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국립창극단에서 제작한 허규 연출 <적벽가>(1985), 김홍승 연출 <삼국지 적벽가>(2003), 이윤택 연출 <적벽>(2009) 그리고 이소영 연출 <적벽가>(2015)의 ‘이면’ 연구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국립창극단에서 제작한 허규 연출 <적벽가>(1985), 김홍승 연출 <삼국지 적벽가>(2003), 이윤택 연출 <적벽>(2009) 그리고 이소영 연출 <적벽가>(2015)의 ‘이면’ 연구를...
이 논문은 국립창극단에서 제작한 허규 연출 <적벽가>(1985), 김홍승 연출 <삼국지 적벽가>(2003), 이윤택 연출 <적벽>(2009) 그리고 이소영 연출 <적벽가>(2015)의 ‘이면’ 연구를 통해 ‘연출적 감수성의 특징’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창극 무대화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여겨지던 판소리 <적벽가>를 무대화한 것이기에 어떠한 고유의 ‘연출적 감수성’을 생성했는지를 중심으로 논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판소리의 미학론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면론’을 창극 연출을 논하는데 원용하였다.
네 편의 창극 <적벽가>들은 공통적으로 박봉술제 <적벽가>를 저본으로 한 것이지만, 사설·장단·조에 변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한 무대 형상화에서 큰 차이를 내보이고 있기에 2장에서는 창본들의 차이점을 논하고 3장에서 구체적인 무대 형상화를 통한 개별 작품들의 ‘이면’ 창출을 살폈으며 4장에서는 연출가들의 ‘예술적·시대의식’을 논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허규 연출은 1985년 처음으로 완판창극 형태로 <적벽가>를 연출하여 ‘남녀를 넘어선 인간 존재의 고통’과 ‘간웅 조조 연기에서 희극적인 감수성’을 구현하고 TV와 라디오매체의 생중계를 통해 그 소통을 확장하려 노력하였다. 2003년 김홍승 연출은 <삼국지 적벽가>를 연출하여 ‘장쾌하고 대중적인 감수성’을 구현하였으며 2009년 이윤택 연출은 <적벽>을 연출하여 ‘서로 대립하는 영웅들의 의로운 감수성’을, 이소영 연출은 2015년 <적벽가>를 연출하여 ‘여성들을 비롯하여 전쟁을 일삼는 삼국의 백성들의 억울한 죽음과 원한’을 구현하였다.
각 연출가들이 위와 같은 ‘연출적 감수성’을 발휘하여 대중화되는데 어려움이 있는 지점들을 해소하고 <적벽가>를 창극화한 것은 이 작품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uses Yi-myoun theory (裡面論) to investigate the various styles of the Changgeuk Jeokbyeokgas, as directed by Hur Gyu (1985), Kim Hong-Seung (2003), Yi Yun-Taek (2009) and Yi So-young (2015). Pansori Jeokbyeokga have noticed that diffi...
This article uses Yi-myoun theory (裡面論) to investigate the various styles of the Changgeuk Jeokbyeokgas, as directed by Hur Gyu (1985), Kim Hong-Seung (2003), Yi Yun-Taek (2009) and Yi So-young (2015). Pansori Jeokbyeokga have noticed that difficult repertory to direct into Changgeuk for a long time, so Changgeuk Jeokbyeokgas deserved academic attention. This article researched performances’ "sensibility of direction" based on Yi-myoun theory, which extends to Changgeuk from Pansori aesthetics. The four Changgeuk versions of Jeokbyeokga were all recreations of Park Bong-sul’s Jeokbyeokga, but varied in Sasul (辭說, script), Sangdan (長短) and Seongzo (聲調). So, at first, this paper discussed differences of Changgeuk Jeokbyeokgas’ scripts in the second chapter and realization of Yi-myoun researching stage embodiments of four performances in the third chapter, then extracted directors’ “sensibility of direction and consciousness.” Director Hur Gyu directed the first wanpan-changgeuk version of Jeokbyeokga (1985) and focused on the pain of human beings without distinction of sex and comic sensibility in the role of Cao Cao. He tried to enhance communication through public live television and radio broadcasts. Kim Hong-seung’s version of Jeokbyeokga (2003) created an exciting and popular sensibility. Yi Yoon-taek directed Changgeuk Jeokbyeokga (2009) focusing on the righteous sensibility of antagonistic heroes. Finally, Yi So-young’s version (2015) presented the victimization, death, and resentment of the people under the warring Three States. These four directors each succeeded in popularizing the Changgeuk Jeokbyeokga using their own directorial style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미영, "현대화사설본 수궁가·적벽가" 민속원 561-633, 2005
2 김기형, "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한국공연문화학회 1 (1): 7-30, 2010
3 최래옥, "한국소설문학의 탐구" 일조각 57-82, 1978
