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论文通过调查目前大学汉语教养课程的现状,分析其运行中存在的问题,并通&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149862
서울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2010. 8
2010
한국어
412 판사항(22)
서울
(The) study on the vitalization plan for Chinese class in the liberal arts
xi, 183 p. : 삽도, 챠트 ; 26 cm.
지도교수: 박정구.
참고문헌: p. 167-16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论文通过调查目前大学汉语教养课程的现状,分析其运行中存在的问题,并通&a...
本论文通过调查目前大学汉语教养课程的现状,分析其运行中存在的问题,并通过对各大学汉语教养课程的比较,提出了改善方案和长期发展方向。
第一,在序论里面叙述了本研究的必要性和研究内容及方法。第二,全面分析了韩国外语教育状况,即国家第7次教育课程下的中小学和大学的外语教育,以及私设教育机构和留学教育机构中的外语教育等情况,并对目前的汉语教育现状予以补充和说明。第三,以2009年20所大学网站展示的教学课程和学士指南为基础材料,进行调查和筛选。 没有公开的部分资料则通过各大学教养课程负责人或者中文系得到了补充。第四,为了分析学生和教师情况,我对333名正接受汉语教养课程的学生以及21名担当教师进行了调查。最后通过对汉语补习班的教育现状和其学生的满意度进行分析调查,了解是否存在和大学汉语教养课程里相同的问题,以便提出全面的改善方案。
通过上述研究,我提出了汉语活性化教育的三个渠道:即制度、教育课程、大学资源的利用。
第一,制度的改变。必须通过行政手段对以汉语为母语的学生进行课业限制,对在初中或高中时已修汉语的学生按照不同水平进行编班。设立相关机构对其进行管理,扩大必修课的范围。
第二,教育课程方面,调整听课人数,延长教学时间,评价制度可以多样化,并考虑学生的要求和水平进行分班,同时可以连接以往的教学课程,使汉语教育呈阶梯型、持续型,适当开设中高级课程及适合学生兴趣和要求的汉语教育科目。
第三,充分利用大学资源,随着外国留学生的持续增加,应该促进韩国学生与他们的联系,加强课外活动,给他们提供多种活性化的机会。另外,可以考虑在大学语学院开设基础汉语课程班,给没有汉语基础的学生有学习基础汉语的机会。此外还可以充分利用网络(cyber),UCC等,提供丰富的multi-media学习资料,促进汉语的多媒体学习方式。
希望此论文能够促进大学汉语教养课程的改善,进一步提高今后汉语教养课程的教学效果。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 중국어 수업 운영 현황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현재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대학별 비교를 통해 교양 중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
본 논문은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양 중국어 수업 운영 현황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현재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대학별 비교를 통해 교양 중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 및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첫째,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 내용 및 방법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둘째, 한국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7차 교육과정 하에 있는 초․중․고 교과 과정과 대학 교육 그리고 사설 학원 교육 및 어학연수 현황을 총체적으로 기술하여 현재 중국어 교육이 어떠한 상황에 처해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론 조사와 통계청 자료를 열람․요청하였으며, 2009학년도를 기준으로 20개 대학의 영어와 중국어 교육에 대한 대학 운영현황을 조사하였다. 셋째, 국내 대학 교양 중국어 운영 현황을 심도 있게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2009학년도를 기준으로 20개 대학의 홈페이지를 통해 공시된 교과 과정 및 학사안내 자료를 기초자료로 삼고, 공개되지 않은 부분은 각 대학의 교양과정 담당자 혹은 중어중문과를 통해 보충하였다. 넷째,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 사항 분석을 위하여 333명의 대학 교양 중국어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과 그 강좌를 담당하고 있는 21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사설 중국어 학원의 교육 현황 및 수강생 만족도 파악을 통해 대학 교양 중국어 운영에서 반영할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고, 개선 방향을 다각도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교양 중국어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향으로 제도적, 교과 과정적, 대학 내 자원 이용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제도적 측면의 변화를 위해서는 먼저 인식의 변화가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보며, 이는 학생과 교수자 뿐만 아니라 대학 당국도 인식하여만이 제도적 개선이 뒤따를 수 있다고 보았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중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학생에 대한 수강을 제한하고, 고등학교 선택과목 이수 이력을 표기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여 수준별 반 편성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교육 전반의 계획과 관리를 전담할 수 있는 기구를 설립해야 한다고 보았으며, 필수 이수제 확대를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교과 과정적으로는 적정 수강 인원과 시수의 확대, 평가 제도의 다각화, 학습자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분반, 교과 과정 연계, 단계별/지속적 학습을 위한 중․고급 과정 개설, 수요자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교과목 개발․신설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대학 내 자원을 이용하는 방안으로는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학생을 연계하여 수업과 교외 활동을 활성화하여 연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동기를 유발하고자 하였으며, 대학 내 어학원에 기초 과정 중국어 반을 개설하여 중국어의 기초적인 부분을 연습․교정 받도록 하여 선행 학습이 없는 학생도 중국어 실력이 향상 될 수 있도록 학교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또한 사이버 강의, UCC 등을 이용해 풍부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양 중국어 수업의 질적 성장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각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양 중국어 과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앞으로 대학 교양 중국어 수업이 점차적으로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