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복지사무 민간위탁가능성에 관한 법적 문제 = A Study on Legal Issues of Entrusting welfare of the aged to the private sector - With reference to the local government’s practical affair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6865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all be responsible for the promotion of the health and welfare of the aged, and shall devise and implement measures for these purposes. The State or a local government may establish and operate a social welfare facili...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shall be responsible for the promotion of the health and welfare of the aged, and shall devise and implement measures for these purposes. The State or a local government may establish and operate a social welfare facility. A senior welfare center is an institution intending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nd services for culture, hobby and social activities, etc. of the aged, and other services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health, prevention of diseases, guarantee of income, welfare at home and promotion of welfare for the aged. A social welfare foundation or non-profit corporation may be entrusted with the operation of facilities established by the State or a local government.
      Entrusting management operation of a senior welfare center to the private sector can be effective and highly specialized. The National Government Organization Act, Regulations on Delegation or Entrustment of Administrative Authority, the Local Government Act, the Social Welfare Service Act and local government’s ordinance are
      the legal grounds of Entrusting to the private sector. Entrusting to the private sector not only needs legal basis, but also has to obey the legal limit, such as residents’ rights, the public interest, redundancy of tasks and so 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1. 문제제기
      • 2. 노인복지사무와 민간위탁
      • 3. 논술의 순서
      • Ⅱ. 노인복지사무 민간위탁의 필요성과 실익
      • Ⅰ. 들어가며
      • 1. 문제제기
      • 2. 노인복지사무와 민간위탁
      • 3. 논술의 순서
      • Ⅱ. 노인복지사무 민간위탁의 필요성과 실익
      • 1. 사회복지서비스 민간위탁의 필요성과실익
      • 2. 노인복지관 관리・운영 사무의 민간위탁의 필요성
      • 3. 노인복지관 관리・운영 사무의 민간위탁의 실익 - 지방자치단체직영과의 비교
      • Ⅲ. 노인복지사무 민간위탁의 법적 근거
      • 1. 개관
      • 2. 법률상 근거
      • 3. 자치입법상 근거 - 서울특별시의 경우
      • Ⅳ. 노인복지사무 민간위탁의 한계
      • 1. 국민・주민의 권리・의무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한계
      • 2. 사업 중복성에 따른 한계
      • 3. 공공성(공익성)에 따른 한계
      • 4. 고유사업과의 관계에 있어서의 한계
      • Ⅴ. 맺으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민,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행정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32 : 81-109, 2014

      2 홍정선, "행정법원론(상)(하)" 박영사 2015

      3 이준우, "행정권한의 민간위탁의 범위와 사후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7

      4 홍정선, "지방자치법상 민간위탁의 개념- 행정실무상 유사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3 (13): 85-107, 2013

      5 임현,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사무 수행과 지방재정"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3 (13): 185-211, 2013

      6 문민혜, "지방자치단체의 민간위탁 조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7 문상덕,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사무 민간위탁의 현황과 법적 통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3) : 87-108, 2009

      8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사무의 민간위탁 실무편람" 2003

      9 김성주, "지방자치단체 행정재산 민간위탁의 효율적 관리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10 최윤영, "지방자치단체 사무 민간위탁의 법적 근거"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4 (14): 377-407, 2014

      1 신상민, "행정사무의 민간위탁에 관한 행정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32 : 81-109, 2014

      2 홍정선, "행정법원론(상)(하)" 박영사 2015

      3 이준우, "행정권한의 민간위탁의 범위와 사후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7

      4 홍정선, "지방자치법상 민간위탁의 개념- 행정실무상 유사개념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3 (13): 85-107, 2013

      5 임현,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사무 수행과 지방재정"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3 (13): 185-211, 2013

      6 문민혜, "지방자치단체의 민간위탁 조례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7 문상덕,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복지사무 민간위탁의 현황과 법적 통제"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23) : 87-108, 2009

      8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사무의 민간위탁 실무편람" 2003

      9 김성주, "지방자치단체 행정재산 민간위탁의 효율적 관리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4

      10 최윤영, "지방자치단체 사무 민간위탁의 법적 근거" 한국지방자치법학회 14 (14): 377-407, 2014

      11 현승현,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의 경쟁성 및 결정요인 분석 - 사회복지분야 민간위탁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3 (23): 5-27, 2011

      12 류숙원,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 운영실태 분석" 감사원 2014

      13 김이수,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 대상사무 선정의 우선순위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 27 (27): 113-133, 2015

      14 박윤희, "종합사회복지관 민간위탁 계약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시군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15 서울특별시의회, "제237회 시의회 임시회 보건복지위원회 복지건강실 소관 민간위탁 관련 동의안 검토보고서" 2012

      16 박중훈, "정부기능의 민간위탁제도 및 운영방식 개선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3

      17 "자치법규정보시스템"

      18 "서울특별시 법무행정서비스"

      19 이봉주,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제도의 문제점과 대안모색 자료집" 국회의원 주승용 ; 사회복지시설 위탁제도 개선을 위한 사회복지사업법 개정 추진위원회 2011

      20 유정원,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절차와 지표개선 연구" 경기복지재단 2013

      21 김경혜, "복지시설 민간위탁 운영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22 "법제교육포털(제2편 법령 입안・심사의 세부 기준, 제3장 보칙 규정, 6. 권한의 위임・위탁)"

      23 서재호, "법률상 민간 업무 위탁・지원기관 지정 현황 조사" 국회예산정책처 2012

      24 강재규, "민영화와 지방자치 :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과학기술 과법연구소 3 : 2012

      25 홍정선, "민간위탁의 법리와 행정실무" 박영사 2015

      26 추병주, "민간위탁의 단계별 운영실태 분석: 지방자치단체 전수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회 23 (23): 1-31, 2009

      27 "대한민국 법원 종합법률정보"

      28 오세민,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자치법규 내용에 관한 분석 : 서울특별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5 (15): 165-176, 2015

      29 최철호, "국가사무 위임・위탁법제에 관한 고찰" 법제처 2013

      30 보건복지부, "2015 노인보건복지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015

      31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2011 서울복지포럼 서울시 사회복지시설 민간위탁 개선방안" 서울특별시사회복지협의회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52 0.44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