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건복지부, "포용국가 아동정책" 보건복지부 2019
2 이상순,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훈육유형, 교사의 공감능력 및 학생의 교사신뢰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Unicef Korea, "제 5·6차 유엔아동권리협약 이행 대한민국 아동보고서-아동권 리스스로 지킴이 설문조사" 2018
4 박민아, "유치원교사의 공감이 교사-부모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5 최아람,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 놀이성 및 놀이교수효능감의 관계"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6 홍윤정, "유치원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놀이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7 조재현,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 발달에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4 (24): 253-275, 2017
8 김수현, "유아의 놀이성과 부모의 공감능력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9 김명순, "유아용 놀이성 평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33 (33): 69-89, 2012
10 김미자, "유아교사의 전문성과 놀이지도 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11 박혜영, "유아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놀이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교육대학원 2019
12 임한나,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31-56, 2020
13 정광애, "유아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20
14 변길진, "유아교사의 놀이교수 효능감에 따른 놀이지도 양상 탐색"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5 신은수, "유아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수 효능감과 놀이 운영 실제 신념에 관한 도구 개발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49-69, 2004
16 백승선,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667-692, 2019
17 최인숙,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454-462, 2018
18 우수경, "영아의 성, 연령, 놀이성, 사회정서발달과 어린이집 적응 간의 구조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3 (23): 203-221, 2018
19 전영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2018 : 230-230, 2018
20 정미라,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태도가 유아기 자녀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4 (14): 101-122, 2015
21 김명신, "어린이집교사의 공감능력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7
22 보건복지부,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8
23 김명순, "아동의 놀이할 권리 보장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7-75, 2018
24 최두란,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공감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25 한지현,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 놀이권리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991-1008, 2020
26 김은옥, "보육교사의 인권감수성과 아동권리인식이 아동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27 이주연,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유형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3 (23): 121-140, 2019
28 최연정,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9 임윤경,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30 전은영,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와 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31 남진경, "만 4세 유아의 순수 놀이공간 및 놀이성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32 김유미,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33 구현주,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유아의 놀이성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계명대학교 2019
34 차혜정, "교사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13 (13): 1-20, 2017
35 박성희, "공감과 친사회행동" 문음사 1997
36 Barnett, M. A., "The playful child: Measurement of a disposition to play" 4 (4): 51-74, 1991
3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38 OECD,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39 Liberman, J. N., "Playfulness and divergent thinking : An inverstigation of their relationship at the kindergarten level" 107 : 219-224, 1965
40 Barnett, L. A., "Playfulness :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3 : 319-336, 1990
41 Boyer, W. A. R., "Playfullness Enhancement through Classroom Intervention for the 21st Century" 74 (74): 90-96, 1997
42 Davis, M. H., "Empathy :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vh" Brown & Benchmark Publication 1994
43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 (13): 290-312, 1982
44 보건복지부, "3~5세 누리과정 과정(보건복지부 고시 제 2019-152호)"
45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