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지원법과 군사시설보호구역의 실태를 파악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접경지역에 대한 광역계획을 수립하고 사업평가를 위한 심의위원회를 강화하여야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18034
2014
-
Border ; military Reserves ; Property ; broadband plan ; review committee ; industries ; etc. ; 접경지역 ; 군사시설보호구역 ; 재산권 ; 광역계획 ; 심의위원회 ; 산업육성 등
학술저널
119-140(2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접경지원법과 군사시설보호구역의 실태를 파악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접경지역에 대한 광역계획을 수립하고 사업평가를 위한 심의위원회를 강화하여야 한...
접경지원법과 군사시설보호구역의 실태를 파악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접경지역에 대한 광역계획을 수립하고 사업평가를 위한 심의위원회를 강화하여야 한다. 둘째 통일을 대비하여 접경지역의 사업과 민원을 처리하고 군사시설보호구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소관부처별 책임을 강화하고 낙후된 SOC를 우선 공급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재산권 제한을 완화하고 손실에 대한 보상을 하여야 한다. 넷째 통일대비 비무장지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주민들의 정주여건을 살기좋게 보장하고 아울러 군사시설도 보호할 수 있는 국방부의 제한 및 통제규정과 행정관서의 지원법도 전향적으로 검토하여 보완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종무, "한반도 통일 후 군용지 및 군사시설 관리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8
2 황금회, "접경지역지원법의 경기도 효과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101, 2007
3 이원우, "군사시설보호구역에 의한 재산권 제한과 피해구제 방안" 한양대학교 법학 연구소 19 : 9-29, 2002
4 박헌주, "군사시설보호구역 및 개별군사시설 대책에 관한 연구" 경기도 2001
5 강한구, "군사시설보호구역 관련 피해보상 방안 강구" 한국국방연구원 2005
6 김현수, "경기북부 접경지역개발의 실태와 지원제도의 개편방안 - 접경지역지원법, 공여지특별법,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269-286, 2008
7 오관치, "경기북부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합리적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173, 2009
8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개발사업 제한지역의 합리적 조정 방안"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04
9 류종현, "강원도 접경지역 군사시설보호구역의 현안과 정책과제" 강원개발연구원 34 : 1-11, 2000
1 임종무, "한반도 통일 후 군용지 및 군사시설 관리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8
2 황금회, "접경지역지원법의 경기도 효과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101, 2007
3 이원우, "군사시설보호구역에 의한 재산권 제한과 피해구제 방안" 한양대학교 법학 연구소 19 : 9-29, 2002
4 박헌주, "군사시설보호구역 및 개별군사시설 대책에 관한 연구" 경기도 2001
5 강한구, "군사시설보호구역 관련 피해보상 방안 강구" 한국국방연구원 2005
6 김현수, "경기북부 접경지역개발의 실태와 지원제도의 개편방안 - 접경지역지원법, 공여지특별법, 수도권정비계획법을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269-286, 2008
7 오관치, "경기북부 군사시설 보호구역의 합리적 관리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173, 2009
8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개발사업 제한지역의 합리적 조정 방안"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04
9 류종현, "강원도 접경지역 군사시설보호구역의 현안과 정책과제" 강원개발연구원 34 : 1-11, 2000
저성장시대의 부동산정책의 인식에 관한 연구-박근혜정부의 정책을 중심으로-
금융위기 전후의 서울 아파트 매매가 및 전세가 변동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8 | 0.18 | 0.1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5 | 0.14 | 0.343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