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 An Analysis of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Related to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32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논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논문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28편이었다. 분석대상 논문의 일반적 특성, 중재변인 및 중재결과를 분석하고, Horner 외(2005)와 CEC(2014)의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지표에 근거하여 질적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르면 초등학생대상 연구가 32.2%이고, 중고등학생 대상 연구가 67.8%였으며,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학생이 자폐장애 학생보다 많았다. 실험설계는 중다(간헐)기초선 연구가 70%로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 변인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어와 수학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으며, 중재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해 교육과정을 분석한 논문은 63.3%이었고, 관찰자간 신뢰도, 중재충실도, 사회적 타당도에 대해 보고한 논문이 각각 60.7%, 50.0%, 75%이었다. 셋째, 중재결과의 분석에 따르면, 중재효과, 유지 및 일반화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시각적 분석 방법으로 모든 분석대상 논문이 평균선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고, 비중복비율(중복비율 포함)을 이용하여 분석한 논문은 32.1%였다. 넷째, 질적분석 결과, 모든 질적지표를 충족한 논문은 없었으나 중재자 자격여부 정보와 사회적 타당도 영역을 제외한 모든 질적지표에 대해 논문의 60% 이상 충족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related to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Twenty eight single-subject studi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related to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Twenty eight single-subject studies published from 2010 to 2019 were analyzed using the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developed by Horner and colleagues(2005) and CEC(2014).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widely selected study subjects wer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ltiple probe designs were the most widely used. Second, the most widely selected subjects were Korean and math. Third, in all 28 studies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dependent variables. Generalization effects were tested in only eight of 28 studies, while maintenance effects were tested in 27 of 28 studies. The following quality indicators were not entirely fulfilled: intervention settings, background informations, qualifications of experimenters, operant definitions of dependent variables, fidelity of intervention, baselines, and internal validit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진, "학생의 흥미를 반영한 쓰기 활동이 특수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낱말 읽기 및 쓰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2, 2015

      2 김지선, "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이 장애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비장애중학생과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53-275, 2016

      3 정주영, "특수교육의 대안적 교과 체제로서 생활 주제 중심 교과의 가능성 탐색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 체제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87-121, 2019

      4 박선정,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분석 및 과제: 2010~2019년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73-301, 2019

      5 박정식,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연구 동향 및 과제"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95-123, 2015

      6 오철진,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 2005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37-362, 2015

      7 오승주,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심리적, 사회적, 직업적 적응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이순자,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수업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87-127, 2018

      9 정대영,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67-1186, 2019

      10 염지혜,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51-178, 2015

      1 김경진, "학생의 흥미를 반영한 쓰기 활동이 특수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낱말 읽기 및 쓰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2, 2015

      2 김지선, "학교차원의 사회적 통합 프로그램이 장애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및 비장애중학생과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53-275, 2016

      3 정주영, "특수교육의 대안적 교과 체제로서 생활 주제 중심 교과의 가능성 탐색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교과 체제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2 (12): 87-121, 2019

      4 박선정, "특수교육 수업에 대한 국내 질적연구 동향분석 및 과제: 2010~2019년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73-301, 2019

      5 박정식,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연구 동향 및 과제"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95-123, 2015

      6 오철진,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 2005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37-362, 2015

      7 오승주,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심리적, 사회적, 직업적 적응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이순자, "특수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수업전문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87-127, 2018

      9 정대영,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67-1186, 2019

      10 염지혜,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51-178, 2015

      11 양성빈, "직접교수법과 반복 읽기에 의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수정된 그림책 읽기 중재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21 (21): 73-102, 2019

      12 이성용,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수학 교수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메타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23 (23): 97-116, 2019

      13 김정민,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과학과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8 (8): 199-227, 2015

      14 이윤미,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5 (15): 335-353, 2013

      15 최성규,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수업구조에 대한 교육과정의 영향력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5 (25): 176-203, 2018

      16 홍정숙,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 교과 운영에 대한 중등 특수교사들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1-32, 2018

      17 성경선,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초등 장애학생 통합교육 관련 단일대상 연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171-198, 2017

      18 박지수, "중등특수교사 양성과정 표시과목의 현장적합성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23 (23): 105-130, 2016

      19 함미애, "장애학생의 교과수업에 대한 국내 단일대상 연구 동향 분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215-242, 2017

      20 박윤정, "장애학생을 위한 국내 사회과교육 연구 동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357-384, 2012

