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혼합단지 내 분양·임대 거주자 간 사회적 교류에의 영향요인 차이분석 = 강일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4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혼합단지 내 분양주택 거주자와 임대주택 거주자 간 사회적 교류가 발생하는 커뮤니티 시설과 활동에 대한 차이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인 커뮤니티 시설은 물리적 요인으로 지원공간, 복지공간, 휴식공간, 놀이공간으로, 비물리적 요인으로 주민프로그램과 문화ㆍ교류활동으로 분류 도출 했으며, 종속변수인 사회적 교류는 교제수준, 참여도, 사회적 지지로 도출했다. t검증, χ2검증, PLS-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상대적으로 소득과 학력이 높고 여가지수가 높은 직업군인 분양주택 거주자들은 비용 부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형태의 커뮤니티 공간과 활동에서 연계형 사회적 교류의 형태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소득과 학력이 낮고 여가지수가 낮은 직업군인 임대주택 거주자들은 비용 부담이 되지 않는 형태의 커뮤니티 공간과 활동에서 결속형 사회적 교류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위의 결과를 근거로 법적 설치 기준으로서의 부대복리시설이 아닌 실제 교류가 가능한 공간으로의 조성 방안과 커뮤니티 시설 및 활동에 대해 거주자 직접 관리 및 재능기부 등을 통한 비용절감 및 이용률 향상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혼합단지 내 분양주택 거주자와 임대주택 거주자 간 사회적 교류가 발생하는 커뮤니티 시설과 활동에 대한 차이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인 커뮤니티 시설은...

      본 연구는 혼합단지 내 분양주택 거주자와 임대주택 거주자 간 사회적 교류가 발생하는 커뮤니티 시설과 활동에 대한 차이점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인 커뮤니티 시설은 물리적 요인으로 지원공간, 복지공간, 휴식공간, 놀이공간으로, 비물리적 요인으로 주민프로그램과 문화ㆍ교류활동으로 분류 도출 했으며, 종속변수인 사회적 교류는 교제수준, 참여도, 사회적 지지로 도출했다. t검증, χ2검증, PLS-회귀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상대적으로 소득과 학력이 높고 여가지수가 높은 직업군인 분양주택 거주자들은 비용 부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형태의 커뮤니티 공간과 활동에서 연계형 사회적 교류의 형태를 가지며, 상대적으로 소득과 학력이 낮고 여가지수가 낮은 직업군인 임대주택 거주자들은 비용 부담이 되지 않는 형태의 커뮤니티 공간과 활동에서 결속형 사회적 교류의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위의 결과를 근거로 법적 설치 기준으로서의 부대복리시설이 아닌 실제 교류가 가능한 공간으로의 조성 방안과 커뮤니티 시설 및 활동에 대해 거주자 직접 관리 및 재능기부 등을 통한 비용절감 및 이용률 향상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activities where social interaction occur between residents of sales housing and residents of rental housing in the Social Mix Housing Complex. For this, the community facilities, independent variables, are classified as physical factors of supporting space, welfare space, resting space, and play space. Non-physical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residents’ programs and cultural and exchange activities. Social interaction, a dependent variable, was derived from level of fellowship,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e t-test, χ2 test, and PLS-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residents of sales housing with relatively high income, high educational level, and high leisure level, have a form of linked social interaction. It is presumed that residents of rental housing with relatively low income, low educational level, and low leisure index, have a form of bonding social interaction in a form of community space and activities that are not cost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space for actual exchange, not a subsidiary welfare facility as a legal installation standard. In addition, it suggests a necessity of cost reduction and utilization rate improvement through direct resident management and talent donation for community facilities and activ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activities where social interaction occur between residents of sales housing and residents of rental housing in the Social Mix Housing Complex. For this, the community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activities where social interaction occur between residents of sales housing and residents of rental housing in the Social Mix Housing Complex. For this, the community facilities, independent variables, are classified as physical factors of supporting space, welfare space, resting space, and play space. Non-physical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residents’ programs and cultural and exchange activities. Social interaction, a dependent variable, was derived from level of fellowship,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e t-test, χ2 test, and PLS-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residents of sales housing with relatively high income, high educational level, and high leisure level, have a form of linked social interaction. It is presumed that residents of rental housing with relatively low income, low educational level, and low leisure index, have a form of bonding social interaction in a form of community space and activities that are not costly.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a space for actual exchange, not a subsidiary welfare facility as a legal installation standard. In addition, it suggests a necessity of cost reduction and utilization rate improvement through direct resident management and talent donation for community facilities and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및 차별성
      • 3. 사회적 교류 영향요인 분석의 틀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선행연구 및 차별성
      • 3. 사회적 교류 영향요인 분석의 틀
      • 4. 사회적 교류 영향관계 모형 검증 및 분석 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현숙,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 간 상관관계에관한 연구" 9 (9): 143-172, 2001

      2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임보영, "지역 내 준거집단과 비교한 경제적 격차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4 김광복,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4-86, 2005

      5 최열, "주택재개발사업의 수익성 결정요인 및 예측"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81-91, 2010

      6 하재명, "주거지내 도로망 유형에 따른 거주자의 근린의식에 관한 연구" 5 (5): 37-45, 1989

      7 서수정, "임대주택단지의 사회통합적 계획을 위한 사회적 배제 실태 조사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22) : 24-55, 2004