4 판소리학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5 박황, "판소리소사" 신척문화사 1978
6 박판수, "판소리 텍스트의 ‘이면’의 구현 양상 연구 - 發生背景에 관한 고찰" 판소리학회 14 : 2002
7 金永林, "판소리 춘향가의 音畵的 要素에 관한 試考" 수도여자사범대학교 대학원 1977
8 최동현, "판소리 이면에 관하여- 사설과 장단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14 : 2002
9 이국자, "판소리 서설(序說)-음성언어적 접근을 위해" 애산학회 9 : 59-92, 1990
10 서종문, "판소리 ‘이면’의 역사적 이해" 국어교육학회 19 : 67-82, 1987
1 장미영, "현대화사설본 수궁가·적벽가" 민속원 561-633, 2005
2 김기형, "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한국공연문화학회 1 (1): 7-30, 2010
3 최래옥, "한국소설문학의 탐구" 일조각 57-82, 1978
4 판소리학회, "판소리의 세계" 문학과지성사 2000
5 박황, "판소리소사" 신척문화사 1978
6 박판수, "판소리 텍스트의 ‘이면’의 구현 양상 연구 - 發生背景에 관한 고찰" 판소리학회 14 : 2002
7 金永林, "판소리 춘향가의 音畵的 要素에 관한 試考" 수도여자사범대학교 대학원 1977
8 최동현, "판소리 이면에 관하여- 사설과 장단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14 : 2002
9 이국자, "판소리 서설(序說)-음성언어적 접근을 위해" 애산학회 9 : 59-92, 1990
10 서종문, "판소리 ‘이면’의 역사적 이해" 국어교육학회 19 : 67-82, 1987
11 정병헌, "판소리 <적벽가>의 <삼국지연의> 수용 양상" 한중인문학회 (16) : 25-48, 2005
12 김상훈, "판소리 <적벽가>와 적벽가 계열 잡가의 교섭 연구" 판소리학회 (39) : 35-64, 2015
13 유제호, "판소리 <적벽가>와 영화 <적벽대전>"
14 김기형, "판소리 <적벽가> 조조의 형상적 특징과 의미" 우리문학회 (47) : 7-32, 2015
15 박창봉, "창악대강" 국악예술고등학교출판부 1966
16 유영대, "창극의 특성과 대중화" 판소리학회 (9) : 17-27, 1998
17 유영대, "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한국학연구소 (33) : 143-207, 2010
18 류경호, "창극연출의 역사적 전개와 유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19 류경호, "창극공연의 연출 특성과 발전적 대안 - 전통창극 <춘향전>과 <흥부전>을 중심으로" 판소리학회 (27) : 59-88, 2009
20 김향, "창극(唱劇) <청>과 <춘향 2010>의 공공(公共) 의식 - ‘이면론(裏面論)’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61) : 437-473, 2012
21 김향, "창극(唱劇) <山불>에서 경험되는 시간의식과 그 의의" 한국문학연구학회 (44) : 337-386, 2011
22 김홍승, "창극 <삼국지 적벽가> 팸플릿"
23 정노식, "조선창극사" 동문선 1994
25 설중환, "적벽가 연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4 : 89-122, 1991
26 천이두, "우리 시대의 문학" 문학동네 1998
27 허규, "완판창극 <적벽가> 팸플릿"
28 허규, "완판창극 <적벽가> 대본"
29 허규, "완판창극 <적벽가> 공연 동영상"
30 백현미, "오래된 예술 새로운 무대" 민속원 2008
31 유영대, "오래된 무대 새 길을 찾다" 민속원 2009
32 안민수, "연극연출-원리와 기술" 집문당 2007
33 국립중앙극장, "세계화 시대의 창극" 연극과인간 2002
34 국립창극단 편극위원회, "불타는 <적벽> 대본"
35 국립창극단 편극위원회, "불타는 <적벽> 공연 동영상"
36 백대웅, "명창과 판소리의 미학-이면의 이면" 민음사 (봄) : 91-104, 1985
37 오수경, "마당놀이《삼국지》의 중국적 변용 :《삼국지(三國志)*오(吳)》 ― 현대적 동양 연극을 지향하는 한중 공동 제작 사례 연구" 한국중국어문학회 53 : 275-305, 2007
38 송순섭, "동편제 적벽가창본" 민속원 2004
39 네그리·하트, "다중-<제국>이 지배하는 시대의 전쟁과 민주주의" 세종서적 2008
40 성창순, "넌 소리 도둑년이여" 언어문화 1996
41 이창남, "글로벌 시대의 로컬리티 인문학- 개념과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 : 75-106, 2009
42 이국자, "宋板 赤壁歌-解釋試論" 전북대 인문과학연구소 14 : 33-61, 1984
43 "大韓每日申報"
44 "大韓每日申報"
45 박황, "唱劇史硏究" 백록출판사 1976
46 "http://hjej0303.blog.me/220497051841"
47 "http://blog.ohmynews.com/leecm/258736"
48 "http://blog.naver.com/saemso/220485744627"
49 "http://blog.naver.com/iliya76/130072839105"
50 "http://blog.naver.com/ginnara007/110140530236"
51 "http://blog.naver.com/dahan3377/220482599626"
52 "http://blog.daum.net/film-art/13742798"
53 정병헌, "<적벽가>의 형성과 판소리사" 판소리학회 8 : 59-, 1997
54 김기형, "<적벽가>의 전승계보와 바디間 장단·사설구성 비교" 판소리학회 4 : 247-274, 1993
55 김기형, "<적벽가>의 장르 변용을 통한 재창조와 창작소재로의 활용양상" 판소리학회 (22) : 7-30, 2006
56 김진영, "<적벽가>의 담화 확장 원리와 그 배경적 의미" 판소리학회 9 : 173-194, 1998
57 이소영, "<적벽가> 팸플릿"
58 이소영, "<적벽가> 대본"
59 이소영, "<적벽가> 공연 동영상"
60 이윤택, "<적벽> 팸플릿"
61 국립창극단 편극위원회, "<삼국지 적벽가> 대본"
62 국립창극단 편극위원회, "<삼국지 적벽가> 공연 동영상"
판소리의 시조창 수용 양상과 의미 ‒<수궁가>와 <춘향가>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3-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Pansori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2 | 0.72 | 0.7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536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