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간을 정량적으로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공간구조를 분석하여 대학캠퍼스의 본질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학캠퍼스 구성중인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보행 통행량을 측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486109
광주 :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2011
한국어
690 판사항(22)
광주
Analysis on pedestrian space system of University using Space syntax
vi, 65 p. : 삽도 ; 30 cm.
전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유우상
참고문헌 : p.62-6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공간을 정량적으로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공간구조를 분석하여 대학캠퍼스의 본질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학캠퍼스 구성중인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보행 통행량을 측정...
본 연구는 공간을 정량적으로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공간구조를 분석하여 대학캠퍼스의 본질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학캠퍼스 구성중인 편의시설을 중심으로 보행 통행량을 측정하여 공간구문론의 정략적인 분석을 실제 보행량으로 검증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남대학교의 공간구조 및 보행공간체계를 분석하고 대학공간배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미래의 대학캠퍼스 계획에 유용한 자료로 제공하려고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