      8 김준형, "임대주택 사회적 혼합의 장애요인과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53-163, 2005

      9 신천규, "임대 및 분양 혼합단지의 사회적 통합 인식비교 : 마포구 상암월드컵파크 9∼12단지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10 허명, "일반분양주택과 임대주택 거주민의 의식 차이 비교 분석" 2 (2): 121-151, 2010

      1 천현숙,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특성과 커뮤니티 특성 간 상관관계에관한 연구" 9 (9): 143-172, 2001

      2 김경준,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 임보영, "지역 내 준거집단과 비교한 경제적 격차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4 김광복, "주택재개발아파트의 단지배치특성에 따른 임대주택거주자의 커뮤니티의식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74-86, 2005

      5 최열, "주택재개발사업의 수익성 결정요인 및 예측"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81-91, 2010

      6 하재명, "주거지내 도로망 유형에 따른 거주자의 근린의식에 관한 연구" 5 (5): 37-45, 1989

      7 서수정, "임대주택단지의 사회통합적 계획을 위한 사회적 배제 실태 조사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22) : 24-55, 2004

      8 김준형, "임대주택 사회적 혼합의 장애요인과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153-163, 2005

      9 신천규, "임대 및 분양 혼합단지의 사회적 통합 인식비교 : 마포구 상암월드컵파크 9∼12단지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3

      10 허명, "일반분양주택과 임대주택 거주민의 의식 차이 비교 분석" 2 (2): 121-151, 2010

      11 최용부, "아파트 주거만족도의 구성요소와 관련 요인 분석 : 가중치 부여방법을 이용한 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12 禹 龍, "아파트 단지 주민의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주민관계 분석 : 포항 시 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5

      13 허명회, "신경망과 PLS회귀" (주)데이터 솔루션 2008

      14 박학목,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유형별 도시형 생활주택 가격 영향요인분석 - 2030 서울시 도시기본계획안 공간구조체계를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419-435, 2013

      15 김성옥, "사회통합에 관한 혼합단지 내 주거만족도 조사 연구 : 수원 매탄 주공 그린빌 아파트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16 김승남, "사회적 혼합은 어떻게 주거 만족도를 떨어뜨리는가?"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4 (24): 1-33, 2015

      17 이혜진, "사회적 혼합아파트의 사회통합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18 신원영, "사회적 혼합(Social Mix)과 청소년 우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9 남은영, "사회계층 변수에 따른 여가 격차 :여가 유형과 여가 및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1 (31): 57-84, 2008

      20 이주현, "분양ㆍ임대 아파트 혼합주거단지의 공간구성과 사회적 혼합" 58 : 77-95, 2012

      21 정광섭, "메가 프로젝트의 의사결정 영향요인 추정" 19 : 91-124, 2012

      22 천현숙, "도시재생사업지구 거주자 유형별 사회적 자본차이 분석 연구: 길음뉴타운사업구역을 중심으로" 국토연구원 63 : 29-42, 2009

      23 김종재, "도시민의 주거환경 의식에 관한 연구 I" 7 (7): 261-268, 1991

      24 정재희, "도시 주거지역의 주민공동체의식에 관한 인과적 영향분석" 17 : 85-93, 1994

      25 김승남, "근린의 사회적 혼합 수준과 거주민의 사회자본 형성 및 도움수혜 경험의 실증적 관계" 국토연구원 76 : 93-112, 2013

      26 주택도시연구원, "국민임대주택백서" 대한주택공사 2006

      27 이라영, "공동주택 단지의 공동체의식과 외부 공간구성"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28 최열, "공동주택 단지설계요소 및 거주자특성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대한건축학회 23 (23): 83-90, 2007

      29 나강열, "공공임대주택의 유형별 외부효과와 국민임대주택단지의 사회적 혼합에 대한 선호도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30 하성규, "공공임대주택과 사회적 배제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14 (14): 159-181, 2006

      31 Bulmer, M, "The uses of social research" Allen & Unwin 1982

      32 Nasar, JL,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the neighborhood" 61 : 178-184, 1995

      33 박근석, "Social-Mix 단지에서의 입주자 참여 및 갈등이 주거만족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2 (2): 239-247, 2011

      34 정성기, "Social-Mix 개념이 전제된 공동주택의 평형혼합 방법에 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99-102, 2000

      35 Chavis, DM,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18 : 355-381, 1990

      36 McMillan, DW,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14 : 6-23, 1986

      37 서혜선, "SPSS 회귀분석" 한나래출판사 2009

      38 이학식, "SPSS 14.0 매뉴얼" 법문사 2008

      39 Perkins, DD,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Research, applications, and implications" Plenum 291-318, 2002

      40 Kim, J,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sense of community: new urbanist Kentlands and nearby Orchard village’" 36 (36): 313-340, 2004

      41 이윤홍, "PLS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시철도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규명 - 서울시 도시철도 이용자를 중심으로 -" 한국교통연구원 19 (19): 1-16, 2012

      42 Doolittle, RJ, "Communication and a sense of community in a metropolitan neighborhood: A factor analytic examination" 26 : 2-7,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