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서해, "호외시대" 문학과지성사 1994
2 조명래, "한국의 도시화와 지방의 운명" 새얼문화재단 69 : 2010
3 조남현, "한국소설과 갈등" 문학비평사 1990
4 임규찬, "카프비평자료총서Ⅰ-카프시대의 회고와 문학" 태학사 1990
5 곽근, "최서해전집, 자료집" 국학자료원 1997
6 곽근, "최서해의 삶과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14
7 이경돈, "최서해와 기록의 소설화" 반교어문학회 15 : 2003
8 김병구, "최서해문학의 재조명" 새미 2002
9 곽근, "최서해 전집 상ㆍ하" 문학과지성사 1987
10 손유경,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의미" 우리어문학회 (32) : 431-457, 2008
1 최서해, "호외시대" 문학과지성사 1994
2 조명래, "한국의 도시화와 지방의 운명" 새얼문화재단 69 : 2010
3 조남현, "한국소설과 갈등" 문학비평사 1990
4 임규찬, "카프비평자료총서Ⅰ-카프시대의 회고와 문학" 태학사 1990
5 곽근, "최서해전집, 자료집" 국학자료원 1997
6 곽근, "최서해의 삶과 문학 연구" 푸른사상 2014
7 이경돈, "최서해와 기록의 소설화" 반교어문학회 15 : 2003
8 김병구, "최서해문학의 재조명" 새미 2002
9 곽근, "최서해 전집 상ㆍ하" 문학과지성사 1987
10 손유경,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의미" 우리어문학회 (32) : 431-457, 2008
11 정선태, "청량리 또는‘교외’와‘변두리’의 심상 공간 - 한국 근대문학이 재현한 동대문 밖과 청량리 근처 -" 서울학연구소 (36) : 77-99, 2009
12 서용순, "철학과 정신분석-둘이라는 관건(l'enjeu du Deux)"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9 (9): 211-233, 2007
13 "조선문단"
14 안토니오 네그리, "제국" 이학사 2001
15 조윤정, "작문수업과 문예부, 문학청년의 망탈리테" 상허학회 34 : 11-54, 2012
16 박헌호, "작가의 탄생과 근대문학의 재생산 제도" 소명출판 2008
17 김경수, "일제의 문학작품 검열의 실제-1920년대 압수소설 세 편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9) : 5-39, 2014
18 이지영, "이방인, 신, 괴물" 개마고원 2004
19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 출판부 1987
20 이철호, "신경향파 비평의 낭만주의적 기원 -김기진과 박영희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38) : 234-263, 2008
21 정형민, "식민지검열, 제도 텍스트, 실천" 소명출판 2011
22 베네딕트 앤더슨, "상상의 공동체" 나남 2004
23 "삼천리"
24 이성재, "빈곤의 역사" 길 2010
25 다나카 다쿠지, "빈곤과 공화국-사회적 연대의 탄생" 문학동네 2014
26 소영현, "문학청년의 탄생" 푸른역사 2008
27 한수영, "문학과 현실의 변증법" 새미 1997
28 "매일신보"
29 "동아일보"
30 고모리 요이치, "나는 소세키로소이다" 이매진 2006
31 정경운, "근대 문인 원고료의 사회학" 현대문학이론학회 (51) : 363-389, 2012
32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인간사랑 1991
33 "개벽"
34 배정상, "「호외시대」 재론(再論) - 『매일신보』 신문연재소설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1 (71): 141-175, 2014
35 공임순, "4ㆍ19와 5ㆍ16, 빈곤의 정치학과 리더십의 재의미화" 인문과학연구소 (38) : 159-204, 2013
36 권보드래,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상허학회 30 : 85-134, 2010
37 이정숙, "1970년대 한국 소설에 나타난 가난의 정동화" 서울대 2014
38 유승환, "1920년대 초중반의 인식론적 지형과 초기 경향소설의 환상성 -『개벽』과 『조선지광』의 인식론적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23) : 131-173,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