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자의 연구과정을 가시화한 학습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지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arning Program Visualizing the Scientists' Research Process on the Career Orientation of 10th Grad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8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programs visualizing the scientists’ research process on the career orientation of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After our developing the learning program reflected each research type such as the problem-solving type, the modeling type, and the idea-creative typ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0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not decided their future career. Before starting this program, students took science career orientation questionnaire. After ending this program, we investigated science career orientation questionnaire again and conducted the descriptive questionnaires for the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this program got affirmative effect on students' career choices. To the science career-oriented students, this program made their career-orientation be more solid. Also it made some of the non-science career-oriented students change the career-orientation to the science and some of them had in mind to change their orientation to the science career. Like this, this program played no small part in the non-science career -orientated students. Therefore it means that the program could be applicable in the science career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programs visualizing the scientists’ research process on the career orientation of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After our developing the learning program reflected each 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programs visualizing the scientists’ research process on the career orientation of 10th grade high school students. After our developing the learning program reflected each research type such as the problem-solving type, the modeling type, and the idea-creative type, this program was applied to 30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not decided their future career. Before starting this program, students took science career orientation questionnaire. After ending this program, we investigated science career orientation questionnaire again and conducted the descriptive questionnaires for the program. The result shows that this program got affirmative effect on students' career choices. To the science career-oriented students, this program made their career-orientation be more solid. Also it made some of the non-science career-oriented students change the career-orientation to the science and some of them had in mind to change their orientation to the science career. Like this, this program played no small part in the non-science career -orientated students. Therefore it means that the program could be applicable in the science care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이 가시화된 학습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자의 연구형태 중 문제해결형, 모델제시형, 아이디어산출형의 연구과정을 적용하여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을 아직 진로가 확정적이지 않은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30명에게 적용하였다. 사전사후에 진로지향을 조사하였고, 프로그램이 진로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게 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고, 진로지향의 변화에 따른 분석에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진로를 더 확고하게 하는 등 이미 과학진로지향인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 중 일부는 프로그램의 적용 후에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었고, 일부는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등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도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이 가시화된 학습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자의 연구형태 중 문제해결형, 모델제시형, ...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연구과정이 가시화된 학습 프로그램이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자의 연구형태 중 문제해결형, 모델제시형, 아이디어산출형의 연구과정을 적용하여 개발된 학습 프로그램을 아직 진로가 확정적이지 않은 일반계 고등학교 1학년 30명에게 적용하였다. 사전사후에 진로지향을 조사하였고, 프로그램이 진로에 미친 영향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게 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고, 진로지향의 변화에 따른 분석에서 본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진로를 더 확고하게 하는 등 이미 과학진로지향인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 중 일부는 프로그램의 적용 후에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었고, 일부는 과학관련 분야로 진로를 바꾸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등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지향이 아닌 학생들에게 미친 영향도 적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과학진로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진, "학생들의 과학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572-585, 2007

      2 홍경애, "진로지도를 위한 이공계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세대학교대학원 2005

      3 이화영, "진로 관련 학습내용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직업인식과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성자, "중학교 과학교육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5 전주영,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및 진로교육을 반영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중학교 '과학3'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6 손은정,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7 (7): 113-123, 2003

      7 양미경, "제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3 (33): 338-349, 2005

      8 양미경,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및 중학교 2학년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9 진미석, "재학생 희망직업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10 서혜애, "신나는 과학 놀이 마당 평가 연구" 21 (21): 473-486, 2001

      1 윤진, "학생들의 과학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572-585, 2007

      2 홍경애, "진로지도를 위한 이공계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세대학교대학원 2005

      3 이화영, "진로 관련 학습내용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직업인식과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4 김성자, "중학교 과학교육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5 전주영,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포함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및 진로교육을 반영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중학교 '과학3'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6 손은정, "중등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7 (7): 113-123, 2003

      7 양미경, "제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관련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 33 (33): 338-349, 2005

      8 양미경,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진로교육 내용 분석 및 중학교 2학년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9 진미석, "재학생 희망직업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2

      10 서혜애, "신나는 과학 놀이 마당 평가 연구" 21 (21): 473-486, 2001

      11 강성주, "문제해결형 탐구 모듈 적용에서의 SWH 활용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537-545, 2006

      12 임희영, "문제해결형 일반화학 실험에서 나타나는 대학생의 반응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 29 (29): 193-202, 2009

      13 하지희, "모델링 활동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한국영재학회 19 (19): 187-205, 2009

      14 김영수, "교사용 지도자료 과학기술계의 진로지도" 교육부 1994

      15 권용주, "과학지식의 생성과 평가" 메이드 2008

      16 신호심, "과학자의 연구과정이 가시화된 표면성장에 관한 탐구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물리학회 58 (58): 530-539, 2009

      17 김종득, "과학영재학교 R&E 사업 결과보고서"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2005

      18 전화명, "과학기술자와의 인터뷰가 과학 진로 지향 및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350-360, 2008

      19 한국과학문화재단, "과학기술자가 만드는 미래, 지금이 기회다" 교학사 2002

      20 조선영, "과학교과를 통한 진로교육이 중학생의 진로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3

      21 윤진,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의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2 권난주,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변화를 위한 초등학교 과학 체험활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교육과학연구소 37 (37): 239-264, 2006

      23 모혜정, "과학 학습 배경의 성차 분석에 근거한 여학생 친화적 과학 수업 전략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9

      24 윤진, "과학 진로와 관련된 초중등 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675-690, 2006

      25 김현정,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영향을 주는 과학 영재 캠프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268-278, 2006

      26 이선길, "고등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 연구(R&E) 프로젝트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27 Lawson, A. E., "What does Galileo‘s discovery of Jupiter's moons tell us about the process of scientific discovery?" 11 (11): 1-24, 2002

      28 Kvale, S., "Validity in the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 methods" 1 (1): 37-72, 1987

      29 Choi, W., "The enhancement of science instruction through science fairs in Korea" Korea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03

      30 Jacobs, J. E., "The career plans of science-talented rural adolescent girls" 35 (35): 681-704, 1998

      31 Keynes, R. D., "Steps on the path to the origin of species" 187 : 461-471, 1997

      32 Sax, L. J., "Retaining tomorrow's scientist: Exploring the factors that keep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terested in science carriers" 1 (1): 45-61, 1994

      33 김경대,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8 (28): 282-290, 2008

      34 Wickwire, P. N., "Paper presented at the world congress commemoration of the 50th anniversary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educational and vocational guidance. AACE distinguished Member Series in Career Education. A Perspective on Career Education in U.S.A."

      35 Dunbar, K., "How scientists think in the real world: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21 (21): 49-58, 2000

      36 교육부, "2007 개정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07

      37 박현아, "10학년 과학 교수-학습을 통한 진로교육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3 1.544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