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 추진단계별 주민의사 중요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Residents’ Consciousness in Each Stage of Apartment Remodeling Proj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2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of residents’ decision-making factors by the promotion stage to activate the remodeling project of old apartment houses in the first new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mportance ranking and the influence by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promotion committee stage and the union establishment stage. In the promotion committee stage, economic value, residential function improvemen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nterest communication, safety improvement, government policy support were in the order, and in the union stage, residential function improvement, economic valu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nterest communication, government policy support, safety improvement were in the order.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function is more influential than economic value as the economic value and residential function are improved in the promotion committee stage, which is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and the concentration of each factor is eliminated in the union stage as the project progre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careful strategic approach for each step to revitalize the remodeling project.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grasp the decision factors of residents targeting the entire residents of the first new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of residents’ decision-making factors by the promotion stage to activate the remodeling project of old apartment houses in the first new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m...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of residents’ decision-making factors by the promotion stage to activate the remodeling project of old apartment houses in the first new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importance ranking and the influence by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promotion committee stage and the union establishment stage. In the promotion committee stage, economic value, residential function improvement,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nterest communication, safety improvement, government policy support were in the order, and in the union stage, residential function improvement, economic valu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nterest communication, government policy support, safety improvement were in the order.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improvement of residential function is more influential than economic value as the economic value and residential function are improved in the promotion committee stage, which is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and the concentration of each factor is eliminated in the union stage as the project progres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a careful strategic approach for each step to revitalize the remodeling project.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grasp the decision factors of residents targeting the entire residents of the first new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도권 1기 신도시의 노후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사업 활성화 방안모색을 위해 리모델링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단지의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추진단계별 주민의사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업추진단계에 따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중요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추진위원회 단계에서는 경제적가치 > 주거기능향상 > 주거환경개선 > 이해관계소통 > 안전성향상 > 정부정책지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조합단계에서는 주거기능향상 > 경제적 가치 > 주거환경 개선 > 이해관계소통 > 정부정책지원 > 안전성 향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업 초기인 추진위원회 단계에서는 경제적 가치 및 주거기능향상에서 월등한 영향력이 미치고 있으며 사업이 진행될수록 조합단계에서는 각 요인의 편중이 없어지면서 주거기능향상이 경제적 가치보다 더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사업 활성화를 위해 사업추진단계에 맞는 전략적 접근을 통해 조합원들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정책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1기 신도시 전체 지역을 대상으로 주민들의 의사결정요인을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수도권 1기 신도시의 노후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사업 활성화 방안모색을 위해 리모델링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단지의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추진단계별 주민의사결정요...

      본 연구는 수도권 1기 신도시의 노후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사업 활성화 방안모색을 위해 리모델링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단지의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추진단계별 주민의사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업추진단계에 따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중요도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추진위원회 단계에서는 경제적가치 > 주거기능향상 > 주거환경개선 > 이해관계소통 > 안전성향상 > 정부정책지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조합단계에서는 주거기능향상 > 경제적 가치 > 주거환경 개선 > 이해관계소통 > 정부정책지원 > 안전성 향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업 초기인 추진위원회 단계에서는 경제적 가치 및 주거기능향상에서 월등한 영향력이 미치고 있으며 사업이 진행될수록 조합단계에서는 각 요인의 편중이 없어지면서 주거기능향상이 경제적 가치보다 더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리모델링사업 활성화를 위해 사업추진단계에 맞는 전략적 접근을 통해 조합원들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정책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본 연구는 1기 신도시 전체 지역을 대상으로 주민들의 의사결정요인을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산화, "신도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2 국토교통부,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용에 따른 노후 공동주택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연구" 국토교통부 2014

      3 최옥규, "리모델링아파트 거주자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4 박래형, "리모델링 아파트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리모델링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0

      5 강문환, "리모델링 사업 추진단계별 주민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7-32, 2019

      6 한주연,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사업성 확보를 위한 수직증축 제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3 (13): 152-159, 2012

      7 이명훈, "노후 공동주택 정비 활성화를 위한 리모델링 관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2013

      8 유동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제도변화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4

      9 조용경,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요소의 중요도 결정에 관한 연구" 4 (4): 101-116, 2011

      10 강신은, "공동주택리모델링 해설서"

      1 고산화, "신도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계획요소와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2 국토교통부, "수직증축 리모델링 허용에 따른 노후 공동주택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연구" 국토교통부 2014

      3 최옥규, "리모델링아파트 거주자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3

      4 박래형, "리모델링 아파트의 가격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소재 리모델링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0

      5 강문환, "리모델링 사업 추진단계별 주민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17-32, 2019

      6 한주연, "노후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사업성 확보를 위한 수직증축 제안" 한국건설관리학회 13 (13): 152-159, 2012

      7 이명훈, "노후 공동주택 정비 활성화를 위한 리모델링 관련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2013

      8 유동규,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제도변화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성남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14

      9 조용경,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요소의 중요도 결정에 관한 연구" 4 (4): 101-116, 2011

      10 강신은, "공동주택리모델링 해설서"

      11 성순택,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 리모델링의 내/외적 영향분석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12 김동재,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 추진을 위한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0

      13 양근원, "공동주택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거주자 수요 분석"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14 김완혁, "공동주택 리모델링 사업타당성 평가를 위한 수익/비용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1

      15 김기중, "공동주택 리모델링 관련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16 고양시, "고양시 리모델링 중심의 도시정비 선진화정책 수립" 고양시 2013

      17 이향미, "거주자 의식과 요구에 대응한 노후 아파트 리모델링 계획 방향"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7

      18 서울특별시, "2025 서울특별시 공동주택 리모델링 기본계획" 서울특별시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