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SWAT-EFDC 연계 모델링을 통한 입장저수지의 유사 해석 = Modeling Sedimentation Process in Ipjang Reservoir using SWAT and EFD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97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servoir sedimentation is a major environmental issue, and various sediment load controls and plans have been proposed to secure clean and safe water resour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soil loss in the upper basins and predict sediment deposition in Ipjang reservoir using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 To do so,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nd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was used to estimate soil loss in two upper basins and to predict spatial distribution and amount of sediment deposition in the Ipjang reservoir, respectively. The hydrolog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annual average soil loss from the upper basins was 500 ton. The hydraulic modeling results demonstrated that sediment particles transported to the reservoir were mostly trapped in the vicinity of the reservoir inlet and then moved toward the bank over time. If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sediment survey are performe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for predicting the dredging amount, dredging location and proper dredging cycle in the reservoir. The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to establish management solutions for sediment reduction.
      번역하기

      Reservoir sedimentation is a major environmental issue, and various sediment load controls and plans have been proposed to secure clean and safe water resour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soil loss in the upper basins and predict s...

      Reservoir sedimentation is a major environmental issue, and various sediment load controls and plans have been proposed to secure clean and safe water resour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soil loss in the upper basins and predict sediment deposition in Ipjang reservoir using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 To do so,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nd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was used to estimate soil loss in two upper basins and to predict spatial distribution and amount of sediment deposition in the Ipjang reservoir, respectively. The hydrologic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annual average soil loss from the upper basins was 500 ton. The hydraulic modeling results demonstrated that sediment particles transported to the reservoir were mostly trapped in the vicinity of the reservoir inlet and then moved toward the bank over time. If long-term water quality monitoring and sediment survey are performed,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for predicting the dredging amount, dredging location and proper dredging cycle in the reservoir. The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to establish management solutions for sediment redu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원호, "확률론 기반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지속가능성 및 운용성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안재현, "저수지 장기운영을 위한 퇴적토사의 효율적 관리(1) - 저수지 퇴사량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2 (22): 1088-1093, 2006

      3 노준우, "저수지 내 장기퇴사 및 배사효과 모의" 한국방재학회 14 (14): 333-341, 2014

      4 강문성, "인공신경망 원격탐사기법과 비점오염모델을 이용한 오염총량모의시스템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 노희진, "유역유출 변화에 따른 도암댐 저수지 수질 영향 예측" 대한토목학회 33 (33): 975-985, 2013

      6 방기영, "영산강 하구의 계절별 퇴적작용과 퇴적물 수지 수치모형실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7 김성재, "산림지역의 유출특성을 고려한 남강댐유역내 주요 하천관측지점에 대한 홍수유출량 추정" 한국농공학회 52 (52): 85-94, 2010

      8 원철희, "산림과 밭 지역 강우 유출수의 EMC 및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5 (25): 615-623, 2009

      9 정충길, "볏짚 피복에 의한 밭 비점오염원 유출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HSPF와 SWAT 모델링" 한국농공학회 55 (55): 47-57, 2013

      10 김진혁, "대산항 해역의 부유사 확산 수치모사" 대한환경공학회 33 (33): 16-24, 2011

      1 남원호, "확률론 기반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지속가능성 및 운용성 평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2 안재현, "저수지 장기운영을 위한 퇴적토사의 효율적 관리(1) - 저수지 퇴사량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2 (22): 1088-1093, 2006

      3 노준우, "저수지 내 장기퇴사 및 배사효과 모의" 한국방재학회 14 (14): 333-341, 2014

      4 강문성, "인공신경망 원격탐사기법과 비점오염모델을 이용한 오염총량모의시스템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5 노희진, "유역유출 변화에 따른 도암댐 저수지 수질 영향 예측" 대한토목학회 33 (33): 975-985, 2013

      6 방기영, "영산강 하구의 계절별 퇴적작용과 퇴적물 수지 수치모형실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7 김성재, "산림지역의 유출특성을 고려한 남강댐유역내 주요 하천관측지점에 대한 홍수유출량 추정" 한국농공학회 52 (52): 85-94, 2010

