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과전공 운영에 대한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 =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subject maj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260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 중등특수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표시과목 취득을 위한 교과전공의 대한 인식 및 기대효과, 그리고 개선요구 등을 탐색하여 더 유능한 특수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은 개인적 관심에 따라 다양한 교과전공을 선택하고 있었다. 하지만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교과들이 다수 선택되었으며, 수학, 과학 등은 거의 선택되지 않았다. 둘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교과전공 수업에 대한 기대효과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교육과정과 관련된 기대효과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은 현 교과전공 체제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는 교과전공을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있는 전체 교과들로 대체하는 방안을 가장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전공이 일반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괴리가 심하다는 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육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 적절한 교과전공, 특수교사 양성체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 중등특수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표시과목 취득을 위한 교과전공의 대한 인식 및 기대효과, 그리고 개선요구 등을 탐색하여 더 유능한 특수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

      본 연구는 예비 중등특수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표시과목 취득을 위한 교과전공의 대한 인식 및 기대효과, 그리고 개선요구 등을 탐색하여 더 유능한 특수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은 개인적 관심에 따라 다양한 교과전공을 선택하고 있었다. 하지만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교과들이 다수 선택되었으며, 수학, 과학 등은 거의 선택되지 않았다. 둘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교과전공 수업에 대한 기대효과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교육과정과 관련된 기대효과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은 현 교과전공 체제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는 교과전공을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있는 전체 교과들로 대체하는 방안을 가장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전공이 일반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괴리가 심하다는 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육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 적절한 교과전공, 특수교사 양성체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nd needs for the improvement on subject major to receive the indication subject in the part of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n = 270), and then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building the more eff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ose diverse subject majors based on their personal preference. However, they picked subject majors that had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hereas they rarely chose math and science. Second,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ctation on the outcomes of subject major class was generally low, especially expectation in the curriculum was lower. Third,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d the changes in the current system of subject major. As an alternative, it was preferred for them to supplant the current system with the system offering lessons on the whole subject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was more likely that it was because the regular education base subject majors were not suitable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ence,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the identity of subject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first, and based on that, proper subject major system, and then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would be design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nd needs for the improvement on subject major to receive the indication subject in the part of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n = 270), and then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nd needs for the improvement on subject major to receive the indication subject in the part of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n = 270), and then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building the more eff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ose diverse subject majors based on their personal preference. However, they picked subject majors that had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hereas they rarely chose math and science. Second,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ctation on the outcomes of subject major class was generally low, especially expectation in the curriculum was lower. Third,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d the changes in the current system of subject major. As an alternative, it was preferred for them to supplant the current system with the system offering lessons on the whole subject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was more likely that it was because the regular education base subject majors were not suitable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ence,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the identity of subject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first, and based on that, proper subject major system, and then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would be design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연희, "특수학교 중등부 국어 교과교육 실태 조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2 유숙자, "특수학교 영어 교과교육 실태 조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3 김병하,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3-62, 2006

      4 안성우, "특수교육교원 양성 교육과정 적절성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75-295, 2014

      5 전병운, "특수교육과 교과교육(개정판)" 교육과학사 2009

      6 정정진, "특수교육 교사의 양성체제" 53-79, 2003

      7 김삼섭, "특수교육 교사 양성의 현재와 미래" 3-17, 2003

      8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8

      9 박경옥,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경험하는 수학과 지도의 어려움과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7-73, 2010

      10 이병혁, "초ㆍ중등 특수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관한 지식의 차이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51-273, 2015

      1 강연희, "특수학교 중등부 국어 교과교육 실태 조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2

      2 유숙자, "특수학교 영어 교과교육 실태 조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1

      3 김병하,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론의 정립"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3-62, 2006

      4 안성우, "특수교육교원 양성 교육과정 적절성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275-295, 2014

      5 전병운, "특수교육과 교과교육(개정판)" 교육과학사 2009

      6 정정진, "특수교육 교사의 양성체제" 53-79, 2003

      7 김삼섭, "특수교육 교사 양성의 현재와 미래" 3-17, 2003

      8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특수교육 교과교육론" 교육과학사 2008

      9 박경옥,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이 경험하는 수학과 지도의 어려움과 교사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47-73, 2010

      10 이병혁, "초ㆍ중등 특수교사들의 수학 수업에 관한 지식의 차이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251-273, 2015

      11 곽제연, "중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국어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요구 조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12 김정분, "중학교 특수학급 교과교육 실태분석"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3 전병운, "중등특수교육 교과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59-76, 2010

      14 김병하,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사 직전교육의 문제와 쟁점" 3 (3): 1-27, 2008

      15 우한솔, "사범대학 교직과목에 대한 학생 인식 및 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16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대학정보공시센터, "대학별 학과정보"

      17 교육부, "2015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부 2015

      18 교육과학기술부, "2011 특수교육교육과정(별책 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