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외국인 학부생의 토론 과제 구성 연구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Discussion Tasks for Foreign Undergraduates in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02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detailed structure of Korean debate assign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a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Firs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ir debate abilities, the components of debate abilities, and learners’ cognitiv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surveying debate materials. It then presented an example of a debate assignment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actual classrooms. The usefulness of the debate assignments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promotes learners’ debate activities. An amicable environment is formed where learners with limited background knowledge or passive attitudes can easily access debate topics, facilitating debate activities. Secondly, it enhances learners’ digital literacy through exploratory reading activities of digital materials. In particular, debate activities become more active during the process of sharing, selecting, and organizing information. Thirdly, it contributes to improving foreign language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digital literacy problem-solving.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ctively incorporates the changed learning environment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s in detail the process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creating the content of discussions by activating expanded background knowledge based on digital literacy.
      번역하기

      This study proposes a detailed structure of Korean debate assign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a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Firs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ir debate abilities, the ...

      This study proposes a detailed structure of Korean debate assign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a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Firs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ir debate abilities, the components of debate abilities, and learners’ cognitive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surveying debate materials. It then presented an example of a debate assignment structure that can be used in actual classrooms. The usefulness of the debate assignments exam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promotes learners’ debate activities. An amicable environment is formed where learners with limited background knowledge or passive attitudes can easily access debate topics, facilitating debate activities. Secondly, it enhances learners’ digital literacy through exploratory reading activities of digital materials. In particular, debate activities become more active during the process of sharing, selecting, and organizing information. Thirdly, it contributes to improving foreign language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digital literacy problem-solving.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ctively incorporates the changed learning environment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discusses in detail the process of foreign language learners creating the content of discussions by activating expanded background knowledge based on digital litera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토론 과제의 세부 구성을 단계화하여 제안하였다.먼저 학습자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과 토론 능력의 관계,토론 능력의 구성 요소 및 토론 자료 조사에 요구되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에 대해 살폈다.그리고 실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토론 과제 구성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토론 과제의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첫째,학습자의 토론 활동을촉진한다.배경지식이 적거나 소극적인 학습자도 디지털 매체의 활용을 통해 쉽게 토론 주제에 접근할 수 있어 토론 참여가 촉진된다.둘째,디지털 자료의 탐색적 읽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킨다.특히 정보의 공유,선택,구성이진행되는 과정 중 토론 활동이 활발해진다.셋째,디지털 리터러시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대학 학업 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한다.이 연구는 변화된 학습 환경을 한국어교육에 적극 수용하고자 한 점,외국인 학습자가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확장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여 토론의 내용 구성을 하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논의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토론 과제의 세부 구성을 단계화하여 제안하였다.먼저 학습자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과 토론 능력의 관계,토론 능력의 구...

      이 연구는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토론 과제의 세부 구성을 단계화하여 제안하였다.먼저 학습자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과 토론 능력의 관계,토론 능력의 구성 요소 및 토론 자료 조사에 요구되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에 대해 살폈다.그리고 실제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토론 과제 구성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토론 과제의 유용성은 다음과 같다.첫째,학습자의 토론 활동을촉진한다.배경지식이 적거나 소극적인 학습자도 디지털 매체의 활용을 통해 쉽게 토론 주제에 접근할 수 있어 토론 참여가 촉진된다.둘째,디지털 자료의 탐색적 읽기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킨다.특히 정보의 공유,선택,구성이진행되는 과정 중 토론 활동이 활발해진다.셋째,디지털 리터러시 문제해결과정을 통해 외국인 학습자의 대학 학업 수행능력 향상에 기여한다.이 연구는 변화된 학습 환경을 한국어교육에 적극 수용하고자 한 점,외국인 학습자가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반으로 확장된 배경지식을 활성화하여 토론의 내용 구성을 하는 과정을 세부적으로 논의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점을 갖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준 ; 윤영, "한국어 토론 교재 개발 방안 연구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정보연구원 33 : 213-243, 2014

      2 박광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교실 말하기 평가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정연,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토론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177-209, 2016

      4 곽도형,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한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 학문적 토론 수업 구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5 박창균,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3-1013, 2020

      6 최복자, "토론 교육의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7 조병영 ; 김종윤,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8) : 367-397, 2015

      8 두이령,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적 토론하기 과제 구성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9 왕효성, "온라인 정보 검색 과정에서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한국국어교육학회 (95) : 127-160, 2013

      10 이삼형, "스마트 미디어 시대와 독서교육" 한국독서학회 (53) : 9-32, 2019

      1 고영준 ; 윤영, "한국어 토론 교재 개발 방안 연구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언어정보연구원 33 : 213-243, 2014

      2 박광진,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대상 교실 말하기 평가 방안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정연,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을 활용한 토론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2 (12): 177-209, 2016

      4 곽도형, "퍼실리테이션을 활용한 외국인 대학원생 대상 학문적 토론 수업 구성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1

      5 박창균, "토의수업 활성화를 위한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전략"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3-1013, 2020

      6 최복자, "토론 교육의 수업 모형 개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7 조병영 ; 김종윤, "인터넷 환경에서의 읽기 부정확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어교육학회 (148) : 367-397, 2015

      8 두이령,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적 토론하기 과제 구성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9 왕효성, "온라인 정보 검색 과정에서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한국국어교육학회 (95) : 127-160, 2013

      10 이삼형, "스마트 미디어 시대와 독서교육" 한국독서학회 (53) : 9-32, 2019

      11 유혜원, "말하기 목적에 따른 내용 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4 : 173-195, 2012

      12 옥현진, "디지털 텍스트 읽기 능력과 디지털 텍스트 읽기 평가에 대한 일고찰" 한국국어교육학회 (94) : 83-108, 2013

      13 김주환, "디지털 읽기가 독해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검토" 한국어문교육연구소 (33) : 155-181, 2020

      14 전형길, "디지털 융·복합시대의 인문학적 리터러시 이해" 박이정출판사 117-137, 2022

      15 김수환, "디지털 리터러시의 교육과정 적용 방안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

      16 전형길, "디지털 리터러시 환경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역량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233-263, 2021

      17 김나래,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과제 설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18 류선숙 ; 김민경 ; 전형길, "대학 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양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 연구"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55 : 271-299, 2021

      19 OECD, "PISA 2015 Technical Report"

      20 OECD, "PISA 2015 Draf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OECD 2013

      21 Afflerbach, "Metacognition, strategy use, and instruction" Guilford 201-225, 2009

      22 Cisc, "Cisco connected world technology report"

      23 한정선, "21세기 지식 정보 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 개발 연구: 디지털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구성"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