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댄스운동에 참여하는 젊은 여성들의 신체지각과 날씬함 추구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0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ody perception and drive for thinnes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ocused on young women in life dance participants. A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200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aerobics and jazz dance using M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by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o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wo groups by the level of body perception: body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group.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by the level of body perception. body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Also, body dissatisfaction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depression. second, this study didn`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by the level of drive for thinnes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ody perception and drive for thinnes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ocused on young women in life dance participants. A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200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body perception and drive for thinness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focused on young women in life dance participants. A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200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sports, aerobics and jazz dance using M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by SPSS 15.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o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two groups by the level of body perception: body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group.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by the level of body perception. body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steem. Also, body dissatisfaction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depression. second, this study didn`t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by the level of drive for thinnes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공성숙, "폭식 행동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39 (39): 1072-1081, 2000

      2 박경애, "청소년의 신체상, 자존감 및 대인불안과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전정우, "청소년들의 신체활동 소비문화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6 (16): 35-47, 2007

      4 홍금희, "자아존중감에 대한 외모의 사회문화적태도와 신체비만도 및 신체이미지의 영향" 30 (30): 348-357, 2006

      5 조선진, "일부 여대생의 비만수준 및 체중조절형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14 (14): 1-15, 1997

      6 조선진, "일부 여대생의 비만수준 및 체중조절 형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7 박수정, "인지행동치료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8 김양진,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16 (16): 197-211, 1992

      9 전선혜, "여성들의 에어로빅댄스 참여와 신체적자아개념, 정신건강과의 관계모형" 8 : 423-433, 1997

      10 황미경, "여성 무용수의 신체상에 관한 연구" 44 (44): 823-833, 2005

      1 공성숙, "폭식 행동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39 (39): 1072-1081, 2000

      2 박경애, "청소년의 신체상, 자존감 및 대인불안과의 관계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전정우, "청소년들의 신체활동 소비문화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16 (16): 35-47, 2007

      4 홍금희, "자아존중감에 대한 외모의 사회문화적태도와 신체비만도 및 신체이미지의 영향" 30 (30): 348-357, 2006

      5 조선진, "일부 여대생의 비만수준 및 체중조절형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14 (14): 1-15, 1997

      6 조선진, "일부 여대생의 비만수준 및 체중조절 형태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7 박수정, "인지행동치료가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진 여대생의 신체상 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8 김양진,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16 (16): 197-211, 1992

      9 전선혜, "여성들의 에어로빅댄스 참여와 신체적자아개념, 정신건강과의 관계모형" 8 : 423-433, 1997

      10 황미경, "여성 무용수의 신체상에 관한 연구" 44 (44): 823-833, 2005

      11 손은정, "여대생의 자아존중감, 신체 비교, 마른 이상적인 체형의 내면화, 신체 불만족이 이상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885-901, 2008

      12 천경민, "여고생의 창의적 신체활동이 신체적 표현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2 (32): 507-515, 2008

      13 김석일, "여가스포츠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4

      14 김석일, "에어로빅스 참가자의 사회문화적 요인별 운동중독, 자아존중감, 생활만족의 인식" 한국체육학회 45 (45): 223-234, 2006

      15 김경아, "아동과 청소년의 외모 및 신체만족과 심리적 특성간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6 박은아, "신체존중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과 미국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22 (22): 35-56, 2003

      17 이영옥, "신체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신체상과 자아상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18 한오수, "식이절제태도에 따른 심리적 특성" 16 : 21-28, 1991

      19 성영신, "성과 사회: 소비와 광고 속의 신체이미지" 나남출판사 1997

      20 신혜숙, "생활무용 참여형태에 따른 자아 존중감과 지속적 참여의사와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2 (32): 47-58, 2008

      21 심진이, "비만중년여성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신체조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 (19): 251-272, 2008

      22 박소연, "부정적인 신체상을 지닌 여대생에 대한 게슈탈트 집단치료의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3 이석인, "바디세이핑 바이블" 대경북스 2007

      24 김지영, "무용전공자의 신체이미지 형성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분석" 대한무용학회 51 (51): 63-82, 2007

      25 박현숙, "무용과 댄스스포츠 전공자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관리가 정서에 미치는 영향.미간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6 배진희,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 지각과 심리적 변인의 인과적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27 한혜원, "댄스스포츠 참가 대학생의 신체상 인지와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6 (16): 209-218, 2007

      28 김홍석, "대학생들의 운동참여와 신체적 자기개념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7 (17): 119-128, 2008

      29 박은아, "광고모델에 대한 소비자 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체이이지 비교를 중심으로" 2 (2): 87-116, 2001

      30 Tiggermann, M, "Weight concern across the life span: relationship to self-esteem and feminist identity" 26 : 103-106, 1999

      31 Cooper, P,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ody shape questionnaire" 6 (6): 485-494, 1987

      32 Rosenberg, M, "The Self-Esteem Scale. in: Measure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Academic Press 1965

      33 Cash, T, "Sexism and Beautyism in Personnel Consultant Decision Making" 62 : 301-310, 1977

      34 Stice, E, "Review of the evidence for a socio-cultural model of bullimia nervosa and an exploration of the mechanism of action" 14 (14): 633-661, 1994

      35 Davidson, T, "Relationships between men's and women's body image and their psychological, social and sexual functioning" 52 : 463-475, 2005

      36 Lewis, R, "Relationship of body image and creative dance movement" 81 (81): 155-165, 1995

      37 Ross,C, "Overweight and depression" 35 (35): 63-79, 1994

      38 Jacobi, L, "In pursuit of the perfect appearance: Discrepancies among self-ideal percepts of multiple physical attributes" 24 (24): 379-396, 1994

      39 Reed, L, "Images and attitude: The impact of media images on the self-esteem, body image and sex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 Doctoral Dissertation Manuscript"

      40 Schilder,P, "Disturbance of body-image. American Handbook of Psychiatry" Basic Books Inc 1975

      41 Polivy, J, "Dieting and bingeing: A causal analysis" 40 : 193-201, 1985

      42 Davis, C, "Chinese men and women in the United States and Hong Kong: boys and self-esteem ratings as a prelude to dieting and exercise" 23 : 99-102, 1998

      43 Noles, W, "Body image, physical attractiveness, and depression" 53 (53): 88-94, 1985

      44 Jasmin, S, "Behavioral concepts and the nursing process" Mosby Corporation 1979

      45 이영호,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10 : 98-113, 1991

      46 Kostanski, M, "Adolescent body image dissatisfaction: Relationships with self-esteem, anxiety, and depression controlling for body mass" 39 (39): 255-262,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esure, Recreation & Park ->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esure & recreation -> korean Journal of Lesure, Recreation & Park KCI등재
      2015-12-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Leisure & Recreation -> Korean Society of Leisure, Recreation & Park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7-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lesure & recreation -> korean Journal of lesure & recre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6-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9 1.91 1.62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