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적장애학생의 어머니가 인식한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he Job Readiness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Mot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39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피는 동시에 지원이 시급히 요구되는 항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을 살피는 동시에 지원이 시급히 요구되는 항목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지적장애학생 어머니 110명을 대상으로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대응표본 t-검증 및 Borich 요구도 분석, IPA 매트릭스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하는 영역은 작업기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 영역 중 자기인식과 자기이해의 영역에 대한 지원이 가장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 기술과 자기결정의 신장을 위한 실천적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mothers’ perception on job readiness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o explore the needs of mothers for supporting these two key c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mothers’ perception on job readiness skills and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to explore the needs of mothers for supporting these two key concepts. Method: To these ends, 110 mot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paired t-test, Borich’s need, and IPA matrix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job readiness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well, the supports for ‘job skills’ domain were needed strongl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self-determination. As well, the supports for ‘self-awareness and self-knowledge’ domain were needed most strongl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to support and enhance job readiness level and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국립특수교육원 2009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8

      3 박상희,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과에 나타난 자기결정 요소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5-43, 2015

      4 윤주섭,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 이옥란, "충남 초등특수교육대상 아동의 진로준비에 관한 부모의 인식" 13 : 241-267, 2010

      6 김진호, "최신특수교육" 시그마프레스 2017

      7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준비검사 개정 연구 보고서"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15

      8 김효선,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15-241, 2016

      9 조인수, "지적장애아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14

      10 송준만, "지적장애아교육" 학지사 2016

      1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국립특수교육원 2009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18

      3 박상희, "특수교육 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과에 나타난 자기결정 요소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5-43, 2015

      4 윤주섭,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 직업재활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 이옥란, "충남 초등특수교육대상 아동의 진로준비에 관한 부모의 인식" 13 : 241-267, 2010

      6 김진호, "최신특수교육" 시그마프레스 2017

      7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준비검사 개정 연구 보고서"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2015

      8 김효선,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직업준비 기술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215-241, 2016

      9 조인수, "지적장애아교육" 대구대학교출판부 2014

      10 송준만, "지적장애아교육" 학지사 2016

      11 정성민,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자기결정 교수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 (15): 1-23, 2013

      12 임옥선, "중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의 자기결정 요인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5-46, 2012

      13 김영미, "중도중복장애학생교육" 학지사 2013

      14 나용기, "정신지체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준비도와의 관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53-75, 2012

      15 김정일, "정신지체인을 위한 직업준비도 척도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04

      16 이달엽, "정신지체인 직업준비도 척도개발 예비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5 (15): 75-94, 2005

      17 이하늬, "정신지체 특수학교 진로·직업교육 실태에 관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조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18 권택환, "장애학생의 전환계획과 자기결정력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만족도 비교"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101-116, 2010

      19 이옥인,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01-121, 2011

      20 한성희,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관한 예비특수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5

      21 이숙향,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및 교수 실제에 대한 특수교사와 부모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95-229, 2009

      22 박재국, "장애학생 졸업 후 취업 지원에 대한 인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60 (60): 1-27, 2017

      23 박형진, "장애인의 권리옹호를 위한 자립생활 지원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24 김수진, "장애유아의 가정에서의 자기결정 경험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73-95, 2015

      25 이상춘, "장애아를 위한 생활자립 직업재활 훈련프로그램" 특수교육 1992

      26 고경희,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정신지체학생의 자율성과 심리적 역량"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27 주혜미, "자기결정진로개발모델(SDCDM)이 고등학교 특수학급 지적장애학생의 직업준비기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21 (21): 168-195, 2014

      28 강동선, "자기결정기술을 적용한 방과 후 놀이프로그램이 지적장애청소년의 자기결정능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소 55 (55): 1-13, 2016

      29 조인수, "자기결정: 교수와 사정 전략" 시그마프레스 2012

      30 오정민, "자기결정(Seld-determination)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 및 교수 실행도에 관한 조사" 교육연구소 4 (4): 17-40, 2003

      31 김은라,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장애아 부모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23-49, 2015

      32 최종순, "성적 자기결정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성인의 성적 자기결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3 (13): 1-28, 2017

      33 황성혜,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기결정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15 (15): 203-229, 2011

      34 조인수, "성과중심 전환교육의 자기결정 구성요소와 지원전략"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157-187, 2004

      35 정유진, "보편적 학습 설계에 기초한 자기결정 프로그램이 정신지체 학생과 비장애 학생의 자기결정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169-196, 2012

      36 백종남, "발달장애학생 기초작업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직업기초능력의 도출, 우선순위 및 미래유용성-준비도 매트릭스 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8 (58): 125-146, 2015

      37 하지철, "마케팅조사 실무노트 Ⅲ-분석편: 각종분석기법과 통계분석" 이담북스 2010

      38 윤형진, "다중지능특성에 따른 강점기반 자기결정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적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07-229, 2009

      39 김소현, "가정과 연계한 자기일과 계획하기 교수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자기일과계획하기 및 자기주도활동 수행과 자기결정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40 Eve, M,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Project SEARCH and job readiness and employment for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40 (40): 15-26, 2014

      41 우정한, "TIE 활용 직업교육이 정신지체학생의 직업준비기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159-180, 2009

      42 Sagen, L. M, "Self-determination of pupi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Norwegian secondary school" 29 (29): 344-357, 2014

      43 Oh, H, "Revisit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22 : 617-627, 2001

      44 Shogren, K. A, "Relationships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Postschool Outcome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48 (48): 256-267, 2015

      45 Karrie A. Shogren, K. A, "Relationships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Postschool Outcomes for Youth With Disabilities" 48 (48): 257-267, 2015

      46 Christine H. Kimm,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Leadership of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305-331, 2018

      47 Wehmeyer, M. L,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Guilford Press 2007

      48 Cater, E. W, "Parent assessments of self-determinati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students with autism or intellectual disability" 18 (18): 16-31, 2013

      49 정인숙, "KISE-적응행동검사 개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13

      50 Kauffman, J. M, "Handbook of special education" Routledge 2017

      51 Shogren, K. A,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self-determination of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49 (49): 86-102, 2011

      52 Heward, W. L, "Exceptional Childr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Eleventh Edition. Pearson" 32 (32): 124-132, 2016

      53 Chou, Y, "Comparisons of Self-Determination among Students with Autism, Intellectual Disability, and Learning" A Multivariate Analysis 2017

      54 Plotner, A. J,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and secondary transition collaboration : characteristics for enhanced service delivery for adolescents in the United States" 39 (39): 1287-1295, 2017

      55 Knight, D, "Assessing Students' Job-Readiness Skills To Assure Success in School-Business Partnership Programs" 2001

      56 Morningstar, M. E, "A College and Career Readiness Framework for Secondary Students with Disabilities" 42 (42): 79-91,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