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주민들의 삶의 만족에 대한 영향요인 결합조건 탐색: 의사결정 나무분석 (decision tree analysis)의 적용 = Analysing multiple combinations of the conditions affecting local residents’ life satisfaction: Application of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238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27개 시군구 지역 주민 2,7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들의 결합조건을 의사결정나무 분석 모형으로 분석해 보고, 주...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27개 시군구 지역 주민 2,7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요인들의 결합조건을 의사결정나무 분석 모형으로 분석해 보고, 주민들의 삶의 만족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적 차원에서 볼 때, 끝마디로 조건들이 결정되는 삶의 만족 영향요인들의 조합은 모두 25개이며 가장 중요한 영향변수는 인구이고, 재정자립도 등 다양한 조건들의 결합들이 주민들의 삶의 만족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다양하게 결합되는 조건들에 대한 차별적 정책 조합을 통하여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실질적으로 주민들의 만족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대도시는 16개 노드, 중소도시는 14개 노드, 그리고 농촌군의 경우에도 14개 노드로 구분되어 지역유형별로 주민들을 노드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류하고 이 분류에 맞게 차등적 삶의 만족 수준 제고 정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하여 주민들의 삶의 만족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차등적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at identifying multiple combinations of the factors affecting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daily lives in their local area by using decision-tree analysis method, to examine which domain of the factors affects their lif...

      This article aims at identifying multiple combinations of the factors affecting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daily lives in their local area by using decision-tree analysis method, to examine which domain of the factors affects their life satisfaction most, and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underlying the more satisfied groups and the less satisfied groups.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utilizes decision tree analysis method which has seldom been used in the field of happiness studi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discovered that the total number of significant nodes explaining residents’ life satisfaction at national level is 25,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life satisfaction is population size of local government through which local residents are served. Second, it is also found that metropolitan cities,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rural ares are classified into 16 nodes, 14 nodes and 14 nodes, respectively. This paper puts forward policy implications for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o be able to reflect the research results into their policy proces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출, "커뮤니티 웰빙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의 인과적 관계" 한국비교정부학회 19 (19): 71-91, 2015

      2 김옥숙, "청소년의 희망적 사고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지혜, "청소년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분석: 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8 (18): 67-84, 2014

      4 노영숙, "지역사회에 기반한 사회적기업의 딜레마: 충북을 사례로" 국제개발연구소 8 (8): 27-52, 2018

      5 최영출, "지방분권과 국가경쟁력 및 국민행복도와의 인과관계 분석 : 정책시뮬레이션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1-30, 2016

      6 이지희, "저소득층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21 (21): 85-109, 2017

      7 임은정,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한 한국 중고령자의 점진적 은퇴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8 (8): 167-193, 2015

      8 배정수,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결정요인 우선순위 탐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9 손지은, "의사결정나무 모델에서의 중요 룰 선택기법" 2013

      10 구혜경, "소비자의 자기결정성이 윤리적 소비행동과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 국제개발연구소 8 (8): 113-142, 2018

      1 최영출, "커뮤니티 웰빙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의 인과적 관계" 한국비교정부학회 19 (19): 71-91, 2015

      2 김옥숙, "청소년의 희망적 사고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1

      3 이지혜, "청소년의 행복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분석: OECD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18 (18): 67-84, 2014

      4 노영숙, "지역사회에 기반한 사회적기업의 딜레마: 충북을 사례로" 국제개발연구소 8 (8): 27-52, 2018

      5 최영출, "지방분권과 국가경쟁력 및 국민행복도와의 인과관계 분석 : 정책시뮬레이션의 적용"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1-30, 2016

      6 이지희, "저소득층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회 21 (21): 85-109, 2017

      7 임은정,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한 한국 중고령자의 점진적 은퇴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한국FP학회 8 (8): 167-193, 2015