      8 원철희, "산림과 밭 지역 강우 유출수의 EMC 및 원단위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5 (25): 615-623, 2009

      9 정충길, "볏짚 피복에 의한 밭 비점오염원 유출저감효과 분석을 위한 HSPF와 SWAT 모델링" 한국농공학회 55 (55): 47-57, 2013

      10 김진혁, "대산항 해역의 부유사 확산 수치모사" 대한환경공학회 33 (33): 16-24, 2011

      11 김성수, "경안천 유역의 강우사상별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및 원단위 조사" 대한환경공학회 24 (24): 16-2027, 2002

      12 이현동, "강우시 유출부하량을 이용한 팔당상수원 유역의 비점오염원 원단위와 발생량 추정" 한국물환경학회 17 (17): 313-326, 2001

      13 Her, Y, "Threshold Effects in HRU Definition of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ASABE) 367-378, 2015

      14 Wen-Cheng Liu,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in a subalpine lake" Springer Nature 75 (75): 173-, 2016

      15 Tetra Tech,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of Peconic estuary, for Peconic estuary program" 1999

      16 이지민, "SWAT모형을 이용한 유량 및 유사 예측 정확성 평가 및 최적관리 기법 효과 분석" 한국농공학회 54 (54): 99-108, 2012

      17 김정곤, "SWAT 모델을 이용한 임하․안동 유역의 부유사량 발생량 추정" 대한환경공학회 30 (30): 1209-1217, 2008

      18 Arnold, J. G, "SWAT 2012 Input/ Output documentation"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2013

      19 Yoon, Y. N., "Reservoir deposition" 21 (21): 9-15, 1988

      20 V. JOTHIPRAKASH, "Re-look to conventional techniques for trapping efficiency estimation of a reservoir" Elsevier BV 23 (23): 76-84, 2008

      21 강문성, "RUSLE을 위한 반월 주기 강우가식성인자 산정" 한국농공학회 45 (45): 29-40, 2003

      22 Jeong, H. S., "Modeling Socio-Hydrological systems for waste water reused watershed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23 Choi, J. Y, "Measures for the nonpoint source management of disused mines in multipurpose dam watershed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4-32, 2009

      24 Xianfeng Song, "Integration of remotely sensed C factor into SWAT for modelling sediment yield" Wiley 25 (25): 3387-3398, 2011

      25 Moriasi, D. M,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Models: Performance Measures and Evaluation Criteria"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ASABE) 58 (58): 1763-1785, 2015

      26 Song, J. H., "Hydrologic analysis system with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agricultural watershed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7

      27 Jaswinder Singh, "HYDROLOGICAL MODELING OF THE IROQUOIS RIVER WATERSHED USING HSPF AND SWAT" Wiley 41 (41): 343-360, 2005

      28 박재충, "HSPF, EFDC 및 WASP에 의한 영주다목적댐 저수지의 수질예측"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9 (19): 465-473, 2010

      29 이동주, "EFDC를 이용한 군산항의 유사 퇴적고 계산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46 (46): 531-545, 2013

      30 Tim A. Wool, "Development of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s to Support Total Maximum Daily Load Decision Process for the Neuse River Estuary, North Carolina"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ASCE) 129 (129): 295-306, 2003

      31 Sangjun Im, "Comparison of HSPF and SWAT models performance for runoff and sediment yield prediction" Informa UK Limited 42 (42): 1561-1570, 2007

      32 Lei Zhao, "A three-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ing approach for exploring the eutrophication responses to load reduction scenarios in Lake Yilong (China)" Elsevier BV 177 : 13-21, 2013

      33 Hamrick, J. H.,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Verginia Institute of Marine Science 1992

      34 류재일, "3차원 EFDC 모델을 이용한 주운 하천 유입 점착성 및 비점착성 유사의 이송과 퇴적 해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공학회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52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