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사들의 교직관 탐색 : 교직관의 다중성과 직장관의 보편화 = A study on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of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0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and to find implications of them. To accomplish this goal,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conduct interview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 second, conflicts in the ideal, right and reality, third, recognition of narrow professionalism, and fourth,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as one of many job.
      Teachers'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have multiplicity. Among them, 'the view of technical job' has narrowness in general, and finally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as a Workplace' is spread widel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versity of the views of teaching profession, to define a wide range of teaching profession as a profession, and to recognize teaching profession as a workpla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and to find implications of them. To accomplish this goal,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conduct interview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and to find implications of them. To accomplish this goal, we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conduct interview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 second, conflicts in the ideal, right and reality, third, recognition of narrow professionalism, and fourth,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as one of many job.
      Teachers'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have multiplicity. Among them, 'the view of technical job' has narrowness in general, and finally 'the view of teaching profession as a Workplace' is spread widel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versity of the views of teaching profession, to define a wide range of teaching profession as a profession, and to recognize teaching profession as a workpl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들이 갖고 있는 교직관의 특성을 찾고, 그 교직관이 무슨 의미를 갖는지 밝혀서 시사점을찾는데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초·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시기에 따른 변화, 둘째, 이상과 당위, 그리고 현실의 충돌, 셋째, 협소한 전문성 인식, 넷째, 수많은직업 중 하나인 교직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교원들의 교직관은 다중성이 있으며, 그 가운데 ‘전문직관’은 대체로교직 현실을 설명하기에 협소하며, 끝으로 ‘직장관’으로서의 교직관이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 정책을 계획하고 집행할 때 교직관의 다중성을 고려하고, 전문직으로서의 교직 직무를 폭넓게규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들에게 이상적인 교직 사명감에 근거하여 어떤 책무나 부담을 부여하기보다는 교사들도 교직을 하나의 직장으로 선택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정책을 구상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들이 갖고 있는 교직관의 특성을 찾고, 그 교직관이 무슨 의미를 갖는지 밝혀서 시사점을찾는데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초·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들이 갖고 있는 교직관의 특성을 찾고, 그 교직관이 무슨 의미를 갖는지 밝혀서 시사점을찾는데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초·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시기에 따른 변화, 둘째, 이상과 당위, 그리고 현실의 충돌, 셋째, 협소한 전문성 인식, 넷째, 수많은직업 중 하나인 교직 등의 특성이 나타났다. 교원들의 교직관은 다중성이 있으며, 그 가운데 ‘전문직관’은 대체로교직 현실을 설명하기에 협소하며, 끝으로 ‘직장관’으로서의 교직관이 광범위하게 퍼져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육 정책을 계획하고 집행할 때 교직관의 다중성을 고려하고, 전문직으로서의 교직 직무를 폭넓게규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교사들에게 이상적인 교직 사명감에 근거하여 어떤 책무나 부담을 부여하기보다는 교사들도 교직을 하나의 직장으로 선택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정책을 구상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기우, "현대 교직관의 분석적 연구" 25 : 414-435, 2005

      2 김영화, "한국인의 교육의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4

      3 정수현, "학교현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교원평가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4 신철균, "학교 내 교원 간 의사소통 네트워크 분석 : A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337-362, 2007

      5 김경열, "특수교육 전공 이후 교사의 교직관 변화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5-34, 2019

      6 남기윤, "초임교사의 초기 경력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26 (26): 105-128, 2006

      7 성향선,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직관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일하,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관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8 : 229-276, 1993

      9 박양호, "초등교원의 교직관에 관한 조사 연구" 10 : 207-209, 2001

      10 고재천,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14 (14): 159-179, 2001

      1 황기우, "현대 교직관의 분석적 연구" 25 : 414-435, 2005

      2 김영화, "한국인의 교육의식 조사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4

      3 정수현, "학교현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교원평가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4 신철균, "학교 내 교원 간 의사소통 네트워크 분석 : A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337-362, 2007

      5 김경열, "특수교육 전공 이후 교사의 교직관 변화 탐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5-34, 2019

      6 남기윤, "초임교사의 초기 경력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26 (26): 105-128, 2006

      7 성향선,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직관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8 김일하,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관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8 : 229-276, 1993

      9 박양호, "초등교원의 교직관에 관한 조사 연구" 10 : 207-209, 2001

      10 고재천,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14 (14): 159-179, 2001

      11 최소영, "초등교사의 교직선택 시기 및 동기와 조직헌신도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2 이옥환, "초등교사의 교직관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3 신동한, "초등교사의 가치관과 교직관 연구" 28 : 179-200, 1997

