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CFI-R) of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80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서조절이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진로 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등 4년제 대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22일까지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9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성별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자기 명료화와 진로주의집중 및 실천, 진로탄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직업 환경 불확실성 감소, 자기명료화, 긍정심리증진, 진로 미래의 부정적 진로전망, 일과 삶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 진로탄력성, 진로미래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하위변인 간에도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나머지 요인들과 회피와 부정적 진로전망 변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은 진로미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정서 조절이 진로미래를 높이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대학생들의 긍정적 진로미래를 위한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과 상담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서조절이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진로 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서조절이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진로 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등 4년제 대학교 5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22일까지 3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49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은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성별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자기 명료화와 진로주의집중 및 실천, 진로탄력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제적 수준에 따라 진로정서조절의 직업 환경 불확실성 감소, 자기명료화, 긍정심리증진, 진로 미래의 부정적 진로전망, 일과 삶 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 진로탄력성, 진로미래의 상관관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하위변인 간에도 전반적으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지만, 나머지 요인들과 회피와 부정적 진로전망 변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은 진로미래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생의 진로정서조절과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진로정서 조절이 진로미래를 높이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고, 대학생들의 긍정적 진로미래를 위한 정서조절능력과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로교육과 상담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on CFI-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530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yonggi and Chungnam, from June 18 to June 22, 2018 and finally 494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larity, the concentration and practice of career emotional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standard, the decrease in the uncertainty of job environment, self-clarity, improving positive psychology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the negative career outlook, the work and life balances of CFI-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nd CFI-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There was a general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but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maining factors and the avoidance and negative career outlook variables was negative. Third,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FI-R. Fourth, the career resilience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We confirmed that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a predictor to increase the CFI-R,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resilience for the positive CFI-R of university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on CFI-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on CFI-R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530 students at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yonggi and Chungnam, from June 18 to June 22, 2018 and finally 494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larity, the concentration and practice of career emotional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gend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economic standard, the decrease in the uncertainty of job environment, self-clarity, improving positive psychology of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the negative career outlook, the work and life balances of CFI-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areer emotion regulation, career resilience and CFI-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in all variables. There was a general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but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maining factors and the avoidance and negative career outlook variables was negative. Third,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FI-R. Fourth, the career resilience prove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career emotion regulation and CFI-R of university students. We confirmed that the career emotion regul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s a predictor to increase the CFI-R,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to improve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resilience for the positive CFI-R of university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명주, "한국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정서 조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2 강현희, "폴리텍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59-78, 2015

      3 이선경,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85-609, 2017

      4 유현실,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성인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 한국상담학회 14 (14): 423-439, 2013

      5 김진희, "진로정체성, 진로통찰력과 진로탄력성이 대학생의 취업 의지에 미치는 효과" 10 (10): 47-56, 2015

      6 공윤정,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정서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연구소 15 (15): 27-43, 2014

      7 Matthews, G.,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 학지사 2010

      8 박용두,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041-1056, 2007

      9 염태영, "전문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10 김미경, "전문대학생 진로탄력성 척도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1 양명주, "한국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정서 조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2 강현희, "폴리텍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59-78, 2015

      3 이선경,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 향상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교육적 함의와 실천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585-609, 2017

      4 유현실, "진로탄력성 개념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성인 진로상담에 대한 시사점" 한국상담학회 14 (14): 423-439, 2013

      5 김진희, "진로정체성, 진로통찰력과 진로탄력성이 대학생의 취업 의지에 미치는 효과" 10 (10): 47-56, 2015

      6 공윤정, "진로의사결정 과정에서 정서의 역할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연구소 15 (15): 27-43, 2014

      7 Matthews, G., "정서지능: 그 오해와 진실" 학지사 2010

      8 박용두, "정서지능, 지각된 진로장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모형 검증"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1041-1056, 2007

      9 염태영, "전문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10 김미경, "전문대학생 진로탄력성 척도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11 조현경, "재취업구직자의 진로장벽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탄력성을 매개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12 최현주, "여대생이 지각한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통찰력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탄력성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1-25, 2017

      13 임윤서, "여대생의 자기성찰에서 드러난 ‘여성으로서 일'의 의미 탐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21 (21): 195-228, 2016

      14 안윤정, "여대생의 공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서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분석" 한국창의력교육학회 18 (18): 25-50, 2018

      15 우영지, "성별에 따른 진로포부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547-559, 2010

      16 유수복, "성별과 가정 경제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7) : 253-273, 2017

      17 조성연, "성과 경제적 수준에 따른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적응성의 차이 및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4 (24): 59-76, 2011

      18 이나경, "삶의 의미가 대학생의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371-399, 2016

      19 이정선, "사회적 지지, 자존감, 진로포부, 진로미래 간의 모형 검증: P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143-164, 2013

      20 김은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6

      21 임윤서,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진로동기 간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24 (24): 241-264, 2018

      22 허강석,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3 김민정,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자기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29 (29): 89-107, 2016

      24 장이슬,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5

      25 김경은,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심리내적 특성 차이: 완벽주의, 정서조절 전략을 중심으로"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7 (37): 21-40, 2016

      26 최옥현, "대학생의 진로낙관성과 진로적응성:Career Futures Inventory(CFI)의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7 (7): 821-833, 2006

      27 안윤정, "대학생의 직업정체성 단계에 따른 정서지능과 진로미래 관계 연구: D대학교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17-40, 2015

      28 김종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진로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5 (15): 279-300, 2014

      29 이유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30 고미숙,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과 회복탄력성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의 차이" 인지발달중재학회 7 (7): 69-86, 2016

      31 권해수,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성격5요인, 역기능적 진로사고, 정서지능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5 (35): 45-64, 2014

      32 장진이,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 정서조절 어려움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17 (17): 121-138, 2016