      8 배정수, "의사결정나무 분석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결정요인 우선순위 탐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9 손지은, "의사결정나무 모델에서의 중요 룰 선택기법" 2013

      10 구혜경, "소비자의 자기결정성이 윤리적 소비행동과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 국제개발연구소 8 (8): 113-142, 2018

      11 임희섭, "삶의 질의 개념적 연구" 1 : 49-60, 1996

      12 강현철, "빅데이타분석을 위한 데이터마이닝 방법론" 자유아카데미 2006

      13 박순주, "만성 폐쇄성 폐질환자의 삶의 질 설명모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4 최영출, "득수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 이항로짓분석의 활용" 한국자치행정학회 32 (32): 1-18, 2018

      15 허명회, "데이터마이닝 모델링과 사례" 한나래 2008

      16 고재욱,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삶의 만족도와 정책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31 (31): 1209-1228, 2011

      17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87-95, 2000

      18 장지현, "교육경쟁력 강화를 위한 피이드백 루프 탐색과 정책시뮬레이션" 국제개발연구소 7 (7): 109-144, 2017

      19 김철주,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강화방안" 2 (2): 41-80, 2013

      20 이희연, "고급통계분석론" 문우사 2017

      21 Easterlin, R. A, "Will raising the incomes of all increase the happiness of all?" 27 (27): 35-47, 1995

      22 "Why Nobel Prize Winner Daniel Kahneman Gave Up on Happiness"

      23 McNutt, M. K, "The superswell and mantle dynamics beneath the South Pacific" 248 (248): 969-975, 1990

      24 Ryff, C,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69 (69): 719-727, 1995

      25 Kahneman, D, "The science of wellbe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6 Ehrhardt, J. J, "Stability of life-satisfaction over time" 1 (1): 177-205, 2000

      27 Moksnes, U,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Gender and agea s potential moderators" 22 : 2921-2928, 2013

      28 김순귀, "SPSS를 이용한 로지스틱 회귀모형의 이해와 응용" 한나래 아카데미 2012

      29 허명회, "SPSS Statistics 분류분석" 데이터솔류션 2013

      30 Magee, C. A, "Personality trait change and life satisfaction in adults : The roles of age and hedonic balance" 55 (55): 694-698, 2013

      31 Guttman, L, "On the definition and varieties of attitude and wellbeing" 10 (10): 159-174, 1982

      32 Jankowski, K, "Morningness/Evening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inn a Polish Sample" 29 : 780-785, 2012

      33 Diaz-Morales, J, "Morningness and life satisfaction; further evidence from Spain" 30 : 1283-1285, 2013

      34 Sastre, M, "Lay conceptions of wellbeing and rules used in wellbeing judgement among younr,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46 : 137-155, 1999

      35 Wolfers, J, "Is business cycle volatility costly? Evidence from surveys of subjective well‐being" 6 (6): 1-26, 2003

      36 Bailey, T, "Hope and optimism as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2 (2): 168-169, 2007

      37 Deci, E, "Hedonia, eudaimonia, and wellbeing: an introduction" 9 (9): 1-11, 2006

      38 Etzioni, A, "Happiness is the Wrong Metric" Springer 3-40, 2018

      39 Anand, P., "Happiness Explained"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40 McMahon, D, "From the happiness of virtue to the virtue of happiness: 400 B.C.-A.D" 133 (133): 5-17, 2004

      41 Naci, H, "Evaluation of wellness determinants and interventions by citizen scientists" 314 (314): 121-122, 2015

      42 김희진, "E-MINER와 CLEMENTINE을 이용한 의사결정나무 사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3 Diener, E,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MIT Press 2000

      44 Lachmann, B, "Contributing to overall life satisfaction: personality traits versus life satisfaction variables revisited—Is replication impossible" 8 (8): 1-, 2018

      45 Michalos, A. C, "Ancient observations on business ethics : Middle East meets West" 79 (79): 19-,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4-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1 1.03 1.0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