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 간 관계 : 한-일 비교연구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lay memories, perception, and operation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outdoor pla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393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의 일반적 경향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바깥놀이 실행을 활성...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바깥놀이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국가 간 비교를 통해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수준의 일반적 경향성과 차이를 분석하고, 바깥놀이 실행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내재적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한국 유아교사 240명, 일본 유아교사 245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및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식을 통한 검증을 적용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 방해요인, 실행 수준의 한-일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한-일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인식, 실행 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어린시절 놀이경험과 실행 간 관계에서 한국과 일본 모두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의 완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어린시절 놀이경험, 인식, 실행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한 국가 간 차이점의 확인,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이 바깥놀이 실행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력 및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이 실행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맥락의 유사성과 연구결과에 따른 차이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활성화 방안에 대한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tendency and the level of play memories,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on outdoor play, and to identi...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general tendency and the level of play memories,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on outdoor play, and to identify the intrinsic variables to activate the execution of outdoor pla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0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245 Japanes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eliability analy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program,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memories of outdoor play, obstacles and operating level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perception and oper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Korea and Japa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mories of outdoor play and operation, both Korea and Japan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Conclusions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childhood outdoor play memories, perceptions, and operations of Korean and Japanese childhood teachers and confirmed that indirect influence on outdoor play and awareness of outdoor play are key facto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milarities in the social contexts of Korea and Japan an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were examined, and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outdoor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were discus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주, "흙땅에서 맨발로 노는 아이들" 학지사 2015

      2 이유미, "해외의 영유아보육_일본편" ㈜에듀넷 2018

      3 임형민 ; 박주연, "한류 콘텐츠인 드라마 시청 동기와 문화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중국과 일본 대학생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7 (27): 371-395, 2011

      4 임고은, "한국과 일본의 일⋅가정 양립 정책의 비교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5 임승희 ; 이유미,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99-1423, 2020

      6 이하정,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놀이경험의 인식 탐색" 인문사회 21 12 (12): 2687-2700, 2021

      7 김욱, "탈물질주의와 민주주의 : 한국과 일본의 정치문화 변동 비교" 5 (5): 89-124, 2006

      8 정은숙, "자연친화적 바깥놀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5

      9 이하정, "일본 보육기관 바깥놀이터의 교육적 특징- 가나가와현, 오오이타현, 사이타마현 보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141-165, 2018

      10 이성희,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는 어릴 적 놀이경험과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 김은주, "흙땅에서 맨발로 노는 아이들" 학지사 2015

      2 이유미, "해외의 영유아보육_일본편" ㈜에듀넷 2018

      3 임형민 ; 박주연, "한류 콘텐츠인 드라마 시청 동기와 문화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중국과 일본 대학생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7 (27): 371-395, 2011

      4 임고은, "한국과 일본의 일⋅가정 양립 정책의 비교분석"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5 임승희 ; 이유미, "한국과 일본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및 어린시절 바깥놀이 경험 비교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399-1423, 2020

      6 이하정,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어린 시절 놀이경험의 인식 탐색" 인문사회 21 12 (12): 2687-2700, 2021

      7 김욱, "탈물질주의와 민주주의 : 한국과 일본의 정치문화 변동 비교" 5 (5): 89-124, 2006

      8 정은숙, "자연친화적 바깥놀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5

      9 이하정, "일본 보육기관 바깥놀이터의 교육적 특징- 가나가와현, 오오이타현, 사이타마현 보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7 (17): 141-165, 2018

      10 이성희, "유치원 교사가 기억하는 어릴 적 놀이경험과 놀이에 대한 교육신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1 황해익,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체화주의 인지과학적 해석" 513-529, 2019

      12 이선애, "유아의 바깥놀이 활성화에 대한 연구 -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153-171, 2019

      13 박재영, "유아의 놀 권리에 관한 어머니의 인식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놀이참여태도의 매개효과" 213-220, 2021

      14 권선영 ; 정지현 ; 박선미, "유아와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육기관 바깥놀이 공간의 의미 탐색"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85-94, 2017

      15 박영애 ; 김리진, "유아기 및 아동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관련 인식 기초조사" 한국놀이치료학회 14 (14): 37-56, 2011

      16 곽희연 ; 전유영, "유아교사가 인식한 바깥놀이 운영의 장애요인과 교사의 역할 및 영역별 활동 운영 수준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7 (17): 321-349, 2018

      17 차유미 ; 이진희, "유아 바깥놀이에 대한 어머니들의 관점" 한국육아지원학회 10 (10): 85-108, 2015

      18 김지혜, "예비유아교사의 자연친화적 바깥놀이 경험에 대한 고찰" 인문사회 21 10 (10): 809-824, 2019

      19 김은주 ; 김정미, "예비유아교사의 어릴 적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바깥놀이 경험에 대한 인식 연구: 그림그리기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103-124, 2020

      20 박선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성, 그릿 간의 관계 분석"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9 (9): 41-49, 2021

      21 현정희 ; 김정원, "예비유아교사의 놀이경험과 놀이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93-113, 2008

      22 정희정,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놀이 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177-195, 2020

      23 강민숙, "어릴적 기억에 의한 투사적 하늘 표현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24 김경수 ; 지옥정, "어린이집 부모와 교사의 미세먼지 관련 지식 정도 및 미세먼지 발생 시 유아실외활동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8 (18): 21-46, 2019