      33 김민정, "대학생의 미래지향목표와 진로자기조절간의 관계에서 과제도구성지각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1 (31): 51-68, 2018

      34 유기은,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관여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적응성과 통제력 착각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28 (28): 65-86, 2015

      35 이순희, "대학생의 낙관성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2525-2544, 2013

      36 김은선, "대학생의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취업진로학회 8 (8): 115-136, 2018

      37 임희정, "대학생들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스트레스와 진로탄력성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8

      38 김미란, "대학생들은 부모의 사회계층에 따라 어떻게 다른 대학생활을 경험하고 있는가?: 서울의 한 여자대학교 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25-65, 2014

      39 김민정, "대학생 진로자기조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상담학회 15 (15): 2311-2325, 2014

      40 황인숙, "기독 대학생의 영적 성숙도가 진로미래에 미치는 영향-사회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순차 매개효과" 한국성서대학교 대학원 2015

      41 김애심, "경력단절여성의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 능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42 Kalliath, T., "Work-life balance : A review of the meaning of the balance construct" 14 (14): 323-327, 2008

      43 Brough, P., "Work-family balance : Theoretical and empirical advancements" 30 : 581-585, 2009

      44 Myers, D. R., "Work life stress and career resilience of licensed nursing facility administrators" 37 (37): 435-463, 2018

      45 Kao, K. -Y., "Who should serve as my mentor? The effects of mentor’s gender and supervisory status on resilience in mentoring relationships" 85 : 191-203, 2014

      46 London, M.,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8 (8): 620-630, 1983

      47 Gu, Q., "The role of relational resilience in teachers’ career-long commitment and effectiveness" 20 (20): 502-529, 2014

      48 Brown, C., "The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career commitment and decision-making process" 11 (11): 379-392, 2003

      49 Day, R.,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ith protege career success" 64 (64): 72-91, 2004

      50 Li, M.,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coping and trait resilience across U. S. and Taiwanese college student samples" 15 (15): 157-171, 2012

      5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52 Deci, E. L., "The general causality orientations scale : Self-determination in personality" 19 (19): 109-134, 1985

      53 Gross, J. J.,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 an Integrative review" 2 (2): 271-299, 1998

      54 Rottinghaus, P. J., "The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 Measuring Dimensions of career adaptability" 20 (20): 123-139, 2012

      55 Rottinghaus, P. J.,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 A measure of career-related adaptability and optimism" 13 (13): 3-24, 2005

      56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Prentice Hall 1986

      57 Lyons, S. T., "Resilience in the modern career" 20 (20): 363-383, 2015

      58 McCann, C. M., "Resilience in the Health Professions : A review of recent literature" 3 (3): 60-81, 2013

      59 London, M.,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empowerment, support for career development" 66 (66): 55-69, 1993

      60 Gaensbauer, T. J., "Regul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in infants from two contrasting care taking environments" 21 (21): 163-170, 1982

      61 Hodges, H. F., "Professional resilience in baccalaureate prepared acute care nurses : First steps" 29 (29): 80-89, 2008

      62 Papatraianou, L. H., "Problematising the role of personal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s in early career teacher resilience" 39 (39): 100-116, 2014

      63 Green, S. G., "Partner reactions to work-to-family conflict : Cognitive appraisal and indirect crossover in couples" 37 (37): 744-769, 2011

      64 Richardson, M. S., "New perspectives for counseling psychologists" 29 (29): 273-278, 2001

      65 Ford, M. E., "Motivating humans: Goals, emotion, and personal agency beliefs" Sage 1992

      66 Rottinghaus, P. J., "Measuring change in career counselling : Validation of the Career Futures Inventory-Revised" 17 (17): 61-75, 2017

      67 Heppner, M. J.,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Routledge 2013

      68 Gross, "Handbook of emotion regulation" Guliford Press 2007

      69 Burton, N. W.,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psychosocial resilience training: A pilot study of the READY program" 15 (15): 266-277, 2010

      70 Fugate, M., "Encyclopedia of Career Development" Sage 2006

      71 Scheier, M. F.,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67 (67): 1063-1078, 1994

      72 Schreuder, A. M. G., "Careers: an Organisational Perspective" Juta 2011

      73 London, M., "Career management and survival in the workplace" Jossey-Bass 1987

      74 Super, D. E., "Career development n adulthood : some theoretical problems" 9 (9): 194-201, 1981

      75 Hirschi, A, "Career adaptabil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 Multiple predictors and effect on sense of power and life satisfaction" 74 (74): 145-155, 2009

      76 Savickas, M. L., "Career adaptability : An integrative construct for life-space theory" 45 (45): 247-259, 1997

      77 Chiaburu, D. S., "Beyond being proactive: What (else) matters for career self-management behaviors?" 11 (11): 619-632, 2006

      78 Li, M., "Between Avoidance and Problem Solving : Resilience,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Seeking" 96 (96): 132-143, 2018

      79 Hartung, P. J., "Barrier or benefit? emotion in life-career design" 19 (19): 296-305, 2011

      80 Carver, C. S., "Attention and self-regulation: A control-theory approach to human behavior" Springer-Verlag 1981

      81 Noe, R. A., "An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es of career motivation" 37 (37): 340-356, 1990

      82 Mcllveen, P., "A short form of the career futures Inventory" 21 (21): 127-138, 2013

      83 Fugate, M., "A dispositional approach to employability : Development of a measure and test of implications for employee reactions to organisational change" 81 (81): 503-527, 2008

      84 이지연,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청소년 진로교육의 방향" 65-96, 2017

      85 안윤정,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학생 인식과 진로교육의 방향모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29-351, 2017

      86 유현실, "4차 산업혁명과 진로상담" 53 : 57-6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