vs.비프랜차이즈점)별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에 따른 생존율 변화를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상인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젠트리피케이션발생상권으로 과거에 예술가들과 예술관련 학생들의 거주지였으나, 최근 서울의 거대 상권중 하나인 홍대상권을 선정하였다. 또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조군으로써, 홍대상권이 포함되어 있는 마포구를 대조군 상권으로 설정하였다. 마포구 대조군 상권의 경우, 홍대의 파생상권인 서교동, 합정동, 상수동은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2개의 실증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상업체들의 생존율변화와 생존요인을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실증연구1은 Kaplan-Meier 생존분석을 활용하여, 상인의 진입시기별, 업종별, 영업구조별로 홍대상권과 마포구 대조군 상권에서의 생존함수를 도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증연구1의 중요 분석결과 3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홍대상권에서 기존상인의 생존율이 후기진입상인보다 낮았다. 그러나 비젠트리피케이션 상권에서는 기존상인과 후기진입상인의 생존율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근린상업의 경우, 타업종과 생존율의 패턴이 다르다. 홍대상권에서 근린상업에 종사하는 기존상인과 후기진입상인의 생존율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마포구 대조군 상권에서는 근린상업에 종사하는 기존상인이 같은 업종의 후기진입상인의 생존율보다 높았다. 셋째, 홍대상권과 마포구 대조군 상권에서 모두, 프랜차이즈점이 비프랜차이즈점의 생존율보다 높았다. 그러나 상권별로 프랜차이즈점의 생존율을 비교하였을 때, 운영기간 초기 3년간은 홍대상권의 프랜차이즈점의 생존율이 더 높았으며, 운영기간 3년이후부터는 마포구 대조군 상권의 프랜차이즈점 생존율이 더 높았다.
실증연구2는 확장된 cox 위험비례모형을 사용하여, 상인의 생존요인이 운영기간에 따라 홍대상권과 마포구 대조군상권에서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력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근린상업과 프랜차이즈점 생존요인이 운영기간에 따라 홍대상권과 마포구 대조군 상권에서 상이하게 상인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근린상업과 프랜차이즈점의 요인 모두 상인의 운영기간에 따라 홍대상권에서는 폐업위험률을 증가시켰으나, 마포구 대조군 상권에서는 폐업위험률을 감소시켰다. 이는 근린상업과 프랜차이즈점이 홍대상권에서 영업을 지속함에 따라 다음해에 생존할 확률이 감소하는 반하여, 마포구 대조군 상권에서는 생존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상인을 진입시기별, 업종별, 영업구조별로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각 상인그룹별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생존율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17년(2000-2016년)이라는 장기간동안 홍대상권과 마포구 대조군 상권에서 상인의 생존율을 고찰하였으며, 운영기간에 따른 생존요인의 영향력 변화를 파악하였다. 다각적인 측면에서 상인의 생존율을 고찰하고, 운영기간을 고려하여 생존율과 생존요인을 고찰하여, 추후, 보다 효과적인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대책 및 소상공인 지원책 마련의 방향성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