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공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그릿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 Engineering Fields to Career Outcome Expect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Grit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5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129 in H-science gifted high school with K-institute.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it has been increased that external factor of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ontinuation effort of grit. In this study, it has showed educational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related to career recogn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of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129 in H-science gifted high school with K-institute.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it has been increased that external factor of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ontinuation effort of grit. In this study, it has showed educational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related to career recogn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of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용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소속감,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그릿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2 김윤나, "청소년활동의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자아존중감, 직업성숙도, 학업성취, 생활만족도, 스트레스, 비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79-99, 2009

      3 노운, "청소년활동을 통해 키울 수 있는 핵심역량은? 청소년활동 핵심역량 선정・발표"

      4 변정순, "진로의식 성숙을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5 강명희,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09-129, 2016

      6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7 허정철,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86-495, 2011

      8 김명희,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포부를 매개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83-107, 2014

      9 정미숙,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연구"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5

      10 이신동, "발명영재 상담프로세스 개발 연구" 한국발명진흥회 2011

      1 박용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학교소속감,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그릿의 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2 김윤나, "청소년활동의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자아존중감, 직업성숙도, 학업성취, 생활만족도, 스트레스, 비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79-99, 2009

      3 노운, "청소년활동을 통해 키울 수 있는 핵심역량은? 청소년활동 핵심역량 선정・발표"

      4 변정순, "진로의식 성숙을 위한 진로탐색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90

      5 강명희,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09-129, 2016

      6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7 허정철,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86-495, 2011

      8 김명희,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포부를 매개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83-107, 2014

      9 정미숙, "여자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연구"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5

      10 이신동, "발명영재 상담프로세스 개발 연구" 한국발명진흥회 2011

      11 이수란, "무엇이 뛰어난 학업성취를 예측하는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과 투지(Grit)"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0 (10): 349-366, 2013

      12 주지영, "대학생이 지각한 그릿(Grit)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87-107, 2020

      13 이은준, "대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2 (42): 235-262, 2011

      14 송윤희,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과제가치, 스트레스,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105-122, 2015

      15 임효진, "내재동기는 언제, 어떻게 수학성취를 예측하는가? 수업참여에 따른 끈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교육종합연구원 16 (16): 21-46, 2018

      16 임효진, "그릿(Grit)과 창의적 성향, 창의적 사고의 구조적 관계" 대한사고개발학회 13 (13): 45-65, 2017

      17 이지애,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 (32): 15-29, 2012

      18 강정하, "과학영재 진로결정의 개념모델 타당화 및 요구 분석: 국가수준 과학영재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영재학회 27 (27): 717-743, 2017

      19 최진수, "과학기술특성화대학(KAIST)을 중심으로한 R&E 집중연구가 과학고등학교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9 (39): 729-738, 2019

      20 남궁민, "과학고 100억 지원했더니 의대로"

      21 심재영, "과학 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 13 (13): 95-112, 2003

      22 배은자,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발달에 관한 연구 : 일반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대안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발달 비교" (27) : 51-72, 2006

      23 최보금, "고등학생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변인 탐색: 고교유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진로교육학회 33 (33): 49-66, 2020

      24 한정현, "고등학교 유형별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체계 요인 분석" 한국직업능력연구원 21 (21): 1-38, 2018

      25 Hee-Myeong Kim, "Validation of the Korean Grit Scale for Children" The Institute for Education and Research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5 (35): 63-74, 2015

      26 Rogers, M. E., "The role of personality in adolescent career planning and exploration :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73 (73): 132-142, 2008

      27 Super, D. E., "The broader context of career development and vocational guidance : American trends in world perspective"

      28 Jinsu Choi, "The Effects of Youth Activities on Academic Enthusiasm: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Grit and Self-esteem"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 (21): 1299-1318, 2021

      29 Sun-Hwan Kim,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Program on Self-esteem, Self-efficacy related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4 (14): 407-418, 2016

      30 Sarah Hyoung-Sun Kim,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 Maturity, Career-Identity, and Career-Decision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34 (34): 43-59, 2013

      31 이명화,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ngineer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Interests, Learning Persist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Engineering Students"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18 (18): 13-25, 2015

      32 Lent, R. W., "Social cognitive model of career self-management : Toward a unifying view of adaptive career behavior across the life span" 60 (60): 557-, 2013

      33 Duckworth, A. L., "Grit :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92 (92): 1087-1101, 2007

      34 Betz, N. E., "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influenc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dness" 46 (46): 179-189, 1997

      35 In-Kyun Seo, "Effects of Adolescents' Stres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Control Effect of Social Support: A Comparative Stud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Youth Welfare 19 (19): 23-51, 2017

      36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22): 63-81, 1983

      37 송보라, "Adult's Lifelong Career Satisfaction: the Meta-analysis study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Variables by Life Stage and Life Satisfaction"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NRFK) 15 (15): 1791-1810, 2014

      38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2020년 영재학교 현황"

      39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2020년 과학고등학교 현황"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학교육기술학회 -> 한국공학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 Technology Transfer ->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1 1.01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8 1.33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