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평가와 공부요인의 구조관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65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tudyand self-assessment. To this e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study factors as exogenous latent variables and self-assessment as endogenous latent variable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KCYPS) 2018 and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ze of the score of the study factors was in the order of value, confidence, and need, and the size of the factor coefficient that explains the study factors was in the order of confidence, value, and ne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now the value of studying, but their need is not great. Data from the 4th and 5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this model is good. The goodness-of-fit of model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middle school was low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The order of coefficient size of study factors was similar to that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 4th and 5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found to be valid in the test for the sameness of the measurement structure, but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middle school were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measurement structure. Students will be more satisfied with self-assessment when they are interested in the various affective traits that influence their study. This self-assessment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ccess in future learn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tudyand self-assessment. To this e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study factors as exogenous la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tudyand self-assessment. To this e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study factors as exogenous latent variables and self-assessment as endogenous latent variables. The subject of analysis was the longitudinal data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KCYPS) 2018 and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ze of the score of the study factors was in the order of value, confidence, and need, and the size of the factor coefficient that explains the study factors was in the order of confidence, value, and ne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now the value of studying, but their need is not great. Data from the 4th and 5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showed that this model is good. The goodness-of-fit of model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middle school was low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The order of coefficient size of study factors was similar to that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the 4th and 5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ere found to be valid in the test for the sameness of the measurement structure, but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middle school were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measurement structure. Students will be more satisfied with self-assessment when they are interested in the various affective traits that influence their study. This self-assessment may increase the likelihood of success in future learn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4

      2 정범모, "학업성취의 요인" 배영사 1968

      3 백미영,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측면에서 RME 학습교재 사용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이민지, "학습목표 기반의 자기평가가 초등영어학습자의 정의적 영역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5 동해인, "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업적 스트레스 및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교 2019

      6 홍소영, "학생 자기평가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309-331, 2018

      7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2

      8 권순달, "평가 의미 분석" 1-15, 2018

      9 구은실, "초등학생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 관여가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학습동기의 매개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0 권예지, "초등영어 학습자의 학습 진단 및 성창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2014

      2 정범모, "학업성취의 요인" 배영사 1968

      3 백미영,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측면에서 RME 학습교재 사용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이민지, "학습목표 기반의 자기평가가 초등영어학습자의 정의적 영역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5 동해인, "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업적 스트레스 및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교 2019

      6 홍소영, "학생 자기평가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31 (31): 309-331, 2018

      7 황정규,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2002

      8 권순달, "평가 의미 분석" 1-15, 2018

      9 구은실, "초등학생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습 관여가 학업스트레스,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학습동기의 매개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0 권예지, "초등영어 학습자의 학습 진단 및 성창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11 황은경, "초등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2 양숙녀, "중학생 학습자들의 영여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이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3 황은희, "중등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에 대한 자기평가와 전문가평가의 비교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53-74, 2008

      14 문소정, "자기평가를 통한 과정중심 평가가가 수학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15 최연희, "자기평가 중심의 포트폴리오가 한국 대학생의 영어 청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 (5): 73-90, 1999

      16 우은실, "자기평가 중심 학습이 초등학생의 쓰기 능력 및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5

      17 김민성,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가 쓰기 학습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8 김윤주, "자기 평가 보고서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9 정원식, "인간과 교육" 교육과학사 2005

      20 이한국, "엘리트 탁구선수와 자기관리가 자신감 뭉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21 성태제, "알기 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15

      22 조은진, "아동의 성취목표와 학업적 자기모니터일,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23 정상혁, "생활체육 검도인들의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24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15

      25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대백과 사전" 하우동설 2002

      26 한국교육평가학회, "교육평가 용어사전" 학지사 2004

      27 김성호,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학지사 2000

      28 권순달, "교육 평가의 오용과 남용"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739-754, 2013

      29 박정,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수업과 학생 자기평가 의미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32 (32): 421-440, 2019

      30 Brown, G. T. L., "Research on Classroom Assessment" Sage Publication 367-393, 2014

      31 Fitzpatrick, J. L., "Program Evaluation: Alternative Approaches and Practical Guidelines" Allyn and Bacon 2003

      3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KCYPS 2018 조사개요/테이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33 Moon, J., "Finding the connections: Linking assessment, instruction and curriculum in elementary mathematics" Heinemann 1995

      34 Stufflebeam, D. L., "Evaluation Theory, Models, and Applications" Jossey-Bass 2007

      35 Boud, D., "Enhancing learning through self assessment" Kogan Page 1995

      36 구인환, "Basic 고교생을 위한 국어 용어사전" 신원문화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3 1.646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