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 The Effect of Teacher’s Empathetic Ability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Play-teaching 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2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wo hundred thirty five teachers and children from 3 to 5 years old at early childhood setting in Seoul and Gueng-gi province.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survey including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teaching 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o develop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skills are crucial and necessary. Thus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 and provid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is nee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lay-teaching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two hundred thirty five teachers and children from 3 to 5 years old at early childhood setting in Seoul and Gueng-gi province. The study conducted a research survey including questionnair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play-teaching efficac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teaching 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o develop young children’s playfulness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skills are crucial and necessary. Thus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support and provide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play-teaching efficacy is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성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35명과 이들이 담당하는 만 3, 4, 5세 유아 23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보육교사들에게 교사의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 그리고 담당 유아의 놀이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른 회귀분석과 Sobel 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 유아의 놀이성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효능감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성 간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놀이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뿐만 아니라 놀이교수효능감 또한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성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성간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235명과 이들이 담당하는 만 3, 4, 5세 유아 23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보육교사들에게 교사의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 그리고 담당 유아의 놀이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Baron &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른 회귀분석과 Sobel test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 놀이교수효능감, 유아의 놀이성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놀이교수효능감 그리고 유아의 놀이성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성 간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은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놀이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공감능력뿐만 아니라 놀이교수효능감 또한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포용국가 아동정책" 보건복지부 2019

      2 이상순,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 교사의 공감능력 및 학생의 교사신뢰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Unicef Korea, "제 5·6차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 대한민국 아동보고서-아동권 리스스로 지킴이 설문조사" 2018

      4 박민아, "유치원교사의 공감이 교사-부모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5 최아람,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 놀이성 및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6 홍윤정,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 조재현,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 발달에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253-275, 2017

      8 김수현, "유아의 놀이성과 부모의 공감능력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9 김명순,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33 (33): 69-89, 2012

      10 김미자,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놀이지도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1 박혜영, "유아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 2019

      12 임한나,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31-56, 2020

      13 정광애, "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0

      14 변길진, "유아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에 따른 놀이지도 양상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5 신은수,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49-69, 2004

      16 백승선,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67-692, 2019

      17 최인숙,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54-462, 2018

      18 우수경, "영아의 성, 연령, 놀이성, 사회정서발달과 어린이집 적응 간의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203-221, 2018

      19 전영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2018 : 230-230, 2018

      20 정미라,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태도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01-122, 2015

      21 김명신,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22 보건복지부,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8

      23 김명순, "아동의 놀이할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7-75, 2018

      24 최두란,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25 한지현,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 놀이권리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1-1008, 2020

      26 김은옥, "보육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27 이주연,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121-140, 2019

      28 최연정,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9 임윤경,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0 전은영,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31 남진경, "만 4세 유아의 순수 놀이공간 및 놀이성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32 김유미,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33 구현주,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계명대학교 2019

      34 차혜정,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3 (13): 1-20, 2017

      35 박성희, "공감과 친사회행동" 문음사 1997

      36 Barnett, M. A.,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4 (4): 51-74, 1991

      3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38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39 Liberman, J. N.,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 An inver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107 : 219-224, 1965

      40 Barnett, L. A., "Playfulness :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3 : 319-336, 1990

      41 Boyer, W. A. R., "Playfullness Enhancement through Classroom Intervention for the 21st Century" 74 (74): 90-96, 1997

      42 Davis, M. H., "Empathy :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vh" Brown & Benchmark Publication 1994

      43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 (13): 290-312, 1982

      44 보건복지부, "3~5세 누리과정 과정(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9-152호)"

      45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26 2.26 2.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6 2.22 2.445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