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요는 어린이들의 노래로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 삶이 어린이들의 사고와 감정에 알맞게 만든 시에 선율을 붙여 만든 노래이다. 동요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도 공감하며 애창된다. 동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244915
문선아 (건국대)
2019
Korean
한국 창작 동요 ; 1920년대 ; 1930년대 ; 목일신 ; Korean Creation Children Song ; 1920s ; 1930s ; Mok Il-shin
KCI등재
학술저널
123-138(1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동요는 어린이들의 노래로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 삶이 어린이들의 사고와 감정에 알맞게 만든 시에 선율을 붙여 만든 노래이다. 동요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도 공감하며 애창된다. 동요...
동요는 어린이들의 노래로 어린이들의 꿈과 희망, 삶이 어린이들의 사고와 감정에 알맞게 만든 시에 선율을 붙여 만든 노래이다. 동요는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도 공감하며 애창된다. 동요는 각 나라의 언어와 음악, 문화가 결합되는 민족음악이다. 한국 동요도 한글의 시에 작곡가들이 곡을 만들어내는 우리의 고유한 민족 문화가 담긴 음악으로 우리 민족의 삶과 시대적 정서가 잘 반영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동요 중에서 창작 동요에 대해 알아보았다. 창작 동요의 시작인 1920년대와 전환기를 맞아 근대적 동요의 형태로 자리 잡는 1930년대의 흐름에 대해 살펴보았다.
1920년대와 1930년에 활동한 주요 작곡가와 주옥같은 동요가사를 쓴 인물들 중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애창이 되고 있는 <자전거>라는 곡의 가사를 쓴 목일신에 대해 알아보았다. <자전거>는 우리나라 국민이라면 남녀노소 불문하고 대부분이 알고 있는 동요이다. 그러나 이 동요의 유명함과 달리 목일신이라는 이름은 생소함을 준다. 목일신은 많은 동요의 가사를 썼고 아동문학사에서도 빠질 수 없는 인물이지만 그의 삶과 작품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목일신의 생애 중 창작동요와 관련해 주요한 시기라 사료되는 1920년대와 30년대 젊은 시절의 삶을 알아보고 그의 삶에 동요가 깊게 자리 잡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되새겨 보았다. 또한 그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1920년과 1930년대에 만들어졌다. 목일신의 창작 동요 작품에 대해 알아보고 그가 얼마나 한국 창작 동요와 관련하여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이정석, "찌르릉! 목일신(睦一信) 동요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20) : 101-132, 2011
4 정진헌, "일제 강점기 한국 창작동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5 강일아, "우리나라 동요의 시대흐름에 따른 특징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문화콘텐츠닷컴"
7 이동순, "목일신 전집" 소명출판사 2013
8 이동순, "목일신 동요집" 소명출판사 2013
9 정다운, "목일신 동시의 혁명적 이미지 고찰"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6 : 2014
10 황수대, "목일신 동시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23) : 315-351, 2012
1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이정석, "찌르릉! 목일신(睦一信) 동요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20) : 101-132, 2011
4 정진헌, "일제 강점기 한국 창작동요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5 강일아, "우리나라 동요의 시대흐름에 따른 특징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6 "문화콘텐츠닷컴"
7 이동순, "목일신 전집" 소명출판사 2013
8 이동순, "목일신 동요집" 소명출판사 2013
9 정다운, "목일신 동시의 혁명적 이미지 고찰"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6 : 2014
10 황수대, "목일신 동시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23) : 315-351, 2012
11 이동순, "동요작가 목일신의 문학적 생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7 (17): 117-140, 2013
12 박영기, "동요에 바친 한 인생, 정순철 연구" 한국아동문학학회 (19) : 39-68, 2010
13 신문, "동아일보"
14 민경찬, "동아시아와 서양음악의 수용" 음악세계 2008
『회남자』를 통해 살펴 본 ‘의상(意象)’의 단계적 생성 과정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비례도>와 퇴계 이황의 <천명도>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8 | 0.28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29 | 0.613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