      21 김건희, "자폐장애 학습자의 중재전략 연구의 최근 동향: 2006년-2010년"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337-370, 2011

      22 김선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미술활동 중재연구 동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173-199, 2016

      23 장미순, "자폐성장애 학생의 읽기 특성, 교수 실제 및 지원 방안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7 (17): 1-25, 2015

      24 조수현, "자폐성장애 학생의 교과학습 관련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9 (19): 201-229, 2017

      25 전상신, "자폐성장애 감각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3-1023, 2020

      26 임해주, "자폐성 장애(ASD) 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의 국내․외 연구 동향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355-381, 2013

      27 지은,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을 위한 국내 학업중재연구 분석: 단일대상연구 증거기반 질적지표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5 (15): 227-250, 2016

      28 이성용, "자기교수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 지불 기술에 미치는 효과" SCH특수아동교육연구소 4 (4): 119-140, 2017

      29 양영모, "자기결정학습모형(SDLMI)에 기초한 국어과 교수가 정신지체 중학생의 자기조정학습전략 사용 및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49-167, 2012

      30 이선주,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을 적용한 문해교육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력과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1 (21): 243-266, 2019

      31 정정은,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을 활용한 교수적 지원이 통합된 중학교 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참여행동 및 수행평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83-205, 2012

      32 우정한, "읽기장애학생의 읽기 특성 연구: 읽기장애의 유형, 읽기 오류 유형 및 글 이해력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1 (51): 197-218, 2012

      33 박아름, "오르프 슐베르크를 활용한 음악교육 활동이 자폐성 장애학생의 과제수행 및 주의집중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323-344, 2010

      34 명문영, "역동적 평가를 활용한 게임 활동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덧셈 연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24 (24): 135-157, 2017

      35 국립특수교육원, "양육길라잡이 : 발달장애-양육기술" 국립특수교육원 2016

      36 양경옥, "악기를 활용한 음악활동이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자기표현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교육학회 13 (13): 79-98, 2015

      37 송인혜, "시각적 지원을 통한 이야기 읽기 교수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기본 감정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87-122, 2011

      38 이현옥, "시각적 사고 전략이 중학교 지적장애학생의 과학과 수업 참여도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10 (10): 21-37, 2017

      39 송승민, "스마트러닝 기반의 직업교육이 정서장애 특수학교 고등학생의 도서 분류작업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데이터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17-239, 2016

      40 양영욱, "스마트디바이스를 활용한 인지 능력 훈련 기능성 게임 개발" 한국게임학회 11 (11): 23-32, 2011

      41 최진혁,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비디오 자기 모델링이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403-423, 2015

      42 정수리, "스마트 기기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수학교육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덧셈 계산 정확도와 과제집중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73-92, 2015

      43 이동원, "수학과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 인식의 구성요인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131-159, 2015

      44 김선옥, "생태학적 사정에 기반한 선행사건 중재가 미술수업에서 지적장애학생의 도전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행동분석학회 5 (5): 127-157, 2018

      45 김영준, "사회교과 통합 전환교육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식당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1-36, 2012

      46 이상철, "사회과 정착수업이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과 수업활동 참여 및 과제수행에 미치는영향" 4 (4): 41-64, 2011

      47 박일성, "비디오 프롬프팅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6 (6): 69-87, 2013

      48 김현주, "블렌디드 러닝이 초등학교 지적장애아동의 수학 학업성취 및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27-47, 2013

      49 김영준, "발달장애학생의 자립과 성인생활을 위한 특수교육 교과교육의 적용방안 소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143-179, 2014

      50 유경미, "미술치료에서 단일대상연구의 시각적 분석"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4 (14): 197-218, 2018

      51 정훈영, "미디어 광고와 마인드맵 활용 기반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어휘력과 직업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2 (32): 209-228, 2016

      52 황현규, "디지털 디바이드, 모바일시대의 정보격차 현상 : 스마트폰 이용 확산에 따른 정보격차현상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1

      53 강혜미, "동화책을 활용한 반복읽기전략이 지적장애 학생의 읽기 유창성 및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163-182, 2018

      54 홍점숙, "도식기반 전략교수가 자폐성 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203-226, 2014

      55 이소현, "단일대상연구" 학지사 2000

      56 임해주, "기술·가정교과의 교수적 수정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목표달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동분석학회 4 (4): 61-85, 2017

      57 이미희, "기능적 활동중심 수학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화폐계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6 (16): 149-175, 2014

      58 이대식, "국내 학습장애 분야 이론과 실제의 현황과 과제"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129-158, 2014