      14 신정철, "초·중등 신임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 및 그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4 (34): 51-72, 2007

      15 김기홍, "직업교육에서의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에 관한 연구" 5 (5): 99-113, 2000

      16 홍미영, "지방공무원의 승진공정성 지각과 만족의 영향요인:남성공무원과 여성공무원의 비교" 한국지방정부학회 9 (9): 45-69, 2005

      17 이기현, "중학교교사의 교직관과 직무만족과의 관계" 11 : 93-138, 1991

      18 이백현,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해소방법에 관한 고찰"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31 (31): 32-41, 2008

      19 유재환, "중등학교 교사의 교직관과 직무만족도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0 조경원, "중등교원 양성교육의 비판적 검토" 교육과학연구소 35 (35): 1-19, 2004

      21 이근화, "중등교사의 교직관·성격 강점·행복감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2020

      22 곽영우, "예비교원을 위한 교사론" 교육과학사 1997

      23 손향숙, "신규임용 교사의 교직관 조사" 11 : 43-59, 2003

      24 곽대섭, "사범대학 학생과 현직 중등학교 교사의 교직태도 비교 분석" 13 : 103-127, 1984

      25 김병찬, "사범대생들의 사범대학 진학동기와 적응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57-83, 2003

      26 이석호, "바람직한 교사상의 탐색" 6 : 132-150, 1994

      27 김운종,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의 적합성 검토"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79-94, 2009

      28 박영숙, "능력 중심의 교사 직무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29 임종철, "기간제 교과전담예비교사, 교대생 및 현장 교사간의 교직관 비교 분석" 16 (16): 29-48, 1999

      30 Lortie, D. C., "교직사회 : 교직과 교사의 삶" 양서원 2002

      31 황의일, "교직관의 유형으로서 전문직관에 관한 연구" 10 : 423-446, 1997

      32 고전, "교직관의 법제적 수용과 과제" 18 (18): 209-242, 2000

      33 이덕호, "교직관에 관한 논의" 139 : 77-84, 1993

      34 강원근, "교직관과 교직의 전문성" 14 (14): 47-46, 2003

      35 김승태, "교직관 확립과 전문성 신장" 70 : 24-32, 1990

      36 이윤식, "교직과 교사" 학지사 2007

      37 허병기, "교직 성격 고찰 : 교직의 전문직성에 관한 반성적 논의" 32 (32): 49-77, 1994

      38 허병기, "교육운영의 관료제 비판: 관료제와 교육적 규범의 상충성" 한국교육학회 43 (43): 141-170, 2005

      39 이용숙,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방법과 적용" 교육과학사 1999

      40 김용기, "교육기초" 배영사 1963

      41 박병량, "교육과 교육학" 학지사 2005

      42 박인희, "교원의 투철한 사명감과 뚜렷한 교직관 확립" 13 (13): 19-22, 2000

      43 박덕규, "교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89

      44 김남순, "교원양성기관 학생들의 교직관 비교" 22 (22): 103-116, 2003

      45 김혜숙,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한국교육학회 41 (41): 93-114, 2003

      46 강경석, "교사발달단계와 교사의 직무능력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19-142, 2006

      47 정일환, "교사론" 교육출판사 1995

      48 윤정일, "교사 전문성에 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3 (23): 79-100, 2006

      49 조영남, "교사 자질 선정 및 평가 준거에 관한 기초 연구" 17 (17): 171-189, 2000

      50 정우현, "교권의 확립과 교직의 자율성" 26 (26): 15-28, 1988

      51 Zuoyu, Z., "The Teaching Profession: to be or to do?" 28 (28): 211-216, 2002

      52 Sykes, G., "Teaching and professionalism: A cautionary perspectives on current reform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9

      53 Beijaard, D.,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identity : An exploratory study from a personal knowledge perspective" 16 (16): 749-764, 2000

      54 Burke, P., "Teacher career stages: Implications for staff development" Phi-Delta Kappa 1986

      55 Darling-Hammond, L., "Schools for tomorrow's teachers" 88-93, 1987

      56 Boyer, E. L., "High school: A report on secondary education in America" Harper & Row 154-185, 1983

      57 McDiarmid, G., "Challenging prospective teachers' beliefs during early field experience: A quixotic understanding?" 41 (41): 12-20, 1990

      58 Sergiovanni, T. J.,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Jossey Bass 1994

      59 이돈희, "21세기의 교사상과 교직" 17 (17): 1-18, 2000

      60 정태범, "21세기의 교사 양성 체제" 17 (17): 19-46,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