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불안 요인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87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불안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불안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IBM SPSS Statistics 25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발음에 대한 불안 요인은 ‘발음 기술 부족으로 인한 불안’, ‘본인과 타인의 비교로 인한 불안’, ‘타인의 평가로 인한 불안’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에 따른 한국어 발음 불안 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국적과 성별 그리고 학습 기간에 따른 발음 불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관심 정도나 학습자 본인이 평가하는 한국어 발음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가 학습자들의 발음 불안 요인을 잘 파악하여 지도한다면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발음할 때 느끼는 불안함을 조금이나마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pronunciation anxiety factors.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surveyed foreign students an online and analyzed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5 statistics program. The major findings observed in thi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orean pronunciation anxiety factors.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surveyed foreign students an online and analyzed with the IBM SPSS Statistics 25 statistics program. The major findings observed in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ree major factors were extracted: 1) factor 1: Anxiety of poor pronunciation skills; 2) factor 2: Anxiety of comparing to others; 3) factor 3: Anxiety of evaluation by others. Subsequently, it turns out that ‘Nationality’, ‘Gender’ and ‘Length of learning period’ a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orean pronunciation anxiety factor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But ‘Degree of interest in Korean pronunciation’ and ‘Self-assessment of Korean pronunciation’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Korean pronunciation anxiety factors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In conclusion, from this study, if a professor understands and teaches foreign learners’ pronunciation anxiety factors well, it seems that it will be possible to relieve learners’ anxiety during Korean pronunci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외국어 학습 불안
      • 3. 발음에 대한 학습자 인식
      • 4. 연구 방법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외국어 학습 불안
      • 3. 발음에 대한 학습자 인식
      • 4. 연구 방법
      • 5. 연구 결과
      • 6.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영숙,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발음 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어교육학회 (77) : 145-160, 2016

      2 한혜민,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 분석" 외국어교육연구소 33 (33): 85-112, 2019

      3 박지민,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불안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4 윤세윤,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불안과 학습전략의 상관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정진현,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불안 연구" 부산대학교 2019

      6 양순임, "한국어 음절 초성의 발음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13) : 467-498, 2004

      7 권경근, "한국어 발음교육의 요소와 범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8) : 115-133, 2016

      8 김현아, "한국어 발음 교재 개선 방향 연구 - 영어·프랑스어 발음 교재와의 비교를 통해 -" 한국국어교육학회 (104) : 295-325, 2015

      9 권성미,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글파크 2017

      10 김영선, "한국어 교육 발음 교재의 구성 방식과 내용" 우리말학회 (18) : 237-260, 2006

      1 최영숙,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발음 불안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일본어교육학회 (77) : 145-160, 2016

      2 한혜민, "한국어교육에서의 외국어 불안감 연구 동향 분석" 외국어교육연구소 33 (33): 85-112, 2019

      3 박지민,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불안과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4 윤세윤,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불안과 학습전략의 상관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5 정진현,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불안 연구" 부산대학교 2019

      6 양순임, "한국어 음절 초성의 발음 교육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13) : 467-498, 2004

      7 권경근, "한국어 발음교육의 요소와 범위"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8) : 115-133, 2016

      8 김현아, "한국어 발음 교재 개선 방향 연구 - 영어·프랑스어 발음 교재와의 비교를 통해 -" 한국국어교육학회 (104) : 295-325, 2015

      9 권성미, "한국어 발음 교육론" 한글파크 2017

      10 김영선, "한국어 교육 발음 교재의 구성 방식과 내용" 우리말학회 (18) : 237-260, 2006

      11 윤신애,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말하기 과제 중심 요구 분석: 중국인 이공계열 유학생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1 (21): 159-188, 2010

      12 안미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인식 양상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70) : 33-64, 2016

      13 손현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 문창어문학회 47 : 2010

      14 최권진, "제2언어학습 환경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에 관한 연구 - 한국정부초청 외국인 대학원장학생의 한국어교실불안, 학업성취도, 나이 그리고 성별과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53-974, 2016

      15 허용, "자음 체계 대조 연구: 한국어, 영어, 일본어, 중국어를 대상으로" 언어과학회 (55) : 305-332, 2010

      16 이효신, "읽기 동기 및 불안과 한국어 읽기의 관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17 "유튜브"

      18 허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박이정 2006

      19 김정숙,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 내용 선정 기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06

      20 Brown, H. Douglas,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 Pearson Education Korea 2007

      21 김선정, "보편성에 따른 한국어와 태국어의 음운대조" 비교문화연구소 35 : 293-314, 2014

      22 김지현, "모바일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활동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40-451, 2020

      23 신현미, "대화일지 쓰기가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불안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4 리비어 스티븐, "교실 상호작용이 한국어 학습자의 불안과 동기에 미치는 영향 : 일지 연구(Diary study)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5 Horwitz, Elaine K,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70 (70):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olog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5-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Korean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orean Studies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83 1.36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