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태권도 이미지 및 형성 요인 탐색 = A Study on the Image and Formation Factors of Taekwondo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84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태권도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를 갖게 된 형성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함으로써 학교체육에서의 태권도 중요성과 다양한...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태권도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 그리고 그러한 이미지를 갖게 된 형성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색함으로써 학교체육에서의 태권도 중요성과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실현함과 동시에 태권도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C도에 위치한 G 교육대학교 태권도 수업을 수강한 예비교사 9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분석은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이 태권도에 대해 인식하는 이미지는 한국문화가 가장 높게 범주화 되었고, 무도, 스포츠, 무술, 무예 순으로 범주화되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이 태권도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 요인은 교육적 요인, 대중매체, 간접경험의 대영역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는 학교 체육에서 태권도의 다양한 가치를 올바르게 구현할 수 있는 교사들의 역량과 지원 방안에 대한 현실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aekwondo and various educational value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activate Taekwondo by exploring what image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bout Taekw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aekwondo and various educational value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to activate Taekwondo by exploring what image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bout Taekwondo and what factors are formed to have such image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pre-service teachers who took Taekwondo classes at G Education University located in C provinc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inductive category analysis through open questionnaire.,First, Korean culture was the highest category for the images tha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about Taekwondo, followed by martial arts, sports, martial arts, and martial arts.,Second, the factors that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med Taekwondo image were categorized into educational factors, mass media, and indirect experience.,This suggests the necessity of realistic discussion on teachers competence and support plan to properly implement various values of Taekwondo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성곤, "한·일 학교교육과정 중 무도교육 편성에 관한연구" 일본어문학회 (53) : 531-546, 2011

      2 최관용, "학교 체육교과내용으로서의 무도수업의 특성과 효과" 대한무도학회 11 (11): 20-32, 2009

      3 김경지, "태권도학개론" 경설출판사 1993

      4 김영선, "태권도의 유개념으로서 ‘무예’와 ‘무도’" 국기원 9 (9): 23-56, 2018

      5 이동호, "태권도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 및 지식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1 (21): 579-589, 2012

      6 손천택, "태권도교육론" 대한미디어 29-, 2019

      7 이경명, "태권도(빛깔 있는 책들)" 대원사 1997

      8 김용옥, "태권도 철학적 구성원리" 통나무사 1990

      9 안용규, "태권도 역사·정신·철학" 21세기 교육사 2000

      10 이동호, "태권도 수업을 위한 교육적 가치 탐색 및 개선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1 최성곤, "한·일 학교교육과정 중 무도교육 편성에 관한연구" 일본어문학회 (53) : 531-546, 2011

      2 최관용, "학교 체육교과내용으로서의 무도수업의 특성과 효과" 대한무도학회 11 (11): 20-32, 2009

      3 김경지, "태권도학개론" 경설출판사 1993

      4 김영선, "태권도의 유개념으로서 ‘무예’와 ‘무도’" 국기원 9 (9): 23-56, 2018

      5 이동호, "태권도에 대한 체육교사의 인식 및 지식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1 (21): 579-589, 2012

      6 손천택, "태권도교육론" 대한미디어 29-, 2019

      7 이경명, "태권도(빛깔 있는 책들)" 대원사 1997

      8 김용옥, "태권도 철학적 구성원리" 통나무사 1990

      9 안용규, "태권도 역사·정신·철학" 21세기 교육사 2000

      10 이동호, "태권도 수업을 위한 교육적 가치 탐색 및 개선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11 김찬우, "태권도 수련장에 대한 학부모의 교육적 기대 요인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79-93, 2010

      12 김만수, "태권도 수련생의 TV스포츠 프로그램의 시청이 수련동기 및 수련지속에 미치는 영향 : 우리동네 예체능을 중점으로" 국기원 5 (5): 87-103, 2014

      13 박세원, "초등학교 태권도 교육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학교와 태권도장의 갈등 관계 중심으로-" 한국초등체육학회 23 (23): 129-143, 2018

      14 김은철,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태권도의 교육적 효과" 5 (5): 17-34, 2011

      15 유승희, "초등학교 교사들의 태권도에 대한 인식" 2 (2): 1-13, 2009

      16 이병진, "초등교육학개론" 문음사 1999

      17 이동호, "초등 예비교사들의 체육에 대한 인식형성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4 (14): 489-509, 2014

      18 박동희, "초등 교사의 통합적 관점에서 본 체육교육"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79-92, 2010

      19 정종훈, "체육원리"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5

      20 이동호, "체육교사가 인식하는 태권도의 교육적 가치와 그 의미 탐색" 대한무도학회 11 (11): 47-66, 2009

      21 주명희, "중학생의 태권도에 대한 인식과 참여욕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2 추나영, "중학교 태권도의 수업의 교육적 가치와 적용" 과학교육연구소 57 (57): 182-194, 2018

      23 전원재, "중학교 체육교과에서 태권도 수업의 교육적 기능 분석" 국기원 10 (10): 87-106, 2019

      24 황인, "중학교 체육 ①/②" 태림출판사 2017

      25 김경옥, "일본 무도(武道)교육에 관한 고찰" 한국일어일문학회 102 (102): 327-345, 2017

      26 송영경, "윌리업즈와 부르드외의 문화와 학교에 관한 논의" 7 (7): 153-172, 1997

      27 유정애, "왜 스포츠 문화 교육인가?" 한국체육학회 46 (46): 169-181, 2007

      28 한국교육신문, "신규 초등 여교사 벽지 기피 지속. 2월 10일자"

      29 체육사상연구회, "스포츠의 철학적 이해" 태근문화사 363-, 1999

      30 임번장, "스포츠사회학" 동화문화사 44-, 2000

      31 최영의, "바람의 파이터 최배달" 한누리미디어 2004

      32 배명훈, "무예 교육에 관한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통사적 고찰" 한국초등체육학회 24 (24): 49-61, 2019

      33 김재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태권도경험에 관한 교육적 의미 소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75-992, 2016

      34 "네이버 두산 백과"

      35 이동호,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체육교과서에 제시된 태권도 단원 비교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5 (15): 45-64, 2008

      36 김은철, "교사들의 태권도에 대한 인식이 체육수업의 잠재적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5 (5): 117-141, 2011

      37 송민규, "고등학교 태권도 체육수업의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8 渡辺一郞, "渡辺一郞先生古稀記念論集刊行會" 第一書房 1995

      39 ビットマンハコ, "日本武道における 「修行」 の考察"

      40 유정애, "[단행본] 체육수업비평" 무지개사 2003

      41 Ennis, C. D., "Value orientations : A description of teachers’ goals for student learning" 62 : 33-40, 1991

      42 Ennis, C. D., "The role of value orientation in curricular decision making : A rationle for teaches’ goals and expectations" 63 : 38-47, 1992

      43 Ennis, C. D., "The influence of teacher value orientation on curriculum planning within the parameters of a theoretical framework" 61 : 360-368, 1990

      44 윤정민, "KTA 태권도도장 지도자를 위한 겨루기 지도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