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강남과 강북지역의 공동주택단지 생활환경 비교 평가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28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on surrounding area of apartment which are in process of deterioration and to look for the improvement plans on living environment in regards to this. Living environment factors which affect the housing price had been drawn by utiliz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The direction of policy for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deteriorated apartment housing had been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First, in Gangbuk area, there should be plans for culture/welfare facilities or traffic improvement and neighborhood parks more than medical/commercial facil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value of the region itself. Second, park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y utilizing small state-owned land for the area lack of space facilities as they account for important facilities for the purpose of comfort and emotion cultivation. Third, the road plan needs to be established in compliance with the urban plan and in-region cooperative policy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distribution of traffic infrastructure. fourth, as medical fac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distributed mainly on the area with high profitability, the imbalance of region should be resolved by being involved in the social aspect when selecting the are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on surrounding area of apartment which are in process of deterioration and to look for the improvement plans on living environment in regards to this. Living environment factors wh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ion of the living environment on surrounding area of apartment which are in process of deterioration and to look for the improvement plans on living environment in regards to this. Living environment factors which affect the housing price had been drawn by utiliz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The direction of policy for improving the living environment of deteriorated apartment housing had been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First, in Gangbuk area, there should be plans for culture/welfare facilities or traffic improvement and neighborhood parks more than medical/commercial facilities in order to enhance the value of the region itself. Second, park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y utilizing small state-owned land for the area lack of space facilities as they account for important facilities for the purpose of comfort and emotion cultivation. Third, the road plan needs to be established in compliance with the urban plan and in-region cooperative policy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distribution of traffic infrastructure. fourth, as medical fac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distributed mainly on the area with high profitability, the imbalance of region should be resolved by being involved in the social aspect when selecting the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나에, "지역 및 근린생활환경이 주상복합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3 (23): 153-170, 2013

      2 장욱,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구권 지역환경의 결정요인"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215-235, 2011

      3 진정수,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국토연구원 1998

      4 윤효묵, "주거환경의 지역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성현, "주거환경의 지역 간 불균형에 따른 주택가격 영향분석" 12 (12): 93-111, 2013

      6 조상규, "주거지 재생의 공익성 향상을 위한 공공의 역할"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7 김소연, "주거지 인문환경의 공간 속성을 고려한 주택 가격 결정 모형: 서울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국지도학회 13 (13): 41-56, 2013

      8 조미정, "재건축과 리모델링 사업방식 결정에 따른 주거지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81-104, 2014

      9 이금숙, "의료서비스시설 입지문제" 1 (1): 71-84, 1998

      10 김주영, "위계선형모델을 적용한 근린특성의 지가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3-3, 2006

      1 박나에, "지역 및 근린생활환경이 주상복합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3 (23): 153-170, 2013

      2 장욱,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구권 지역환경의 결정요인"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215-235, 2011

      3 진정수,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국토연구원 1998

      4 윤효묵, "주거환경의 지역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3

      5 이성현, "주거환경의 지역 간 불균형에 따른 주택가격 영향분석" 12 (12): 93-111, 2013

      6 조상규, "주거지 재생의 공익성 향상을 위한 공공의 역할"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1

      7 김소연, "주거지 인문환경의 공간 속성을 고려한 주택 가격 결정 모형: 서울시 아파트를 대상으로" 한국지도학회 13 (13): 41-56, 2013

      8 조미정, "재건축과 리모델링 사업방식 결정에 따른 주거지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81-104, 2014

      9 이금숙, "의료서비스시설 입지문제" 1 (1): 71-84, 1998

      10 김주영, "위계선형모델을 적용한 근린특성의 지가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3-3, 2006

      11 최열, "위계선형모델을 이용한 교육환경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71-82, 2004

      12 정원석, "어메니티 요소가 공동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일조 및 조망가치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13 전해정, "시공간자기회귀(STAR)모형을 이용한 부동산 가격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연구원 24 (24): 7-14, 2014

      14 윤효묵, "서울시의 지역주거환경특성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9 (19): 235-253, 2013

      15 신상영, "서울시 주거환경의 질 지표와 평가에 관한 연구" 서울연구원 2008

      16 이규환, "서울시 자치구간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강남 3구와 강북 3구의 비교-" 한국공공관리학회 23 (23): 357-381, 2009

      17 신성일,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관리체계 정립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2002

      18 허윤경, "도시별 주택가격의 공간적 영향력 검증- 서울과 부산의 아파트가격을 중심으로 -" 한국주택학회 15 (15): 5-23, 2007

      19 이성현, "도시기반시설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위계적 선형모형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20 양만식, "대형점포에 대한 영업규제의 현황과 그 시사점- 일본법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8 (38): 3-48, 2014

      21 정현학, "대형복합상업시설의 입지특성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22 성현곤, "대중교통 중심의 개발(TOD)이주택가격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한국지역학회 27 (27): 63-76, 2011

      23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단지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서울] 2014

      24 조미정, "근린생활환경이 노후 공동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23-47, 2015

      25 정수연, "교육요인이 서울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153-166, 2006

      26 전준우, "공익적 목적의 국유지 유효활용 촉진을 위한 관리제도 개선방안: 한・일 국유지 관리제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381-408, 2015

      27 신두섭, "공공문화기반시설 이용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문화경제학회 15 (15): 139-159, 2012

      28 최열, "공간회귀모형을 이용한 산업 및 용도지역 특성과 환경 오염과의 상관관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9 (49): 247-261, 2014

      29 박헌수, "공간종속성을 이용한 아파트 가격의 공간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1 (11): 119-128, 2005

      30 정우현, "공간종속성·이질성을 고려한 통근통행발생모형 개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1

      31 박현수, "공간자기회귀모형의 근린가중치행렬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79-193, 2007

      32 최열, "공간자기상관을 고려한 용도지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5-11, 2013

      33 최열, "공간자기상관과 주변 용도지역에서 접근성을 고려한 주거지 내 지가 추정에 관하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4-4, 2006

      34 홍지연, "공간계량분석을 통한 도시교통사고 예측모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3

      35 김성우, "공간계량모형에 따른 주택가격 추정에 관한 연구:부산시 아파트 실거래가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4 (24): 119-137, 2010

      36 유혁근, "고층 공동주택 재건축사업에 대한 소유자의 인식 연구" 32 (32): 1225-1054, 2013

      37 이희연, "고급통계분석론: 이론과실습" 문우사 2013

      38 "https://www.nsic.go.kr/ndsi/main.do"

      39 "https://www.kbstar.com/"

      40 "http://www.r114.com/"

      41 "http://sgis.kostat.go.kr/5"

      42 "http://resources.arcgis.com/D"

      43 "http://egis.me.go.kr/main.do"

      44 "http://biz-gis.com/XRayMap/"

      45 Getis A.,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2493 : 189-206, 1992

      46 Anselin, L., "Properties of tests for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23 (23): 112-131, 1991

      47 Michael, L., "Nonmarket economic valuation of an urban recreation park" 27 (27): 155-167, 1995

      48 이희연, "GIS지리정보학: 이론과 실습" 법문사 2014

      49 Anselin, L., "Exploring spatial data with GeoDa: A workbook" Center for Spatially Integrated Social Science 2005

      50 Bourassa, S., "Analysis of Spatial Autocorrelation in House Prices" 17 (17): 61-85,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6-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Planner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4 1.3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