      59 윤주연, "국내 정서ㆍ행동장애와 자폐성 장애의 특수체육 프로그램 및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근거 기반의 실제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173-196, 2015

      60 양명희, "교육평가의 이해 (개정판)" 학지사 2016

      61 고영준, "교과교육의 의미: 칸트와 헤겔의 관점" 한국교육사상학회 24 (24): 1-30, 2010

      62 심재호, "관심중심실행모형(CBAM)을 이용한 교사의 STEAM 교육 실행 조사" 과학교육연구소 57 (57): 325-340, 2018

      63 방선주, "과정중심 쓰기 교수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6 (26): 151-178, 2010

      64 김태현,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빅 데이터 활용 특징적 요소 분석" 교육발전연구소 29 (29): 225-242, 2019

      65 최미영, "개정 기본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과학과 수업관찰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0 (10): 171-184, 2016

      66 Klingner, J. K, "What does it take to scale up and sustain evidence-based practices?" 79 (79): 195-211, 2013

      67 김상은, "Touchmath 원리와 직접교수를 적용한 수학지도가 자폐성 장애 학생의 덧셈․뺄셈 연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89-113, 2010

      68 Horner, R. H,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71): 165-179, 2005

      69 Forness, S. R, "The pursuit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30 (30): 311-330, 2005

      70 McDonald, T.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 research with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7 (7): 1439-1460, 2013

      71 Paik, S, "Supporting science teachers in alignment with state curriculum standards through professional development : Teachers' preparedness, expectations and their fulfillment" 20 (20): 422-434, 2011

      72 Pijl, S. J,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secondary education : are they intending to learn or to leave?" 29 (29): 16-28, 2014

      73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Standards for evidence-based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14

      74 Kazdin, A. E, "Single-case research design"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75 강민주, "SQ3R 독해전략이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독해력 및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53-174, 2011

      76 Odom, S. 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 Scientific methods and evidence-based practices" 71 (71): 137-148, 2005

      77 Wong, C, "Play and joint attention of children with autism in the pre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room" 42 (42): 2152-2161, 2012

      78 윤혁, "Kagan의 구조중심 협동학습, 스마트러닝, 협동학습과 스마트러닝 통합중재가 경도장애 학생의 진로직업교육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학습장애학회 14 (14): 185-211, 2017

      79 Clausen, K. W, "Interdisciplinary practices in ontario: Past, present and future" 28 : 69-108, 2010

      80 Odom, S. L, "Implementation sc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79 (79): 233-251, 2013

      81 최진혁, "ICF Core Set 연구 동향 분석: 2012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특수아동학회 20 (20): 51-82, 2018

      82 Bauminger-Zviely, N, "Handbook of autism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Wily & Sons 148-175, 2014

      83 National Autism Center, "Findings and conclusions : National standards project, phase 2" National Autism Center 2015

      84 Wong, C, "Evidence-based practices for children, youth, and young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A comprehensive review" 45 (45): 1951-1966, 2015

      85 Cook, B. G, "Evidence-based practices and implementation science in special education" 79 (79): 135-144, 2013

      86 Reichow, B, "Effects of weighted vests on the engage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autism" 25 (25): 3-11, 2010

      87 Stahmer, A. C, "Early intervention practices for children with autism : Descriptions from community providers" 20 (20): 66-79, 2005

      88 신말옥, "E-NIE 프로그램을 활용한 국어과 수업이 지적장애학생의 읽기 유창성 및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달장애학회 19 (19): 1-24, 2015

      89 Cook, B. G, "Determining evidence-based practices in special education" 75 (75): 365-383, 2009

      90 Baldoni, M, "Constraint modeling for curriculum planning and validation" 19 (19): 81-123, 2011

      91 Hess, K. L, "Autism treatment survey : Services received by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public school classrooms" 38 (38): 961-971, 2008

      92 길한아, "ADHD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한 단일대상연구의 전반적인 동향 분석과 CEC 질적 지표에 의한 분석 - 문제행동유형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 (20): 323-351, 2019

      93 교육부, "2019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국립특수교육원 2019

      94 이혁규, "2015 개정 통합사회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특징 및 적용 가능성 분석 -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패러다임 전환 -" 한국열린교육학회 27 (27): 119-144, 2019

      95 김은남, "(나와 공동체를 세우는) 수업나눔 : 새로운 수업협의회를 찾는 교사들을 위한 안내서" 좋은교사운동 출판부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3 1.8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7 1.64 2.126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