      25 김명순, "아동의 놀이할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2018 (2018): 57-75, 2018

      26 박진이 ; 이정욱, "수업맥락에서 나타나는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가 가지는 유초연계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2 (22): 35-60, 2018

      27 임홍남 ; 김은주, "성인이 기억하는 ‘유년기 가장 즐겁게 논 경험’ 탐색: 유아교육기관 재원 경험이 있는 성인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237-262, 2018

      28 김우영 ; 정혜영, "바깥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789-817, 2020

      29 최은설 ; 정정희 ; 정효진, "바깥놀이를 통한 유아수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1-28, 2019

      30 정은정, "바깥놀이 시간을 활용한 친자연활동이 유아의 놀이성과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31 조현진, "누리과정에 근거한 바깥놀이에 관한 어린이집 학부모의 인식" 3 (3): 1-22, 2018

      32 장정윤, "그림그리기를 통해 살펴본 예비유아교사들의 어릴 적 재미있었던 놀이경험에 대한 이미지" 한국육아지원학회 13 (13): 51-78, 2018

      33 김현경 ; 박희숙, "교사의 어릴 적 놀이경험이 놀이신념 및 놀이교수효능감,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177-194, 2015

      34 清水陽子, "韓国の 「標準保育課程」 と保育実践に関する一考察" 28 (28): 65-72, 2019

      35 元森絵里子, "遊び⋅子どもの自由⋅住民参加 : プレーパークをめぐる社会編制の現在" 51 : 131-144, 2021

      36 田中一徳, "自然を活かした園庭における遊びに関する安全教育の検討―保育者養成校における実践事例―" 38 : 1-18, 2021

      37 環境省, "紫外線環境保健マニュアル 2008 環境" 省環境保健部環境安全課 2008

      38 荻原ひろみ, "約 2 か月半の臨時休園後に段階的に再開した保育について: 山梨大学教育学部附属幼稚園の場合" 2020

      39 小山祥子,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による休園中の園対応と園児の生活" 2021

      40 赤木敏之, "幼稚園の外遊びの実態と幼稚園教諭の外遊びの意識" 38 : 1-9, 2010

      41 林修, "幼稚園の 「自由保育」 が有する教育学的意義に関する一考察: 倉橋惣三の 「根の教育」 を手がかりとして" Wakayama University 69 : 83-90, 2019

      42 河野泰治, "居住地における公園整備と子どもの外遊び空間との関連" 385 : 33-41, 1988

      43 森川みゆき, "子どもたちの身近な遊び場を考える(その 4)プレイパークに関わる人材の実態から" The bulletin of Yashima Gakuen University 10 : 15-24, 2014

      44 中西紀夫, "公害罪法事件でみる環境刑法の動向" 10 (10): 33-47, 2011

      45 早坂聡子, "保育者支援の必要性について―求められる専門性と感情的実践に着目して―" 17 : 245-254, 2021

      46 厚生労働省, "保育所保育指針(平成29年⚓月31日告示)"

      47 宮崎由美子, "プレーパーク活動から捉えた都市公園の活性化に関する研究" 69 (69): 665-670, 2006

      48 澤聡美, "「幼稚園教育要領」, 「保育所保育指針」, 「幼保連携型認定こども園教育⋅保育要領」 健康領域に関する幼児の健康生活調査尺度の作成" 6 (6): 91-100, 2021

      49 장영인, "‘국가책임보육’에 대한 일고: 일본 보육정책을 통해 본 국가의 책임과 역할"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17) : 93-126, 2019

      50 Yogman, M., "The power of play : A pediatric role in enhancing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142 (142): 1-16, 2018

      5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52 이은정 ; 김경란 ; 오재연, "STEAM 기반 바깥놀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유아의 과학적 탐구, 창의적 신체표현,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289-316, 2019

      53 de Lannoy, L., "Regional differences in access to the outdoors and outdoor play of Canadian children and youth during the COVID-19 outbreak" 111 (111): 988-994, 2020

      54 Lester, S., "Play for a change : Play, policy and practice : A review of contemporary perspectives" National Children's Bureau 2008

      55 Sandberg, A., "Play Memories and Place Identity" 173 (173): 207-221, 2003

      56 Piccininni, C., "Outdoor play and nature connectedness as potential correlates of internalized mental health symptoms among Canadian adolescents" 112 : 168-175, 2018

      57 Burriss, K., "Outdoor play and learning : Policy and practice" 6 (6): 1-12, 2011

      58 McClintic, S.,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bout preschool outdoor play : A qualitative study" 36 (36): 24-43, 2015

      59 Ernst, J., "Early childhood educators’ use of natural outdoor settings as learning environments : an exploratory study of beliefs, practices, and barriers" 20 (20): 735-752, 2014

      60 Rojo-Ramos, J.,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outdoor learning activities in the spanish region of extremadura" 13 (13): 8986-, 2021

      61 Hunter, J., "Balancing Outdoor Learning and Play : Adult Perspectives of Teacher Roles and Practice in an Outdoor Classroom" 7 (7): 34-50, 2020

      62 Izumi-Taylor, S., "American and Japanese kindergartners’ views of play through the use of photo elicitation interviews (PEIs)" 11 (11): 322-333, 2016

      63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64 보건복지부, "2021 어린이집 평가매뉴얼"

      65 육아정책연구소, "2019 영유아 주요 통계"

      66 신수진 ; 박지희,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우려와 기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479-504, 2021

      67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