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다문화사회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자의 증가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한국은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탈북자 가정의 유입이라는 특징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이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13333
2015
Korean
152.21
KCI등재
학술저널
137-156(20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다문화사회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자의 증가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한국은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탈북자 가정의 유입이라는 특징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이 다...
한국의 다문화사회는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자의 증가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한국은 다른 나라들과는 달리 탈북자 가정의 유입이라는 특징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가정들의 조속한 사회적 안정을 위하여 다문화교육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다문화사회를 위한 미래교육인 유아 다문화교육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책임지고 있는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역량 및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며 실질적으로 유아 다문화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유아교사들과의 인터뷰 내용은 유아기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유아 다문화교육 교재에 대한 인식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현행 다문화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에 대한 다문화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둘째, 유아기관에서 공유할 수 있는 공공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유아의 다문화교육을 위해서는 세계화교육보다 주변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이해 교육이 우선되어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다문화교육에 대하여 다각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may have begun to increase in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unlike the other countries. In addition, South Korea has the influx of refugees distinctive types of family, unlike other countries. The Multicultur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may have begun to increase in migrant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unlike the other countries. In addition, South Korea has the influx of refugees distinctive types of family, unlike other countrie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immediate socialst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is situation, the infant multicultural education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as the future of education for a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In this study, we have research which interviews with infant teachers who they are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tually. In this study, we have research which interviews with infant teachers who they are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ctually. According to the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he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public program. Third,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f children, it must be priority education of understanding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an education of globalization. Finally, there is a need to identify and improvement the problem for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multilateral terms, continu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용호, "한국이민법" 법문사 2015
2 이제봉,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99-215, 2012
3 박나리, "한국어교육자료로서의 다문화 걸음마기(toddler) 유아용그림책 텍스트의 개발방향에 대한 제안적 연구-일반 유아용그림책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화연구원 25 : 211-248, 2013
4 최안복, "통합적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5 법무부, "출입국ㆍ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4년 12월호"
6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류혜원, "체험중심 다문화 유아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59-174, 2014
8 최영환, "재미 한글 학교의 한글 교재 사용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1) : 181-211, 2013
9 신은수, "유치원 초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과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타인에 관한 연구" 10 : 55-75, 2004
10 백인경, "유아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재에 수록된 다문화활동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383-402, 2014
1 차용호, "한국이민법" 법문사 2015
2 이제봉, "한국의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한국다문화교육학회 5 (5): 199-215, 2012
3 박나리, "한국어교육자료로서의 다문화 걸음마기(toddler) 유아용그림책 텍스트의 개발방향에 대한 제안적 연구-일반 유아용그림책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화연구원 25 : 211-248, 2013
4 최안복, "통합적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5 법무부, "출입국ㆍ외국인정책 통계월보, 2014년 12월호"
6 김아영,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 실태 조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7 류혜원, "체험중심 다문화 유아교육 프로그램 효과 검증"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159-174, 2014
8 최영환, "재미 한글 학교의 한글 교재 사용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1) : 181-211, 2013
9 신은수, "유치원 초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과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타인에 관한 연구" 10 : 55-75, 2004
10 백인경, "유아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용 교재에 수록된 다문화활동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383-402, 2014
11 신현경, "유아기에 적합한 다문화교육" 7 : 81-97, 2009
12 이현숙, "유아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5 : 313-328, 2001
13 채영란,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수 효능감과 다문화교육의 실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227-246, 2012
14 최석란, "유아교사 및 예비교사의 편견 경험과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의 방향모색"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7 (7): 105-121, 2008
15 유향선, "유아 다문화인권교육 활동이 인권관련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15-338, 2014
16 류윤석, "유아 다문화교육의 현황 및 교육적 지향점" 한독교육학회 15 (15): 27-44, 2010
17 지성애, "도시와 농어촌 간 유아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현황" 교육과학연구소 38 (38): 1-28, 2007
18 김영순, "다문화사회와 다문화 감수성, 결혼이민여성을 위한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19 이명희, "다문화교육에 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인문과학연구소 14 (14): 259-289, 2009
20 이규림, "다문화교육 개념 및 현장적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55-71, 2012
21 이은정,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교재 개발 방안: 어휘폭발기 유아를 중심으로" 5 (5): 111-149, 2011
22 김정원, "다문화가정 부모 및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5-26, 2009
23 김민채, "다문화 유아음악 교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7 (7): 115-136, 2012
24 모경환, "다문화 교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245-270, 2009
25 이세나, "다문화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다문화교육태도,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95-124, 2013
26 심성경, "다문화 가정 유아교육에서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5 (25): 183-200, 2008
27 박찬옥, "기본 교육과정으로서의 유아 다문화 교육 적용 효과"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0) : 165-194, 2011
28 서혜정, "‘다문화 가정’의 유아를 조력하는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5 (15): 175-203, 2011
29 조숙영,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활동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79-400, 2013
30 교육과학기술부,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해설 2, 건강생활⋅사회생활"
실록에 나타난 단종시대 효행장려정책의 특징과 강원도 영월지역 효충문화 연구
‘효’ 전수와 전승에 대한 딜레마 - 박완서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의 위기와 국민의 정신건강 : 정신보건 상담사의 역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5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2 | 0.699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